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sql 날짜관련 함수 모음
- DAYOFWEEK(date) : 해당 날짜의 요일을 숫자로 반환한다. 일요일은 1, 토요일은 7 이다.
- 예 : select DAYOFWEEK('1998-02-03');
- WEEKDAY(date) : 해당 날짜에 대한 요일을 반환한다. 월요일은 0, 일요일은 6 이다.
- 예 : select WEEKDAY('1997-10-04 22:23:00');
- DAYOFYEAR(date) : 해당 날짜의 1월 1일부터의 날수를 반환한다. 결과값은 1에서 366 까지이다.
- 예 : select DAYOFYEAR('1998-02-03');
- YEAR(date) : 해당 날짜의 년을 반환한다.
- 예 : select YEAR('98-02-03');
- MONTH(date) : 해당 날짜의 월을 반환한다.
- 예 : select MONTH('1998-02-03');
- DAYOFMONTH(date) : 해당 날짜의 일을 반환한다. 결과값은 1 에서 31 까지이다.
- 예 : select DAYOFMONTH('1998-02-03');
- HOUR(time) : 해당날짜의 시간을 반환한다. 결과값은 0 에서 23 이다.
- 예 : select HOUR('10:05:03');
- MINUTE(time) : 해당날짜의 분을 반환한다. 결과값은 0 에서 59 이다.
- 예 : select MINUTE('98-02-03 10:05:03');
- SECOND(time) : 해당날짜의 초를 반환한다. 결과값은 0 에서 59 이다.
- 예 : select SECOND('10:05:03');
- DAYNAME(date) : 해당 날짜의 요일 이름을 반환한다. 일요일은 'Sunday' 이다.
- 예 : select DAYNAME("1998-02-05");
- MONTHNAME(date) : 해당 날짜의 월 이름을 반환한다. 2월은 'February' 이다.
- 예 : select MONTHNAME("1998-02-05");
- QUARTER(date) : 해당 날짜의 분기를 반환한다. 결과값은 1 에서 4 이다.
- WEEK(date,first) : 1월 1일부터 해당날가지의 주 수를 반환한다. 주의 시작을 일요일부터 할경우는 두번째 인자를 0, 월요일부터 시작할 경우는 1 을 넣는다. 결과값은 1 에서 52 이다.
- 예 : select WEEK('1998-02-20',1);
- PERIOD_ADD(P,N) : P (형식은 YYMM 또는 YYYYMM 이어야 한다.) 에 N 만큼의 달 수를 더한값을 반환한다. 주의할것은 두번째 인자는 숫자라는 것이다.
- 예 : select PERIOD_ADD(9801,2);
- PERIOD_DIFF(P1,P2) : 두개의 인자 사이의 달 수를 반환한다. 두개의 인자 모두 형식은 YYMM 또는 YYYYMM 이어야 한다.
- DATE_ADD(date,INTERVAL expr type) : 날짜를 더한 날짜를 반환한다.
- DATE_SUB(date,INTERVAL expr type) : 날짜를 뺀 날짜를 반환한다.
- ADDDATE(date,INTERVAL expr type) : DATE_ADD(date,INTERVAL expr type) 와 동일하다.
- SUBDATE(date,INTERVAL expr type) : DATE_SUB(date,INTERVAL expr type) 와 동일하다.
- EXTRACT(type FROM date) : 날짜에서 해당 부분을 추출한다.
- 예 : SELECT DATE_ADD("1997-12-31 23:59:59", INTERVAL 1 SECOND);
SELECT DATE_ADD("1997-12-31 23:59:59", INTERVAL 1 DAY);
SELECT DATE_ADD("1997-12-31 23:59:59", INTERVAL "1:1" MINUTE_SECOND);
SELECT DATE_SUB("1998-01-01 00:00:00", INTERVAL "1 1:1:1" DAY_SECOND);
SELECT DATE_ADD("1998-01-01 00:00:00", INTERVAL "-1 10" DAY_HOUR);
SELECT DATE_SUB("1998-01-02", INTERVAL 31 DAY);
SELECT EXTRACT(YEAR FROM "1999-07-02");
SELECT EXTRACT(YEAR_MONTH FROM "1999-07-02 01:02:03");
SELECT EXTRACT(DAY_MINUTE FROM "1999-07-02 01:02:03");
- 참고 : type 에 사용되는 키워드는 SECOND, MINUTE, HOUR, DAY, MONTH, YEAR, MINUTE_SECOND, HOUR_MINUTE, DAY_HOUR, YEAR_MONTH, HOUR_SECOND, DAY_MINUTE, DAY_SECOND 이다.
