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를 들어서 아래와 같이 함수를 하나 만들고 매개변수를 a,b,c 로 주었다면 결과는 6을 토해냅니다.
[code]
<script>
function plusNumber(a, b, c) {
myNum = a + b + c;
return myNum;
}
document.write(plusNumber(1, 2, 3)); // 결과는 6
</script>
[/code]
여기서 매개변수 a,b,c 는 점 3개를 찍음으로 배열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code]
<script>
function plusNumber(...n) {
myNum = n[0] + n[1] + n[2];
return myNum;
}
document.write(plusNumber(1, 2, 3)); // 결과는 6
</script>
[/code]
한발 더 나가서 매개변수 자체를 쓰지 않고 아규먼츠만을 사용하는 함수를 만들 수 있습니다.
[code]
<script>
function plusNumber() {
myNum = arguments[0] + arguments[1] + arguments[2];
return myNum;
}
document.write(plusNumber(1, 2, 3)); // 결과는 6
</script>
[/code]
댓글 6개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23966 | |
| 23963 | |
| 23953 | |
| 23949 | |
| 23938 | |
| 23935 | |
| 23933 | |
| 23928 | |
| 23919 | |
| 23918 | |
| 23917 | |
| 23910 | |
| 23902 | |
| 23901 | |
| 23897 | |
| 23894 | |
| 23893 | |
| 23891 | |
| 23885 | |
| 23872 | |
| 23870 | |
| 23862 | |
| 23859 | |
| 23853 | |
| 23845 | |
| 23838 | |
| 23827 | |
| 23819 | |
| 23805 | |
| 23801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