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라클(Oracle) 10g 설치
KoreLinux 2004 Workstation에 Oracle 10g Database를 설치하는 방법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1. 오라클 프로그램 다운로드
아래의 주소에서 오라클 파일중, ship.db.cpio.gz을 다운 받습니다.
http://www.oracle.com/technology/software/products/database/oracle10g/index.html
http://otn.oracle.com/software/products/database/oracle10g/index.html
아래의 명령으로 압축을 풉니다.
# zcat ship.db.cpio.gz | cpio -idmv
2. OS 환경 변경
오라클 10g는 자체적으로 테스트된 몇 가지의 OS만 설치되도록 체크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이를 위해 /etc/redhat-release 파일을 생성 후 레드햇 3 버전으로 만듭니다.
# echo "redhat-3" > /etc/redhat-release
OR
cat> /etc/redhat-release << EOF
Red Hat Enterprise Linux AS release 3 (Taroon)
EOF
3. 사용자 및 그룹생성
아래의 명령으로 사용자 및 그룹을 생성합니다.
# groupadd dba
# groupadd oinstall
# useradd -g oinstall -G dba oracle
# passwd oracle
오라클이 설치될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
# mdkir -p /u01/app/oracle
# chown -R oracle.oinstall /u01
# chmod -R 755 /u01/app/oracle
4. 커널 파라미터 수정
/etc/sysctl.conf 파일에 뒷 부분에 아래와 같이 내용을 추가합니다.
[root@localhost ~]# cat >> /etc/sysctl.conf << eof
### Oracle 10g Kernel Parameters
kernel.shmmax=2147483648
kernel.sem=250 32000 100 128
fs.file-max=65536
net.ipv4.ip_local_port_range=1024 65000
eof
수정한 /etc/systl.conf의 파라미터 값을 새롭게 커널에 적용시킵니다.
[root@localhost ~]# /sbin/sysctl -p
net.ipv4.ip_forward = 1
net.ipv4.conf.default.rp_filter = 1
kernel.sysrq = 0
kernel.core_uses_pid = 1
kernel.shmmax = 2147483648
kernel.sem = 250 32000 100 128
fs.file-max = 65536
5. 오라클 사용자의 환경변수 추가
/home/oracle/.bash_profile 파일의 뒤에 아래 내용을 추가합니다.
##############################################
export ORACLE_BASE=/u01/app/oracle
export ORACLE_SID=ORCL
export ORACLE_HOME=$ORACLE_BASE/product/10.2.0.1.0
export PATH=$PATH:$ORACLE_HOME/bin
export DISPLAY=:0.0
##############################################
관리자(root) 권한으로 아래의 명령을 실행합니다.
# xhost + 127.0.0.1
※ 위 명령은 반드시 해당 로컬서버에서 작업을 하셔야 합니다.(원격에서는 안됩니다.)
(오라클 설치는 로컬서버에서 모든 작업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6. 오라클 설치시작
※ 지금부터는 반드시 oracle 사용자 계정으로 실행해야 합니다.
지금 root권한으로 로그인 되어있다면 로그아웃 하시고,
oracle 계정으로 다시 로그인하시기 바랍니다.
오라클 설치 프로그램을 압축푼 장소로 이동하여, 아래 파일을 찾아서 실행시킵니다.
$ sh runInstaller
※ 만약 글자가 깨져서 보인다면,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아래명령을 입력한후 다시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 unset LANG
7. Welcome
환영인사 입니다. Next를 클릭합니다.
8. Specify Inventory directory and credentials
디렉토리와 시스템그룹 지정. Next를 클릭합니다.
※ 경고창이 나타납니다.
/u01/app/oracle/oraInventory/orainstRoot.sh를 실행하라는 내용입니다.
콘솔을 띄워서 root 권한으로 변경한 다음, 아래와 같이 스크립트 파일을 실행합니다.
# /u01/app/oracle/oraInventory/orainstRoot.sh
팝업창의 Continue를 클릭합니다.
9. Specify File Locations
설치할 파일과 설치될 파일의 위치를 지정합니다. Next를 클릭합니다.
10. Select Installation Type
오라클을 설치할 유형을 선택합니다. Enterprise Edition을 선택하고, Next를 클릭합니다.
11. Specific Prerequisite Checks
이제까지의 설정을 확인합니다. 이상 없으면 Next를 클릭합니다.
커널 파라미터를 체크하는 부분에서 경고 팝업이 뜹니다.