- 주의 : 계산한 달의 날수가 작을 경우는 해당달의 마지막 날을 반환한다. 예를 들어 select DATE_ADD('1998-01-30', Interval 1 month); 의 경우 1998-02-28 을 반환한다.
- TO_DAYS(date) : 0 년 부터의 날짜수를 반환한다. 이 함수는 1582 이전 날에 대해서는 계산하지 않는다.
- 예 : select TO_DAYS(950501);
- FROM_DAYS(N) : 해당 숫자만큼의 날짜를 반환한다. 이 함수는 1582 이전 날에 대해서는 계산하지 않는다.
- 예 : select FROM_DAYS(729669);
- DATE_FORMAT(date,format) : 날짜를 해당 형식의 문자열로 변환하여 반환한다.
- 예 : select DATE_FORMAT('1997-10-04 22:23:00', '%W %M %Y');
select DATE_FORMAT('1997-10-04 22:23:00', '%H:%i:%s');
select DATE_FORMAT('1997-10-04 22:23:00', '%D %y %a %d %m %b %j');
select DATE_FORMAT('1997-10-04 22:23:00', '%H %k %I %r %T %S %w');
- 참고 : 형식은 다음과 같다. %M (달 이름), %W (요일 이름), %Y (YYYY 형식의 년도), %y (YY 형식의 년도), %a (요일 이름의 약자), %d (DD 형식의 날짜), %e (D 형식의 날짜), %m (MM 형식의 날짜), %c (M 형식의 날짜), %H (HH 형식의 시간, 24시간 형식), %k (H 형식의 시간, 24시간 형식), %h (HH 형식의 시간, 12시간 형식), %i (MM 형식의 분), %p (AM 또는 PM)
- TIME_FORMAT(time,format) : DATE_FORMAT(date,format) 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할수 있으나 날 이상의 것에 대해서는 NULL 이나 0 을 반환한다.
- CURDATE() : 현재날짜를 반환한다. 숫자와 연산을 할경우 숫자로 변환된다. 형식은 'YYYY-MM-DD' 또는 YYYYMMDD 이다.
- 예 : select CURDATE();
select CURDATE() + 0;
- CURTIME() : 현재시간을 반환한다. 숫자와 연산을 할경우 숫자로 변환된다. 형식은 'HH:MM:SS' 또는 HHMMSS 이다.
- 예 : select CURTIME();
select CURTIME() + 0;
- SYSDATE() : 현재날짜시간을 반환한다. 숫자와 연산을 할경우 숫자로 변환된다. 형식은 'YYYY-MM-DD HH:MM:SS' 또는 YYYYMMDDHHMMSS 이다.
- 예 : select NOW();
select NOW() + 0;
- NOW() : SYSDATE() 와 동일하다.
- UNIX_TIMESTAMP() : '1970-01-01 00:00:00' 부터의 초를 반환한다. 인자가 주어질 경우는 해당 날짜에 대한 유닉스 시간을 반환한다.
- 예 : select UNIX_TIMESTAMP();
select UNIX_TIMESTAMP('1997-10-04 22:23:00');
- FROM_UNIXTIME(unix_timestamp) : 유닉스시간에서 날짜 형식으로 변환한다.
- 예 : select FROM_UNIXTIME(875996580);
- FROM_UNIXTIME(unix_timestamp,format) : 유닉스시간을 날짜형식으로 변환하고 DATE_FORMAT(date,format) 에서 설명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반환한다.
