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LGU+ 전자결제를 적용하면서 느낀점

· 7년 전 · 2409 · 6

거래처 홈페이지가 ASP로 가동되고 있습니다.

최근 모바일 결제를 추가오더가를 수행하면서 그 후기를 간단히 적어봅니다.

 

LGU+ 에서 제공된 샘플을 이용해서 작업을 했습니다.

모바일 작업하고 결제를 누르니 반응이 없는겁니다.

며칠전에 테스트 할때도 되었는데, 뭐가 달라진거지? 하고 생각해보니

https 를 적용하고 나서 안된건가? 하고 살펴보니

<script language="javascript" src="http://xpay.uplus.co.kr/xpay/js/xpay_crossplatform.js" type="text/javascript"></script>

요 녀석이 문제였네요.

 

이것을 아래처럼 변경하니 결제모듈이 정상 작동하네요.  흠흠...

<script language="javascript" src="//xpay.uplus.co.kr/xpay/js/xpay_crossplatform.js" type="text/javascript"></script>

샘플 배포할때부터 http: 를 제거하고 배포하면 좋으련만 하는 아쉬움과,

이거때매 하루를 온전히 까먹은걸 생각하니 울화통이 ... 휴우.... (릴렉스 릴렉스)

 

NHN KCP 도 그렇고 LGU+ 도 그렇게 모바일과 PC 통합 API 는 계획이 없는가 봅니다.

인증방식이 달라서 그런건지, 행정당국의 규제때문에 그런건지...

이니시스와 올더게이트는 모바일 및 통합브라우징 작업을 할 기회가 없어서 확인을 못했습니다.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 6개

대단한 실력자..
네이버페이만 보더라도 카드 등록 후 간편 결제로 주문이 가능합니다.
플로그인도 사용 안하는 것 같고요. 규제문제는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아마도 플로그인없이 사용할려면 서버내에서 처리해야 할 보안인증 방식이 어렵거나 비용이 많이 들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잉기 네이버는 utf-8 기반에 통합결제모듈로 첨부터 개발을 해서 그런건이 아닐까 싶습니다.
kcp, 이니시스 등은 기존 euc-kr 모바일이 활성화되기 전에 개발된 로직을 계속 유지하고 있어요
utf-8 로 시스템을 변경하는것은 큰 결단이 필요한 사항이겠죠.
금융결제원과의 연동문제도 있을테고...
@해피정 역시 비용문제가 맞는 것 같습니다.
결국 그냥 뿌려놓은걸 전부 뜯어고쳐야만 하니.. 손대기 어려울겁니다.
@자유뱀 미루고 버티다가 망하겠죠

NHN 은 KCP 를 서서히 도태시키고 페이코 로 전환할테구
LG 는 정신 바짝 차리고 투자하면 좋을텐데 ...
이니시스 는 주인이 여러번 바뀌면서 그럴 여력이 없을테구

알리페이나 페이팔, 아마존 등이 본격 국내 PG 시장에 들어와야 핫뜨거워 하겠죠.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1717652
1717651
1717650
1717648
1717635
1717629
1717626
1717625
1717621
1717619
1717611
1717610
1717609
1717607
1717601
1717598
1717591
1717590
1717583
1717575
1717572
1717568
1717566
1717549
1717545
1717533
1717512
1717511
1717508
1717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