Yes를 눌러 경고를 무시하고 계속 진행합니다.
12. Select Database Configuration
데이터베이스 사용 용도에 따라 설정 옵션을 선택합니다.
보통 General Purpose로 하면 됩니다. Next를 클릭합니다.
13. Specify Database Configuration Options
데이터베이스의 Global Database Name/SID/Character set의 옵션을 지정합니다.
Global Database Name와 SID는 [ORCL] 로 Character set은 [Korean KO16KSC5601]로 Database 예제 스키마도 생성합니다.
Next를 클릭합니다.
14. Select Database Management Option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옵션을 선택합니다. Next를 클릭합니다.
15. Specify Database File Storage Option
데이터베이스 파일의 스토리지 옵션을 지정합니다. 보통 File System으로 하시면 됩니다.
Next를 클릭합니다.
16. Specify Backup and Recovery Options
백업이나 복구 옵션을 지정합니다. 기본값으로 넘어갑니다.
Next를 클릭합니다.
17. Specify Database Schema Passwords
오라클 관리를 위한 계정들의 패스워드를 입력합니다.
(SYS, SYSTEM, SYSMAN, DBSNMP 등)
개별적으로 입력해도 되며, 하단의 "Use the same password for all the accounts"를 선택하여 한번에 동일하게 입력 가능합니다.
Next를 클릭합니다.
18. Summary
이제까지 선택한 내용을 창으로 보여줍니다. [Install] 버튼을 클릭하여 설치를 시작합니다.
19. Install
....[설치 진행 중]....
자동으로 설치가 진행되는 동안, 차한잔 하면서 느긋하게 기다려줍시다.
20. Configuration Assistants
파일 설치 후 데이베이스 관련 파일들을 복사하고 오라클 인스턴스를 생성합니다.
70%이상 넘어가면서 패스워드 오류가 날 수 있습니다. 이는 무시하셔도 좋습니다.
모든 설치가 끝난 후, 각 오라클 시스템에 패스워드를 지정하려면 [Password Management]를 클릭하고, 아니면 [OK] 버튼을 클릭합니다.
21. Setup Privileges
[OK] 버튼을 클릭하면 root.sh 파일을 실행하라는 창이 나타납니다.
root 권한으로 아래와 같이 스크립트 파일을 실행합니다.
# /u01/app/oracle/product/10.1.0/db_1/root.sh
22. End of Installation
이제 설치가 모두 종료되었습니다. Exit 버튼을 눌러서 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
* 추가 덧글
데이타베이스를 기동만 하면 안되죠 외부에서 접속하도록 리스너를 띄워야 합니다.
우선 listener.ora 파일을 수정합니다.
$ORACLE_HOME/network/admin/listener.ora 파일 내용
SID_LIST_LISTENER =
(SID_LIST =
(SID_DESC =
(SID_NAME = PLSExtProc)
(ORACLE_HOME = /u01/app/oracle/product/10.1.0/db_1)
(PROGRAM = extproc)
)
# 추가부분 시작 - 이걸 추가해야 8i 이하의 클라이언트에서 연결했을 때 SERVICE_NAME 관련 내용이 없습니다.
(SID_DESC =
(SID_NAME = ORCL)
(ORACLE_HOME = /u01/app/oracle/product/10.1.0/db_1)
)
# 추가 부분 끝
)
LISTENER =
(DESCRIPTION_LIST =
(DESCRIPTION =
(ADDRESS_LIST =
(ADDRESS = (PROTOCOL = IPC)(KEY = EXTPROC))
)
(ADDRESS_LIST =
(ADDRESS = (PROTOCOL = TCP)(HOST = 해당ip)(PORT = 1521)) # <== 서버명 대신에 반드시 ip를 넣으세요 127.0.0.1을 넣으시면 안됩니다. 외부에서 소켓이 닫힌 것으로 인식합니다.
)
)
)
한텀내용을 일일이 보고 친 것이니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감안하고 보세요.
이제 리스너를 띄웁니다.
$ lsnrctl start
리스너의 기동을 확인합니다.
$ netstat -a | grep 1521
tcp 0 0 해당ip:1521 *:* LISTEN
절대
tcp 0 0 서버명:1521 *:* LISTEN
으로 나오면 위 설정중 HOST의 내용을 확인하세요. 데이타베이스를 기동만 하면 안되죠 외부에서 접속하도록 리스너를 띄워야 합니다.