- 예 : select FROM_UNIXTIME(UNIX_TIMESTAMP(), '%Y %D %M %h:%i:%s %x');
- TIME_TO_SEC(time) : 해당 시간의 0:0:0 에서부터의 초를 반환한다.
- 예 : select TIME_TO_SEC('22:23:00');
- SEC_TO_TIME(seconds) : 초를 시간으로 바꾼다.
- 예 : select SEC_TO_TIME(2378);
- 예 : select DAYOFWEEK('1998-02-03');
- WEEKDAY(date) : 해당 날짜에 대한 요일을 반환한다. 월요일은 0, 일요일은 6 이다.
- 예 : select WEEKDAY('1997-10-04 22:23:00');
- DAYOFYEAR(date) : 해당 날짜의 1월 1일부터의 날수를 반환한다. 결과값은 1에서 366 까지이다.
- 예 : select DAYOFYEAR('1998-02-03');
- YEAR(date) : 해당 날짜의 년을 반환한다.
- 예 : select YEAR('98-02-03');
- MONTH(date) : 해당 날짜의 월을 반환한다.
- 예 : select MONTH('1998-02-03');
- DAYOFMONTH(date) : 해당 날짜의 일을 반환한다. 결과값은 1 에서 31 까지이다.
- 예 : select DAYOFMONTH('1998-02-03');
- HOUR(time) : 해당날짜의 시간을 반환한다. 결과값은 0 에서 23 이다.
- 예 : select HOUR('10:05:03');
- MINUTE(time) : 해당날짜의 분을 반환한다. 결과값은 0 에서 59 이다.
- 예 : select MINUTE('98-02-03 10:05:03');
- SECOND(time) : 해당날짜의 초를 반환한다. 결과값은 0 에서 59 이다.
- 예 : select SECOND('10:05:03');
- DAYNAME(date) : 해당 날짜의 요일 이름을 반환한다. 일요일은 'Sunday' 이다.
- 예 : select DAYNAME("1998-02-05");
- MONTHNAME(date) : 해당 날짜의 월 이름을 반환한다. 2월은 'February' 이다.
- 예 : select MONTHNAME("1998-02-05");
- QUARTER(date) : 해당 날짜의 분기를 반환한다. 결과값은 1 에서 4 이다.
- WEEK(date,first) : 1월 1일부터 해당날가지의 주 수를 반환한다. 주의 시작을 일요일부터 할경우는 두번째 인자를 0, 월요일부터 시작할 경우는 1 을 넣는다. 결과값은 1 에서 52 이다.
- 예 : select WEEK('1998-02-20',1);
- PERIOD_ADD(P,N) : P (형식은 YYMM 또는 YYYYMM 이어야 한다.) 에 N 만큼의 달 수를 더한값을 반환한다. 주의할것은 두번째 인자는 숫자라는 것이다.
- 예 : select PERIOD_ADD(9801,2);
- PERIOD_DIFF(P1,P2) : 두개의 인자 사이의 달 수를 반환한다. 두개의 인자 모두 형식은 YYMM 또는 YYYYMM 이어야 한다.
- DATE_ADD(date,INTERVAL expr type) : 날짜를 더한 날짜를 반환한다.
- DATE_SUB(date,INTERVAL expr type) : 날짜를 뺀 날짜를 반환한다.
- ADDDATE(date,INTERVAL expr type) : DATE_ADD(date,INTERVAL expr type) 와 동일하다.
- SUBDATE(date,INTERVAL expr type) : DATE_SUB(date,INTERVAL expr type) 와 동일하다.
- EXTRACT(type FROM date) : 날짜에서 해당 부분을 추출한다.
