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구글 크롬도 QUIC h3-29를 공식적으로 지원하네요.

구글 크롬은 원래 구글 자체 QUIC 프로토콜 Q050만 HTTP3로 지원하고 있었는데요.(물론 커맨드라인으로 h3-29도 지원 가능힙니다.)

 

IETF 에서는 h3-29를 공식적으로 QUIC 프로토콜로 개발 중입니다.

 

즉 HTTP3 QUIC을 구글과 IETF가 다르게 개발하고 있다는 것이죠.

 

비슷하지만 다른 느낌입니다.

 

아무튼 오늘 구글 크롬에서 기본 옵션 상태에서 h3-29를 QUIC 프로토콜로 지원하게되어, F12 개발자도구에서 network tab에서 protocol을 활성화시키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하나로 통일해서 개발이 이루어지면 좋겠네요!

 

현재 웹서버에서 QUIC 전송을 지원하는 것은 라이트스피드테크의 라이트스피드 웹서버와 오픈라이트스피드 웹서버가 있습니다.

 

오픈라이트웹서버를 쓰면 Q050과 h3-29 모두 활성화 가능하여 구글 크롬에서 기본적으로 HTTP3 QUIC으로 전송 가능합니다.

 

아파치는 아직 지원하지 않고,

 

Nginx는 quic 브랜치를 따로 만들어서 개발 중입니다. 현재 메인라인인 1.19 버전에 탑재하는 것이 목표라고 하네요.

개발 로그 : https://hg.nginx.org/nginx-quic/shortlog/quic

 

저는 Nginx를 주로 쓰고 있어서, 얼른 쓰고 싶네요!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 4개

우짱님이 얼렁 유투브 오픈하셔서 차근차근 강의를 해주실 날만 기다리겠습니다 ^^
구독자 1호가 되겠습니다~~~
@만수킴 헉 ㅋㅋㅋ 부담스럽습니다~~

초보에겐 너무 힘든 부담이군요 ㅋㅋㅋ
웹기술이 나날히 발전하는 건 좋은데 또 배울게 생기는 모양 이군요 ^^
caddy로 옮겨 타고 난 후 다른 nginx나 아파치 거들떠도 안봐요.
letsencrypt 자동 처리 되는게 너무 좋군요 ^__________^
@오리궁딩 caddy도 http3 실험 기능이 있더라구요.

https://caddyserver.com/docs/json/apps/http/servers/#experimental_http3

저도 써봤는데.. 아직 실험 단계라서 100% 지원되지는 않더라구요 ㅎㅎ

https://www.wsgvet.com/web/237

이렇게 그누보드에서도 짧은주소 적용 시키면 잘되구요 ㅎㅎ

letsencrypt는 저는 dns api로 acme.sh로 적용시키고 있어요 ㅎㅎ

ecdsa와 rsa인증서 2개 발급 받아서 자동 갱신 적용시키고 있습니다 ㅎㅎ

게시판 목록

자유게시판

글쓰기

첫글

2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