우선 listener.ora 파일을 수정합니다.
$ORACLE_HOME/network/admin/listener.ora 파일 내용
SID_LIST_LISTENER =
(SID_LIST =
(SID_DESC =
(SID_NAME = PLSExtProc)
(ORACLE_HOME = /u01/app/oracle/product/10.1.0/db_1)
(PROGRAM = extproc)
)
# 추가부분 시작 - 이걸 추가해야 8i 이하의 클라이언트에서 연결했을 때 SERVICE_NAME 관련 내용이 없습니다.
(SID_DESC =
(SID_NAME = ORCL)
(ORACLE_HOME = /u01/app/oracle/product/10.1.0/db_1)
)
# 추가 부분 끝
)
LISTENER =
(DESCRIPTION_LIST =
(DESCRIPTION =
(ADDRESS_LIST =
(ADDRESS = (PROTOCOL = IPC)(KEY = EXTPROC))
)
(ADDRESS_LIST =
(ADDRESS = (PROTOCOL = TCP)(HOST = 해당ip)(PORT = 1521)) # <== 서버명 대신에 반드시 ip를 넣으세요 127.0.0.1을 넣으시면 안됩니다. 외부에서 소켓이 닫힌 것으로 인식합니다.
)
)
)
한텀내용을 일일이 보고 친 것이니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감안하고 보세요.
이제 리스너를 띄웁니다.
$ lsnrctl start
리스너의 기동을 확인합니다.
$ netstat -a | grep 1521
tcp 0 0 해당ip:1521 *:* LISTEN
절대
tcp 0 0 서버명:1521 *:* LISTEN
으로 나오면 위 설정중 HOST의 내용을 확인하세요.<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KoreLinux 2004 Workstation에 Oracle 10g Database를 설치하는 방법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1. 오라클 프로그램 다운로드
아래의 주소에서 오라클 파일중, ship.db.cpio.gz을 다운 받습니다.
http://www.oracle.com/technology/software/products/database/oracle10g/index.html
http://otn.oracle.com/software/products/database/oracle10g/index.html
아래의 명령으로 압축을 풉니다.
# zcat ship.db.cpio.gz | cpio -idmv
2. OS 환경 변경
오라클 10g는 자체적으로 테스트된 몇 가지의 OS만 설치되도록 체크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이를 위해 /etc/redhat-release 파일을 생성 후 레드햇 3 버전으로 만듭니다.
# echo "redhat-3" > /etc/redhat-release
OR
cat> /etc/redhat-release << EOF
Red Hat Enterprise Linux AS release 3 (Taroon)
EOF
3. 사용자 및 그룹생성
아래의 명령으로 사용자 및 그룹을 생성합니다.
# groupadd dba
# groupadd oinstall
# useradd -g oinstall -G dba oracle
# passwd oracle
오라클이 설치될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
# mdkir -p /u01/app/oracle
# chown -R oracle.oinstall /u01
# chmod -R 755 /u01/app/oracle
4. 커널 파라미터 수정
/etc/sysctl.conf 파일에 뒷 부분에 아래와 같이 내용을 추가합니다.
[root@localhost ~]# cat >> /etc/sysctl.conf << eof
### Oracle 10g Kernel Parameters
kernel.shmmax=2147483648
kernel.sem=250 32000 100 128
fs.file-max=65536
net.ipv4.ip_local_port_range=1024 65000
eof
수정한 /etc/systl.conf의 파라미터 값을 새롭게 커널에 적용시킵니다.
[root@localhost ~]# /sbin/sysctl -p
net.ipv4.ip_forward = 1
net.ipv4.conf.default.rp_filter = 1
kernel.sysrq = 0
kernel.core_uses_pid = 1
kernel.shmmax = 2147483648
kernel.sem = 250 32000 100 128
fs.file-max = 65536
5. 오라클 사용자의 환경변수 추가
/home/oracle/.bash_profile 파일의 뒤에 아래 내용을 추가합니다.
##############################################
export ORACLE_BASE=/u01/app/oracle
export ORACLE_SID=ORCL
export ORACLE_HOME=$ORACLE_BASE/product/10.2.0.1.0
export PATH=$PATH:$ORACLE_HOME/bin
export DISPLAY=:0.0
##############################################
관리자(root) 권한으로 아래의 명령을 실행합니다.
# xhost + 127.0.0.1
※ 위 명령은 반드시 해당 로컬서버에서 작업을 하셔야 합니다.(원격에서는 안됩니다.)
