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곳에 서서 도로를 관찰합니다.
한적한 도로에 자동차는 시간대에 상관 없이 일정한 비율로 지나갑니다.
도로를 관찰합니다.
30분동안 도로를 관찰할 때 자동차가 1대라도 지나갈 확률은 95% 라고 할 때
그럼 10분동안 도로를 관찰하면 자동차가 1대라도 지나갈 확률은 어떻게 될까요?
(구글 입사 문제)
한적한 도로에 자동차는 시간대에 상관 없이 일정한 비율로 지나갑니다.
도로를 관찰합니다.
30분동안 도로를 관찰할 때 자동차가 1대라도 지나갈 확률은 95% 라고 할 때
그럼 10분동안 도로를 관찰하면 자동차가 1대라도 지나갈 확률은 어떻게 될까요?
(구글 입사 문제)
댓글 38개
헉 샤샤샷님이 그냥 저 숫자만 댓글 달았을 땐 걍 무시했는데..
군포돼지님 답변을 보고 흠.. 한참을 생각했네요.
저도 지금 생각해보니 햇갈리네요.
다음은 제가 생각했던 풀이 방식입니다.
어느게 맞는지.
아 저도 문제만 보고 답을 몰라서.. 제 풀이방식이 맞다고 장담은 못합니다;;
---------------------------------------------------------------------
x : 10분동안 차가 1대라도 지나갈 확률
y : 30분동안 차가 1대라도 지나갈 확률
x와 y 의 상관관계를 구하는 것이 이번 문제의 핵심입니다.
z= 1-x : 10분동안 차가 1대도 지나가지 않을 확률
w= 1-y : 30분동안 차가 1대도 지나가지 않을 확률
30분 동안 차가 1대도 지나가지 않을려면 10분동안 차가 1대도 지나가지 않을 확률이 연속적으로 3번 발생해야 하므로
w = z^3 이 구해짐 : 여기가 상관관계의 핵심임
y = 0.95 이므로
순서대로 구하면
w = 0,05
z^3 = 0.05
z = 세제곱근 0.05 = 0.368
따라서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x는
x = 1-z = 1 - 0.368 = 0.612
따라서 10분동안 차가 1대라도 지나갈 확률은 약 61.2% 가 됩니다.
---------------------------------------------------------------------
이거 아닌가요?
ㅜㅜ 엄청 햇갈리고 있는 중입니다;
군포돼지님 답변을 보고 흠.. 한참을 생각했네요.
저도 지금 생각해보니 햇갈리네요.
다음은 제가 생각했던 풀이 방식입니다.
어느게 맞는지.
아 저도 문제만 보고 답을 몰라서.. 제 풀이방식이 맞다고 장담은 못합니다;;
---------------------------------------------------------------------
x : 10분동안 차가 1대라도 지나갈 확률
y : 30분동안 차가 1대라도 지나갈 확률
x와 y 의 상관관계를 구하는 것이 이번 문제의 핵심입니다.
z= 1-x : 10분동안 차가 1대도 지나가지 않을 확률
w= 1-y : 30분동안 차가 1대도 지나가지 않을 확률
30분 동안 차가 1대도 지나가지 않을려면 10분동안 차가 1대도 지나가지 않을 확률이 연속적으로 3번 발생해야 하므로
w = z^3 이 구해짐 : 여기가 상관관계의 핵심임
y = 0.95 이므로
순서대로 구하면
w = 0,05
z^3 = 0.05
z = 세제곱근 0.05 = 0.368
따라서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x는
x = 1-z = 1 - 0.368 = 0.612
따라서 10분동안 차가 1대라도 지나갈 확률은 약 61.2% 가 됩니다.
---------------------------------------------------------------------
이거 아닌가요?
ㅜㅜ 엄청 햇갈리고 있는 중입니다;
다들 95%에 너무들 집착 하시는 듯 하네요.
위의 문제를 거꾸로 생각하면 30분동안 차가 한대도 지나가지 않을 확율이
5%라는 말과 같습니다?
30분에서 10분이란 시간을 구하라고 했으니 30분 기준해서 지나가지 않을 확율
5%는 "5 x 3 = 15%" 라는 식으로 접근해야 답이 나옵니다.
