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Linux du 사용법
du명령어
디렉터리별로 디스크 사용량을 알려주는 명령어
| 옵션 | 의미 |
| -a (--all) | du는 디렉터리만 표시해줬잖아요. a옵션을 사용하면 파일들까지도 사용량을 표기해줍니다. |
| -b (--bytes) | 기본단위가 1KB였다면 이 옵션은 바이트(1b)단위로 출력해줍니다. |
| -k (--kilobytes) | 디폴트 값이죠. 1KB 단위로 표시합니다 |
| -m (--megabytes) | 1MB를 기본 단위로 표시합니다. |
| -B (--block-size=SIZE) | 지정한 블록 크기(SIZE) 단위로 용량을 출력합니다. |
| -h (--human-readable) | 사람이 읽기 좋게 파일단위를 표시해줘요. 큰파일은 3M, 작은파일은 1K 이런식으로 맞춰서 변환. (AIX에는 없는 옵션) |
| -d (--max-depth) | 몇 단계 하위 디렉터리까지 출력할지 지정합니다. (AIX에는 없는 옵션) |
| -s (--summarize) | 용량의 합계를 보여줍니다. |
| -X (--exclude-from=FILE) | FILE 패턴과 매칭되는 파일들을 제외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
■ 현재 폴더에 있는 디렉터리 중 용량이 큰 순서대로 10개 보기
$ du -hs ./* | sort -hr | head -10
sort 옵션을 사용하면 깔끔하게 정렬할 수 있습니다.
■ 퍼센테이지 계산
현재 디렉터리에서 가장 많은 사용량을 차지하는 디렉터리를 퍼센테이지(%)로 한 눈에 볼 수 있으면 파악하기 쉽겠죠.
du -s ./*/ | awk -v TOTAL=`du -s | awk '{print $1}'` '{printf "%s\t%s\t%0.3f %\n",$1,$2,$1/TOTAL*100}'
echo "TOTAL: `du -s`"
댓글 1개
3년 전
응용 등 출처 https://jhnyang.tistory.com/301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16893 | |
| 16890 |
PHP
DB 세션 핸들링
2
|
| 16889 | |
| 16888 |
node.js
c++로 만들어진 코드를 바인딩하기
1
|
| 16887 |
node.js
express이용하여 간단하게 api 서버 만들기
1
|
| 16886 | |
| 16885 |
node.js
Mac os에서 nvm + node 설치편
|
| 16884 |
node.js
nvm설치 + nodejs 설치
|
| 16883 | |
| 16882 | |
| 16881 | |
| 16880 | |
| 16871 | |
| 16870 | |
| 16868 |
OS
opendkim 설치
|
| 16863 | |
| 16861 | |
| 16856 | |
| 16852 | |
| 16834 | |
| 16833 | |
| 16829 | |
| 16827 | |
| 16826 | |
| 16823 | |
| 16822 | |
| 16819 | |
| 16818 | |
| 16817 | |
| 16806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