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ckbox 함수로 만들어 편하게 쓰기...
초보분들을 위한 팁!!
체크박스생성을 함수로 만들어서 어느페이지에서나 쉽게 만들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checkbox 함수
[code]
function checkbox($data1,$data2,$db_data,$name){
$data1=explode("|",$data1);
$data2=explode("|",$data2);
for($i=0; $i < count($data1); $i++){$dataA[$i]=$data1[$i];}
for($i=0; $i < count($data2); $i++){$dataB[$i]=$data2[$i];}
$check=explode("|",$db_data);
$result .="<ul>";
$j=0;
for($i=0; $i < count($data2); $i++) {
if($dataB[$i]==$check[$j]) {
$checked="checked";
$j++;
} else {
$checked="";
}
$result .= "<li>";
$result .= "<input type='checkbox' name='${name}[]' id='{$name}_$i' value='$dataB[$i]' $checked /><label for='{$name}_$i'> {$dataA[$i]}</label>";
$result .= "</li>";
}
$result .="</ul>";
return($result);
}
[/code]
위 코드를 ./lib/common.lib.php 파일을 열어 맨 끝줄에 추가하거나 새로운 파일로 만들어 include 하거나..
아니면 checkbox를 만들 페이지에 직접 추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렇게 함수를 만들어 놓고... 사용법은 아래의 예제와 같습니다.
예제)
[code]
<?php
$da_text = "사과|배|오렌지|귤|자몽|수박|참외|바나나|감|자두|홍시|포도|토마토"; // 텍스트
$da_value = "사과|배|오렌지|귤|자몽|수박|참외|바나나|감|자두|홍시|포도|토마토"; // checkbox의 value
$db_data = "참외|바나나|토마토"; //DB에서 불러온 값
?>
<style>
/* ul 및 li 스타일을 정의해주시고... */
ul { margin:0px; padding:0px; }
li { display:inline; margin-right:10px; cursor:pointer; }
</style>
<?php echo checkbox($da_text,$da_value,$db_data,"fruit"); ?>
[/code]
checkbox("텍스트","값","DB값","input의 name");
위 함수 및 예제문에서는 구분자가 "|" 으로 되어 있습니다.
체크후 DB에 저장시에도 "|"으로 구분하여 저장하시면 됩니다.
물론, 구분자는 원하는 문자로 변경하셔도 됩니다.
체크박스생성을 함수로 만들어서 어느페이지에서나 쉽게 만들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checkbox 함수
[code]
function checkbox($data1,$data2,$db_data,$name){
$data1=explode("|",$data1);
$data2=explode("|",$data2);
for($i=0; $i < count($data1); $i++){$dataA[$i]=$data1[$i];}
for($i=0; $i < count($data2); $i++){$dataB[$i]=$data2[$i];}
$check=explode("|",$db_data);
$result .="<ul>";
$j=0;
for($i=0; $i < count($data2); $i++) {
if($dataB[$i]==$check[$j]) {
$checked="checked";
$j++;
} else {
$checked="";
}
$result .= "<li>";
$result .= "<input type='checkbox' name='${name}[]' id='{$name}_$i' value='$dataB[$i]' $checked /><label for='{$name}_$i'> {$dataA[$i]}</label>";
$result .= "</li>";
}
$result .="</ul>";
return($result);
}
[/code]
위 코드를 ./lib/common.lib.php 파일을 열어 맨 끝줄에 추가하거나 새로운 파일로 만들어 include 하거나..
아니면 checkbox를 만들 페이지에 직접 추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렇게 함수를 만들어 놓고... 사용법은 아래의 예제와 같습니다.
예제)
[code]
<?php
$da_text = "사과|배|오렌지|귤|자몽|수박|참외|바나나|감|자두|홍시|포도|토마토"; // 텍스트
$da_value = "사과|배|오렌지|귤|자몽|수박|참외|바나나|감|자두|홍시|포도|토마토"; // checkbox의 value
$db_data = "참외|바나나|토마토"; //DB에서 불러온 값
?>
<style>
/* ul 및 li 스타일을 정의해주시고... */
ul { margin:0px; padding:0px; }
li { display:inline; margin-right:10px; cursor:pointer; }
</style>
<?php echo checkbox($da_text,$da_value,$db_data,"fruit"); ?>
[/code]
checkbox("텍스트","값","DB값","input의 name");
위 함수 및 예제문에서는 구분자가 "|" 으로 되어 있습니다.
체크후 DB에 저장시에도 "|"으로 구분하여 저장하시면 됩니다.
물론, 구분자는 원하는 문자로 변경하셔도 됩니다.
댓글 5개
8년 전
깔끔하게 잘되어있네요
사이트메이크
8년 전
멋진분이시네요
8년 전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8년 전
훌륭하신 팁입니다. 고맙습니다!
민쯩먼저깔게요
8년 전
이건 뭐,,,대단합니다.
체크박스 천개만들어야 하는데..
라디오도 어떻게 좀 해주세요~
체크박스 천개만들어야 하는데..
라디오도 어떻게 좀 해주세요~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24318 | |
| 24317 | |
| 24315 | |
| 24309 | |
| 24294 | |
| 24293 | |
| 24277 | |
| 24262 | |
| 24260 | |
| 24253 | |
| 24251 | |
| 24236 | |
| 24233 | |
| 24228 | |
| 24226 | |
| 24221 | |
| 24214 | |
| 24203 | |
| 24201 | |
| 24199 | |
| 24196 | |
| 24195 | |
| 24194 | |
| 24192 | |
| 24191 | |
| 24187 | |
| 24185 | |
| 24183 | |
| 24172 | |
| 24168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