(오라클 설치는 로컬서버에서 모든 작업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6. 오라클 설치시작
※ 지금부터는 반드시 oracle 사용자 계정으로 실행해야 합니다.
지금 root권한으로 로그인 되어있다면 로그아웃 하시고,
oracle 계정으로 다시 로그인하시기 바랍니다.
오라클 설치 프로그램을 압축푼 장소로 이동하여, 아래 파일을 찾아서 실행시킵니다.
$ sh runInstaller
※ 만약 글자가 깨져서 보인다면,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아래명령을 입력한후 다시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 unset LANG
7. Welcome
환영인사 입니다. Next를 클릭합니다.
8. Specify Inventory directory and credentials
디렉토리와 시스템그룹 지정. Next를 클릭합니다.
※ 경고창이 나타납니다.
/u01/app/oracle/oraInventory/orainstRoot.sh를 실행하라는 내용입니다.
콘솔을 띄워서 root 권한으로 변경한 다음, 아래와 같이 스크립트 파일을 실행합니다.
# /u01/app/oracle/oraInventory/orainstRoot.sh
팝업창의 Continue를 클릭합니다.
9. Specify File Locations
설치할 파일과 설치될 파일의 위치를 지정합니다. Next를 클릭합니다.
10. Select Installation Type
오라클을 설치할 유형을 선택합니다. Enterprise Edition을 선택하고, Next를 클릭합니다.
11. Specific Prerequisite Checks
이제까지의 설정을 확인합니다. 이상 없으면 Next를 클릭합니다.
커널 파라미터를 체크하는 부분에서 경고 팝업이 뜹니다.
Yes를 눌러 경고를 무시하고 계속 진행합니다.
12. Select Database Configuration
데이터베이스 사용 용도에 따라 설정 옵션을 선택합니다.
보통 General Purpose로 하면 됩니다. Next를 클릭합니다.
13. Specify Database Configuration Options
데이터베이스의 Global Database Name/SID/Character set의 옵션을 지정합니다.
Global Database Name와 SID는 [ORCL] 로 Character set은 [Korean KO16KSC5601]로 Database 예제 스키마도 생성합니다.
Next를 클릭합니다.
14. Select Database Management Option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옵션을 선택합니다. Next를 클릭합니다.
15. Specify Database File Storage Option
데이터베이스 파일의 스토리지 옵션을 지정합니다. 보통 File System으로 하시면 됩니다.
Next를 클릭합니다.
16. Specify Backup and Recovery Options
백업이나 복구 옵션을 지정합니다. 기본값으로 넘어갑니다.
Next를 클릭합니다.
17. Specify Database Schema Passwords
오라클 관리를 위한 계정들의 패스워드를 입력합니다.
(SYS, SYSTEM, SYSMAN, DBSNMP 등)
개별적으로 입력해도 되며, 하단의 "Use the same password for all the accounts"를 선택하여 한번에 동일하게 입력 가능합니다.
Next를 클릭합니다.
18. Summary
이제까지 선택한 내용을 창으로 보여줍니다. [Install] 버튼을 클릭하여 설치를 시작합니다.
19. Install
....[설치 진행 중]....
자동으로 설치가 진행되는 동안, 차한잔 하면서 느긋하게 기다려줍시다.
20. Configuration Assistants
파일 설치 후 데이베이스 관련 파일들을 복사하고 오라클 인스턴스를 생성합니다.
70%이상 넘어가면서 패스워드 오류가 날 수 있습니다. 이는 무시하셔도 좋습니다.
모든 설치가 끝난 후, 각 오라클 시스템에 패스워드를 지정하려면 [Password Management]를 클릭하고, 아니면 [OK] 버튼을 클릭합니다.
21. Setup Privileges
[OK] 버튼을 클릭하면 root.sh 파일을 실행하라는 창이 나타납니다.
root 권한으로 아래와 같이 스크립트 파일을 실행합니다.
# /u01/app/oracle/product/10.1.0/db_1/root.sh
22. End of Installation
이제 설치가 모두 종료되었습니다. Exit 버튼을 눌러서 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
* 추가 덧글
데이타베이스를 기동만 하면 안되죠 외부에서 접속하도록 리스너를 띄워야 합니다.
우선 listener.ora 파일을 수정합니다.
