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설치 환경 * 6개
(codeanywhere, 리눅스 클린설치, 윈도우 안의 우분투, 도커안의 리눅스, 나스안의 리눅스, 터미널 안의 가상환경)
2. 두개의 리눅스 * 2개
(우분투, 센토스)
3. 3개의 프레임 워크 *3
(FastAPI, DJango, Flask)
총 6*2*3 = 36가지의 환경이 있는데, 이를 처음 하는 사람은 혼동스러워 함
댓글 5개
대중적인것 쓰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많이쓰는 우분투 20.04LTS 쓰는게 보통이구요
사실 리눅스는 말씀하신것보다 종류가 어마어마하게 많습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EB%A6%AC%EB%88%85%EC%8A%A4_%EB%B0%B0%ED%8F%AC%ED%8C%90
나머지는 특정 목적으로 호환성이나 임베디드용이나 커스텀 용으로
커널컴파일등이 필요한 경우에 많이 사용합니다.
도커에서는 딱 필요한 기능만 사용을 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크기가 아주작은 Alpine리눅스도 많이 사용합니다.
----
프레임워크 사용하려면 일반적으로 우분투 같은 널리 알려진 리눅스를 쓰시는게 좋죠
설치지원도 잘되고 설치문서도 많이 있습니다.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1716316 | |
| 1716313 | |
| 1716309 | |
| 1716302 | |
| 1716298 | |
| 1716291 | |
| 1716290 | |
| 1716262 | |
| 1716254 | |
| 1716252 | |
| 1716249 | |
| 1716241 | |
| 1716222 | |
| 1716214 | |
| 1716204 | |
| 1716200 | |
| 1716197 | |
| 1716195 | |
| 1716188 | |
| 1716176 | |
| 1716167 | |
| 1716149 | |
| 1716140 | |
| 1716139 | |
| 1716125 | |
| 1716122 | |
| 1716120 | |
| 1716119 | |
| 1716114 | |
| 1716111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