계산 방식이 이상하다고들 하시겠지만 침착하게 생각들을 해보면 이 계산이
맞습니다. 30분에 대한 위험부담이 5%라고 간단하게 생각해 보면 금새 이해가
되실거에요.
3등분된 30분에서 10분씩이 줄어 들며 5%의 위험이 가해진다 가정하면
20분에 위험 부담은 10%에 해당되고 10분에 대한 위험 부담은 15%에
해당되는 것이 맞다고 봐야죠?
문제는 10분이란 시간에 주어진 명제에 대한 확율(%)를 구하자는 겁니다.
100 - 15 = 85%
85%가 정답니다.
위의 문제를 거꾸로 생각하면 30분동안 차가 한대도 지나가지 않을 확율이
5%라는 말과 같습니다?
30분에서 10분이란 시간을 구하라고 했으니 30분 기준해서 지나가지 않을 확율
5%는 "5 x 3 = 15%" 라는 식으로 접근해야 답이 나옵니다.
계산 방식이 이상하다고들 하시겠지만 침착하게 생각들을 해보면 이 계산이
맞습니다. 30분에 대한 위험부담이 5%라고 간단하게 생각해 보면 금새 이해가
되실거에요.
3등분된 30분에서 10분씩이 줄어 들며 5%의 위험이 가해진다 가정하면
20분에 위험 부담은 10%에 해당되고 10분에 대한 위험 부담은 15%에
해당되는 것이 맞다고 봐야죠?
문제는 10분이란 시간에 주어진 명제에 대한 확율(%)를 구하자는 겁니다.
100 - 15 = 85%
85%가 정답니다.
저도 답을 저렇게 내기 전에 이미 그 계산을 해 보았습니다.
30분에 95%의 확율로 차가 한대라도 지나간다고 했으니
5%에 대한 확율 계산은 한계값(0과 같이 나눌수 없는 값)이
존재하게 됩니다. 그 나눌 수 없는 '0'과 같은 값이
이 경우에는 20%입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2분까지의 값이 얻어지다가 20%가 넘어서는
값이 떨어지는 1분에 가서는 논리 적이지 않는 값이 나오게 되죠.
문제를 달리 적용해서 설명하자면
30분 동안에 차가 한대라도 지나갈 확율이 98%라 한다면
50%이하 확율의 값은 나올수가 없게 됩니다.
"100 ÷ 2 = 50%"
생각을 해 보시면 이해가 가능할거에요.
"100 ÷ 5 = 20%"
---------------------------------------------------
10분 = 85%
9 분 = 84.4%
8 분 = 81.25%
7 분 = 78.6%
6 분 = 75%
5 분 = 70%
4 분 = 62.5%
3 분 = 50%
2 분 = 25%
-----------------------------
1 분 = 더이상 확율을 낼 수 없는(나눌수 없는) 0과 값.
30분에 95%의 확율로 차가 한대라도 지나간다고 했으니
5%에 대한 확율 계산은 한계값(0과 같이 나눌수 없는 값)이
존재하게 됩니다. 그 나눌 수 없는 '0'과 같은 값이
이 경우에는 20%입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2분까지의 값이 얻어지다가 20%가 넘어서는
값이 떨어지는 1분에 가서는 논리 적이지 않는 값이 나오게 되죠.
문제를 달리 적용해서 설명하자면
30분 동안에 차가 한대라도 지나갈 확율이 98%라 한다면
50%이하 확율의 값은 나올수가 없게 됩니다.
"100 ÷ 2 = 50%"
생각을 해 보시면 이해가 가능할거에요.
"100 ÷ 5 = 20%"
---------------------------------------------------
10분 = 85%
9 분 = 84.4%
8 분 = 81.25%
7 분 = 78.6%
6 분 = 75%
5 분 = 70%
4 분 = 62.5%
3 분 = 50%
2 분 = 25%
-----------------------------
1 분 = 더이상 확율을 낼 수 없는(나눌수 없는) 0과 값.
네 제가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차가 30분동안 1대만 지나간다는게 아니라. 1대라도 지나갈 확률입니다.
음... 차가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져있다는 것이 아니라, 즉 기회의 공평을 말한 건데..