$ORACLE_HOME/network/admin/listener.ora 파일 내용
SID_LIST_LISTENER =
(SID_LIST =
(SID_DESC =
(SID_NAME = PLSExtProc)
(ORACLE_HOME = /u01/app/oracle/product/10.1.0/db_1)
(PROGRAM = extproc)
)
# 추가부분 시작 - 이걸 추가해야 8i 이하의 클라이언트에서 연결했을 때 SERVICE_NAME 관련 내용이 없습니다.
(SID_DESC =
(SID_NAME = ORCL)
(ORACLE_HOME = /u01/app/oracle/product/10.1.0/db_1)
)
# 추가 부분 끝
)
LISTENER =
(DESCRIPTION_LIST =
(DESCRIPTION =
(ADDRESS_LIST =
(ADDRESS = (PROTOCOL = IPC)(KEY = EXTPROC))
)
(ADDRESS_LIST =
(ADDRESS = (PROTOCOL = TCP)(HOST = 해당ip)(PORT = 1521)) # <== 서버명 대신에 반드시 ip를 넣으세요 127.0.0.1을 넣으시면 안됩니다. 외부에서 소켓이 닫힌 것으로 인식합니다.
)
)
)
한텀내용을 일일이 보고 친 것이니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감안하고 보세요.
이제 리스너를 띄웁니다.
$ lsnrctl start
리스너의 기동을 확인합니다.
$ netstat -a | grep 1521
tcp 0 0 해당ip:1521 *:* LISTEN
절대
tcp 0 0 서버명:1521 *:* LISTEN
으로 나오면 위 설정중 HOST의 내용을 확인하세요. 데이타베이스를 기동만 하면 안되죠 외부에서 접속하도록 리스너를 띄워야 합니다.
우선 listener.ora 파일을 수정합니다.
$ORACLE_HOME/network/admin/listener.ora 파일 내용
SID_LIST_LISTENER =
(SID_LIST =
(SID_DESC =
(SID_NAME = PLSExtProc)
(ORACLE_HOME = /u01/app/oracle/product/10.1.0/db_1)
(PROGRAM = extproc)
)
# 추가부분 시작 - 이걸 추가해야 8i 이하의 클라이언트에서 연결했을 때 SERVICE_NAME 관련 내용이 없습니다.
(SID_DESC =
(SID_NAME = ORCL)
(ORACLE_HOME = /u01/app/oracle/product/10.1.0/db_1)
)
# 추가 부분 끝
)
LISTENER =
(DESCRIPTION_LIST =
(DESCRIPTION =
(ADDRESS_LIST =
(ADDRESS = (PROTOCOL = IPC)(KEY = EXTPROC))
)
(ADDRESS_LIST =
(ADDRESS = (PROTOCOL = TCP)(HOST = 해당ip)(PORT = 1521)) # <== 서버명 대신에 반드시 ip를 넣으세요 127.0.0.1을 넣으시면 안됩니다. 외부에서 소켓이 닫힌 것으로 인식합니다.
)
)
)
한텀내용을 일일이 보고 친 것이니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감안하고 보세요.
이제 리스너를 띄웁니다.
$ lsnrctl start
리스너의 기동을 확인합니다.
$ netstat -a | grep 1521
tcp 0 0 해당ip:1521 *:* LISTEN
절대
tcp 0 0 서버명:1521 *:* LISTEN
으로 나오면 위 설정중 HOST의 내용을 확인하세요.<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10853 |
JavaScript
속도를 위해 데이터를 접속자 메모리에
|
| 10852 | |
| 10850 | |
| 28848 | |
| 10849 |
JavaScript
백그라운드에음악걸기
|
| 28847 |
HTML
배경에 그림스타일지정
|
| 10846 |
기타
메신저형식의광고
2
|
| 28846 |
HTML
많이 쓰이는 자바스크립트
|
| 10845 | |
| 28845 |
HTML
마우스로 이미지크기 변경하기
|
| 10844 |
JavaScript
도메인 주소에 자동으로 www 붙이기 (php)
|
| 28844 |
HTML
다음부동산매물스크립트1
|
| 28843 |
HTML
다음부동산매물스크립트
|
| 10843 |
JavaScript
다각형이미지슬라이드쇼(익스네츠)
|
| 28842 |
HTML
날짜 형식 입력 받은 값 확인하기
|
| 10842 | |
| 28841 |
HTML
그림클릭시 레이어 띄우기
|
| 10841 |
MySQL
그림을 디비에 저장하는 방법
|
| 28840 |
HTML
그림 앨범 스크립트
|
| 28839 |
HTML
간단한 팝업오브젝트 예제
|
| 10840 |
JavaScript
가운데 정렬된 홈페이지에서 따라다니는 레이어
|
| 10839 | |
| 24791 | |
| 24789 | |
| 10836 |
기타
외부 링크 막기
2
|
| 28838 | |
| 24788 | |
| 24787 | |
| 24786 |
계약서
농지임대차계약서
|
| 28837 | |
| 28834 |
HTML
URL옆에 뜨는 숏컷아이콘만들기.