- 예 : SELECT DATE_ADD("1997-12-31 23:59:59", INTERVAL 1 SECOND);
SELECT DATE_ADD("1997-12-31 23:59:59", INTERVAL 1 DAY);
SELECT DATE_ADD("1997-12-31 23:59:59", INTERVAL "1:1" MINUTE_SECOND);
SELECT DATE_SUB("1998-01-01 00:00:00", INTERVAL "1 1:1:1" DAY_SECOND);
SELECT DATE_ADD("1998-01-01 00:00:00", INTERVAL "-1 10" DAY_HOUR);
SELECT DATE_SUB("1998-01-02", INTERVAL 31 DAY);
SELECT EXTRACT(YEAR FROM "1999-07-02");
SELECT EXTRACT(YEAR_MONTH FROM "1999-07-02 01:02:03");
SELECT EXTRACT(DAY_MINUTE FROM "1999-07-02 01:02:03");
- 참고 : type 에 사용되는 키워드는 SECOND, MINUTE, HOUR, DAY, MONTH, YEAR, MINUTE_SECOND, HOUR_MINUTE, DAY_HOUR, YEAR_MONTH, HOUR_SECOND, DAY_MINUTE, DAY_SECOND 이다.
- 주의 : 계산한 달의 날수가 작을 경우는 해당달의 마지막 날을 반환한다. 예를 들어 select DATE_ADD('1998-01-30', Interval 1 month); 의 경우 1998-02-28 을 반환한다.
- TO_DAYS(date) : 0 년 부터의 날짜수를 반환한다. 이 함수는 1582 이전 날에 대해서는 계산하지 않는다.
- 예 : select TO_DAYS(950501);
- FROM_DAYS(N) : 해당 숫자만큼의 날짜를 반환한다. 이 함수는 1582 이전 날에 대해서는 계산하지 않는다.
- 예 : select FROM_DAYS(729669);
- DATE_FORMAT(date,format) : 날짜를 해당 형식의 문자열로 변환하여 반환한다.
- 예 : select DATE_FORMAT('1997-10-04 22:23:00', '%W %M %Y');
select DATE_FORMAT('1997-10-04 22:23:00', '%H:%i:%s');
select DATE_FORMAT('1997-10-04 22:23:00', '%D %y %a %d %m %b %j');
select DATE_FORMAT('1997-10-04 22:23:00', '%H %k %I %r %T %S %w');
- 참고 : 형식은 다음과 같다. %M (달 이름), %W (요일 이름), %Y (YYYY 형식의 년도), %y (YY 형식의 년도), %a (요일 이름의 약자), %d (DD 형식의 날짜), %e (D 형식의 날짜), %m (MM 형식의 날짜), %c (M 형식의 날짜), %H (HH 형식의 시간, 24시간 형식), %k (H 형식의 시간, 24시간 형식), %h (HH 형식의 시간, 12시간 형식), %i (MM 형식의 분), %p (AM 또는 PM)
- TIME_FORMAT(time,format) : DATE_FORMAT(date,format) 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할수 있으나 날 이상의 것에 대해서는 NULL 이나 0 을 반환한다.
- CURDATE() : 현재날짜를 반환한다. 숫자와 연산을 할경우 숫자로 변환된다. 형식은 'YYYY-MM-DD' 또는 YYYYMMDD 이다.
- 예 : select CURDATE();
select CURDATE() + 0;
- CURTIME() : 현재시간을 반환한다. 숫자와 연산을 할경우 숫자로 변환된다. 형식은 'HH:MM:SS' 또는 HHMMSS 이다.
- 예 : select CURTIME();
select CURTIME() + 0;
- SYSDATE() : 현재날짜시간을 반환한다. 숫자와 연산을 할경우 숫자로 변환된다. 형식은 'YYYY-MM-DD HH:MM:SS' 또는 YYYYMMDDHHMMSS 이다.
- 예 : select NOW();
select NOW() + 0;
- NOW() : SYSDATE() 와 동일하다.
- UNIX_TIMESTAMP() : '1970-01-01 00:00:00' 부터의 초를 반환한다. 인자가 주어질 경우는 해당 날짜에 대한 유닉스 시간을 반환한다.
- 예 : select UNIX_TIMESTAMP();
select UNIX_TIMESTAMP('1997-10-04 22:23:00');
- FROM_UNIXTIME(unix_timestamp) : 유닉스시간에서 날짜 형식으로 변환한다.
