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mysql 리플리케이션으로 DB를 백업하자

· 15년 전 · 2440 · 5

가. Master 서버 설정


1. Slave 서버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권한을 준다.


mysql> GRANT REPLICATION SLAVE ON *.* TO 'ID'@'IP' IDENTIFIED BY 'PASSWORD';


ID : Master MySQL의 user id로 Slave의  접근함

IP : Slave 서버의 IP

PASSWORD :  MySQL에서 쓰는 id의 password


2. Master 역할을  수 있는 권한 부여


# vi /etc/my.cnf

[mysqld]
server-id = 1
binlog-do-db = 'DB_NAME'
binlog-ignore-db = mysql
binlog-ignore-db = information_schema
log-bin = mysql-bin


server-id  동기화 구성에 참여한 각각의 MySQL들을 구분짓기 위한 UNIQUE ID로서 중복되면 

binlog-do-db : 실제 동기화 하려는 대상 DB의 이름. DB마다  라인씩 추가하면 된다.

binlog-ignore-db : 동기화 하지 않을 DB의  DB마다 한 라인씩 추가하면 된다.

log-bin : 아마도 mysql의  file 이름.


나. Slave 서버 


1. Slave 역할을 할 수  권한 부여


# vi /etc/my.cnf

[mysqld]
server-id = 2
master-host = 'Master IP'
master-user = 'ID'
master-password = 'PASSWORD'
master-port = 3306
log-bin = mysql-bin


server-id :  역할과 동일하게 UNIQUE ID

master-host : Master 서버의 IP

master-user : Master 서버의 MySQL에 생성했던 Replication 계정 ID

master-password : Replication 계정 ID의 비밀번호

master-port :  서버의 MySQL 원격 접속 포트번호 (기본: 3306)

log-bin :  역할과 동일하게 아마도 log file 이름


다. 동기화 작동


1. Master  재시작 후 MySQL에 접속


2. Master 서버  확인


mysql> SHOW MASTER STATUS\G
********************** 1. row **********************
                   File : mysql-bin.000003
             Position : 98
     Binlog_Do_DB : test
Binlog_Ignore_DB : mysql, information_schema
1 row in set (0.00 sec)
mysql>


3. Slave 서버  후 MySQL에 접속


4. Slave 서버 동작 



mysql> START SLAVE;
mysql> SHOW SLAVE STATUS\G
********************** 1. row **********************
           Slave_IO_State : Waiting for master to send event (정상)
              Master_Host : IP
              Master_User : ID
               Master_Port : 3306
        Connection_Retry : 60
         Master_Log_File : mysql-bin.000003
Read_Master_Log_Pos : 98 
.
.
       Slave_IO_Running : Yes (정상)
    Slave_SQL_Running : Yes (정상)
.
.
1 row in set (0.00 sec)
mysql>


Read_Master_Log_Pos :  STATUS의 Position과 동일하다.


Slave_IO_State, Slave_IO_Running, Slave_SQL_Running 의  위와 같다면 정상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 5개

ㄳㄳ
15년 전
부럽습니다.디비 서버 2개 돌려본 회사에 있어본적이 없어서.


지인들 이야기로는,

디비 리플리케이션은 윗선의 압력이 아니라면 안하는게 정신건강에 좋다는 의견이 대부분입니다.

생각보다 리플리케이션이 자주끊기는 편이며 동기화도 약간씩 차이가 나며, 심한경우에는

master 쪽이 block 되는 현상이 가끔 생긴다고 하네요.
정리 잘 된 글이네요.
14년 전
5555555555
감사합니다.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13686
13683
21003
13680
25150
25143
20981
13679
13678
13677
13675
13674
29483
13672
13671
13670
13669
29482
13668
13666
29481
29480
13665
13664
13663
13662
13661
25124
25116
20970
13660
JavaScript adsc
13658
29479
13655
13650
13648
13647
13646
29478
13645
PHP 3.0
13643
13642
13640
13637
13636
13635
13634
29476
13633
13632
13630
29473
13624
13620
13582
13556
29472
29471
13555
13554
13553
13552
13551
13550
13546
13545
13544
29470
13541
13540
13538
13535
29466
13533
29463
13532
13531
13529
29462
13528
29459
29458
13527
13526
13525
13523
13522
13512
13510
13507
13498
29452
13492
13487
29450
13480
13474
13460
13457
29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