2
|
| 10835 |
JavaScript
클릭시 펼쳐지는 메뉴
|
| 10834 |
정규표현식
수수료계산
|
| 28833 |
HTML
기본적인 페이징
|
| 28829 |
HTML
만 19세 확인하기
3
|
| 10833 |
JavaScript
IE에서 쓰는 CSS filter 사이트 소개
|
| 10831 | |
| 10830 | |
| 10829 |
JavaScript
iconv 함수 사용시 일부 글자가 변환되지 않는경우
|
| 28828 |
HTML
금액에 점찍고 한글 표시하기
|
| 10828 | |
| 10827 |
MySQL
mysql link 추가로 만들기
|
| 10823 | |
| 10822 |
기타
[펌] SAMBA 설정
|
| 10821 |
JavaScript
1-1000 까지 누락된 숫자 구하기
|
| 10820 | |
| 28822 |
HTML
간단하게 만들어본 프레임워크
5
|
| 10814 | |
| 10812 |
Flash
vr기능-도와주셈
1
|
| 10811 | |
| 10810 |
JavaScript
mod_cband 간단 정리
|
| 10808 |
Flash
간단한 플래시 보완패치입니다.
1
|
| 10804 |
JavaScript
cs..cs2 버젼...윈도우즈 탐색기프리뷰 패치(psd,ai)...
3
|
| 10797 | |
| 28821 |
HTML
IeTagConvertor
|
| 10796 | |
| 10795 |
JavaScript
ncftp 서브 디렉토리 포함 모두 전송
|
| 10794 |
JavaScript
테이블 각 row 마우스오버시 색깔바꾸기
|
| 10792 | |
| 10789 |
MySQL
apache - mod_ssl 설치하기
2
|
| 10785 | |
| 10781 | |
| 10780 |
정규표현식
자바스크립트 이메일 체크 함수
|
| 28820 |
HTML
PHP에서 홈페이지 주소 검사
|
| 10776 |
PHP
문자셋(인코딩 바꾸는 팁
3
|
| 10769 |
JavaScript
당장써먹어야 할 팁) 앞으로 gif는 물러가고 png시대가 될거 같네요
6
|
| 10766 |
JavaScript
full-down메뉴[펌]
2
|
| 10765 |
JavaScript
플래쉬 무비 전체 화면으로 뜨게 하는 fscommand
|
| 10758 |
JavaScript
코딩시 테이블을 줄입시다.
6
|
| 28818 | |
| 10754 |
JavaScript
모든 폰트 설정 한번에 바꾸기(식별자 *의 사용법)
3
|
| 10753 | |
| 10750 | |
| 28817 |
HTML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 없애기
|
| 10749 | |
| 10748 | |
| 10747 | |
| 10746 |
JavaScript
[소개]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 컨트롤 버튼
|
| 10740 |
JavaScript
iframe사용시 높이 자동 조정
5
|
| 10738 |
Flash
플래시 무비에 레이어 올리기
1
|
| 10735 |
JavaScript
도움말 띄우기 - 관리자 페이지에 있는 것을 추림
2
|
| 10734 | |
| 28812 | |
| 10730 | |
| 10726 | |
| 10725 |
기타
자바스크립트 기초문서
|
| 28811 | |
| 10724 |
JavaScript
숫자를 한글로 변환하기
|
| 10723 |
JavaScript
디렉터리 파일 찾기 순서 DirectoryIndex
|
| 10722 | |
| 10721 | |
| 10717 | |
| 10716 |
기타
Apache 보안 팁
|
| 10715 |
JavaScript
문서루트 위치 DocumentRoot
|
| 10713 |
Linux
lilo.conf
1
|
| 10712 | |
| 10711 | |
| 10710 |
JavaScript
웹 서버가 기다리는 포트(Port)
|
| 10709 |
JavaScript
logrotate.conf의 설정및 옵션에 대한 설명
|
| 10708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