- 예 : select FROM_UNIXTIME(875996580);
- FROM_UNIXTIME(unix_timestamp,format) : 유닉스시간을 날짜형식으로 변환하고 DATE_FORMAT(date,format) 에서 설명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반환한다.
- 예 : select FROM_UNIXTIME(UNIX_TIMESTAMP(), '%Y %D %M %h:%i:%s %x');
- TIME_TO_SEC(time) : 해당 시간의 0:0:0 에서부터의 초를 반환한다.
- 예 : select TIME_TO_SEC('22:23:00');
- SEC_TO_TIME(seconds) : 초를 시간으로 바꾼다.
- 예 : select SEC_TO_TIME(2378);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27:00 MySQL에서 이동 됨]
댓글 3개
16년 전
올려주신 함수 잘 보고 갑니다.
이쪽( http://www.inibrain.com/sqldicView.action?sqldic.bbs_seq=335 ) 에도 있긴 한데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는데
URL 남겼으니 필요하신 분은 가보세요~
이쪽( http://www.inibrain.com/sqldicView.action?sqldic.bbs_seq=335 ) 에도 있긴 한데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는데
URL 남겼으니 필요하신 분은 가보세요~
16년 전
http://dev.mysql.com/doc/refman/4.1/en/date-and-time-functions.html
http://dev.mysql.com/doc/refman/5.0/en/date-and-time-functions.html
http://dev.mysql.com/doc/refman/5.1/en/date-and-time-functions.html
참고하세요.
http://dev.mysql.com/doc/refman/5.0/en/date-and-time-functions.html
http://dev.mysql.com/doc/refman/5.1/en/date-and-time-functions.html
참고하세요.
내삶은멋장이
14년 전
좋네요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755 | |
| 21562 | |
| 21559 | |
| 754 | |
| 750 | |
| 749 | |
| 13899 | |
| 745 | |
| 741 | |
| 739 | |
| 728 | |
| 21546 | |
| 21536 | |
| 25342 | |
| 21500 | |
| 725 | |
| 722 | |
| 713 | |
| 21483 | |
| 21464 | |
| 709 | |
| 706 | |
| 25340 | |
| 25338 | |
| 25335 | |
| 698 | |
| 681 | |
| 679 | |
| 676 | |
| 25333 | |
| 673 | |
| 13894 | |
| 13891 |
JavaScript
PHP 패턴 변경자
2
|
| 664 | |
| 655 | |
| 21451 | |
| 642 | |
| 25332 | |
| 21447 | |
| 29541 |
HTML
시간함수...
3
|
| 21430 | |
| 21423 | |
| 13889 | |
| 638 | |
| 627 | |
| 29540 |
HTML
XSS 방지를 위한 태그 비활성화
|
| 623 | |
| 621 | |
| 617 | |
| 612 | |
| 607 | |
| 25331 | |
| 600 | |
| 13886 |
jQuery
드롭다운 메뉴 CSS with jQuery
2
|
| 21405 | |
| 592 | |
| 13879 | |
| 591 | |
| 583 | |
| 13868 | |
| 25317 | |
| 581 | |
| 21402 | |
| 576 | |
| 13866 | |
| 21365 | |
| 21362 | |
| 21359 | |
| 21354 | |
| 25313 | |
| 21346 | |
| 13865 |
MySQL
테이블의 상태를 리스트로 확인하기
|
| 570 | |
| 567 | |
| 21317 | |
| 13860 |
Linux
리눅스 상에서 오라클 설치 |
4
|
| 25309 | |
| 13859 |
기타
액션스크립트 짜주실분
|
| 21297 | |
| 25307 | |
| 559 | |
| 13855 |
Flash
플래시가 화면에 꽉차게...
3
|
| 21291 | |
| 13853 | |
| 21288 | |
| 13852 |
JavaScript
10g 논리적 백업
|
| 13851 |
기타
백업/복원하기
|
| 21279 | |
| 550 | |
| 25306 | |
| 545 | |
| 13846 | |
| 534 | |
| 21274 | |
| 25297 | |
| 21265 | |
| 25295 | |
| 21262 | |
| 21257 | |
| 21250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