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를 들어서 아래와 같이 함수를 하나 만들고 매개변수를 a,b,c 로 주었다면 결과는 6을 토해냅니다.
[code]
<script>
function plusNumber(a, b, c) {
myNum = a + b + c;
return myNum;
}
document.write(plusNumber(1, 2, 3)); // 결과는 6
</script>
[/code]
여기서 매개변수 a,b,c 는 점 3개를 찍음으로 배열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code]
<script>
function plusNumber(...n) {
myNum = n[0] + n[1] + n[2];
return myNum;
}
document.write(plusNumber(1, 2, 3)); // 결과는 6
</script>
[/code]
한발 더 나가서 매개변수 자체를 쓰지 않고 아규먼츠만을 사용하는 함수를 만들 수 있습니다.
[code]
<script>
function plusNumber() {
myNum = arguments[0] + arguments[1] + arguments[2];
return myNum;
}
document.write(plusNumber(1, 2, 3)); // 결과는 6
</script>
[/code]
댓글 6개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24318 | |
| 24317 | |
| 24315 | |
| 24309 | |
| 24294 | |
| 24293 | |
| 24277 | |
| 24262 | |
| 24260 | |
| 24253 | |
| 24251 | |
| 24236 | |
| 24233 | |
| 24228 | |
| 24226 | |
| 24221 | |
| 24214 | |
| 24203 | |
| 24201 | |
| 24199 | |
| 24196 | |
| 24195 | |
| 24194 | |
| 24192 | |
| 24191 | |
| 24187 | |
| 24185 | |
| 24183 | |
| 24172 | |
| 24168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