다른 예를 들면요. 주사위를 한번 던졌을 때 1이 나올 확률은 1/6 입니다. 그러면 주사위를 6번 던졌을 때 1이 1번 나올 확률은 100% 가 아니거든요... 1이 0번 나올 수도 있고, 6번 모두나올 수도 있습니다. 즉 단순합이 아니라는 거죠....
음 설명이 산으로 가는듯..
이 설명을 왜 하나면 문제를 조금 바꿔서
30분 동안 95% 의 확률로 지나가면
30:95 = x:100
x= 3000/95 = 31.57
즉 31.57분 동안 지켜보면 100% 의 확률로 차가 지나간다는 말이 됩니다.
그럼 만약 32분 이상 지켜보면 100% 이상의 확률로 차가 지나간다는 것이 되는데요..
ㅜㅜ 어렵네요.
차가 30분동안 1대만 지나간다는게 아니라. 1대라도 지나갈 확률입니다.
음... 차가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져있다는 것이 아니라, 즉 기회의 공평을 말한 건데..
다른 예를 들면요. 주사위를 한번 던졌을 때 1이 나올 확률은 1/6 입니다. 그러면 주사위를 6번 던졌을 때 1이 1번 나올 확률은 100% 가 아니거든요... 1이 0번 나올 수도 있고, 6번 모두나올 수도 있습니다. 즉 단순합이 아니라는 거죠....
음 설명이 산으로 가는듯..
이 설명을 왜 하나면 문제를 조금 바꿔서
30분 동안 95% 의 확률로 지나가면
30:95 = x:100
x= 3000/95 = 31.57
즉 31.57분 동안 지켜보면 100% 의 확률로 차가 지나간다는 말이 됩니다.
그럼 만약 32분 이상 지켜보면 100% 이상의 확률로 차가 지나간다는 것이 되는데요..
ㅜㅜ 어렵네요.
주사위에 대한 비유는 맞지 않는거 같구요. 주사위는 시간에 따른게 아니잖아요.
이 문제 처럼 시간이 흐르면 100%가 된다는것과는 거리가 있는거 같습니다.각 숫자에 대한 확률은 불변으로 16.6%로 나오는거구요. 각 숫자의 확률이 100%는 절대 될 수 없죠. 주사위에 대한 위에 말씀은 맞지 않는거 같네요. 그리고 100%가 오버된다고 해서 확률을 110 120 200 300%로 보는건 맞지 않죠. 100%가 넘으면 그냥 100%로 보면 됩니다.
1시간 내 차가 지나갈 확률은 100%이고 2시간 내에 확률은 최소 두대가 지나 가니 200%인가요? 이건 아니지 않나 싶습니다. 논리 문제는 이해 하면서 풀겠는데 숫자라 명확히 답을 내지 못해서 너무 답답하네요. 빨리 해결 봐주세요 ㅋㅋ
이 문제 처럼 시간이 흐르면 100%가 된다는것과는 거리가 있는거 같습니다.각 숫자에 대한 확률은 불변으로 16.6%로 나오는거구요. 각 숫자의 확률이 100%는 절대 될 수 없죠. 주사위에 대한 위에 말씀은 맞지 않는거 같네요. 그리고 100%가 오버된다고 해서 확률을 110 120 200 300%로 보는건 맞지 않죠. 100%가 넘으면 그냥 100%로 보면 됩니다.
1시간 내 차가 지나갈 확률은 100%이고 2시간 내에 확률은 최소 두대가 지나 가니 200%인가요? 이건 아니지 않나 싶습니다. 논리 문제는 이해 하면서 풀겠는데 숫자라 명확히 답을 내지 못해서 너무 답답하네요. 빨리 해결 봐주세요 ㅋㅋ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5636 | |
| 5630 | |
| 5614 | |
| 5607 | |
| 5606 | |
| 5591 | |
| 5582 | |
| 5571 | |
| 5563 | |
| 5552 | |
| 5474 | |
| 5473 | |
| 5434 | |
| 5432 | |
| 5425 | |
| 5424 | |
| 5416 | |
| 5415 | |
| 5410 | |
| 5409 | |
| 5408 | |
| 5391 | |
| 5390 | |
| 5378 | |
| 5377 | |
| 5376 | |
| 5356 | |
| 5355 | |
| 5349 | |
| 5348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