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이나 문자열 내에 포함되어 있는 특별한 패턴(또는 특별한 조건을 만족하는 문자열)을 검색하기 위해 미리 정의된 다양한 특수 문자들의 조합을 정규식(regular expression)이라 한다. 정규식에서의 특수 문자(special character)는 다음과 같다.
(1) ^ (caret) : 라인의 처음이나 문자열의 처음을 표시
예 : ^aaa (문자열의 처음에 aaa를 포함하면 참, 그렇지 않으면 거짓)
(2) $ (dollar) : 라인의 끝이나 문자열의 끝을 표시
예 : aaa$ (문자열의 끝에 aaa를 포함하면 참, 그렇지 않으면 거짓)
(3) . (period) : 임의의 한 문자를 표시
예 : ^a.c (문자열의 처음에 abc, adc, aZc 등은 참, aa 는 거짓)
a..b$ (문자열의 끝에 aaab, abbb, azzb 등을 포함하면 참)
(4) [] (bracket) : 문자의 집합이나 범위를 나타냄, 두 문자 사이의 "-"는 범위를 나타냄
[]내에서 "^"이 선행되면 not을 나타냄
이외에도 "문자클래스"를 포함하는 [:문자클래스:]의 형태가 있다.
여기에서 "문자클래스"에는 alpha, blank, cntrl, digit, graph, lower,
print, space, uppper, xdigit가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C언어의 <ctype.h>를 참조하면 된다.
예를 들어 [:digit:]는 [0-9]와 [:alpha:]는 [A-Za-z]와 동일하다.
이외에 [:<:]와 [:>:]는 어떤 단어(숫자, 알파벳, '_'로 구성됨)의 시작과 끝
을 나타낸다.
예 : [abc] (a, b, c 중 어떤 문자, "[a-c]."과 동일)
[Yy] (Y 또는 y)
[A-Za-z0-9] (모든 알파벳과 숫자)
[-A-Z]. ("-"(hyphen)과 모든 대문자)
[^a-z] (소문자 이외의 문자)
[^0-9] (숫자 이외의 문자)
[[:digit:]] ([0-9]와 동일)
(5) {} (brace) : {} 내의 숫자는 직전의 선행문자가 나타나는 횟수 또는 범위를 나타냄
예 : a{3} ('a'의 3번 반복인 aaa만 해당됨)
a{3,} ('a'가 3번 이상 반복인 aaa, aaaa, aaaa, ... 등을 나타냄)
a{3,5} (aaa, aaaa, aaaaa 만 해당됨)
ab{2,3} (abb와 abbb 만 해당됨)
[0-9]{2} (두 자리 숫자)
doc[7-9]{2} (doc77, doc87, doc97 등이 해당)
[^Zz]{5} (Z와 z를 포함하지 않는 5개의 문자열, abcde, ttttt 등이 해당)
.{3,4}er ('er'앞에 세 개 또는 네 개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열이므로 Peter, mother 등이 해당)
(6) * (asterisk) : "*" 직전의 선행문자가 0번 또는 여러번 나타나는 문자열
예 : ab*c ('b'를 0번 또는 여러번 포함하므로 ac, ackdddd, abc, abbc, abbbbbbbc 등)
* (선행문자가 없는 경우이므로 임의의 문자열 및 공백 문자열도 해당됨)
.* (선행문자가 "."이므로 하나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열, 공백 문자열은 안됨)
ab* ('b'를 0번 또는 여러번 포함하므로 a, accc, abb, abbbbbbb 등)
a* ('a'를 0번 또는 여러번 포함하므로 k, kdd, sdfrrt, a, aaaa, abb, 공백문자열 등)
doc[7-9]* (doc7, doc777, doc778989, doc 등이 해당)
[A-Z].* (대문자로만 이루어진 문자열)
like.* (직전의 선행문자가 '.'이므로 like에 0 또는 하나 이상의 문자가 추가된 문자열이 됨, like, likely, liker, likelihood 등)
(7) + (asterisk) : "+" 직전의 선행문자가 1번 이상 나타나는 문자열
예 : ab+c ('b'를 1번 또는 여러번 포함하므로 abc, abckdddd, abbc, abbbbbbbc 등, ac는 안됨)
ab+ ('b'를 1번 또는 여러번 포함하므로 ab, abccc, abb, abbbbbbb 등)
like.+ (직전의 선행문자가 '.'이므로 like에 하나 이상의 문자가 추가된 문자열이 됨, likely, liker, likelihood 등, 그러나 like는 해당안됨)
[A-Z]+ (대문자로만 이루어진 문자열)
(8) ? (asterisk) : "?" 직전의 선행문자가 0번 또는 1번 나타나는 문자열
예 : ab?c ('b'를 0번 또는 1번 포함하므로 abc, abcd 만 해당됨)
(9) () (parenthesis) : ()는 정규식내에서 패턴을 그룹화 할 때 사용
(10) | (bar) : or를 나타냄
예 : a|b|c (a, b, c 중 하나, 즉 [a-c]와 동일함)
yes|Yes (yes나 Yes 중 하나, [yY]es와 동일함)
korea|japan|chinese (korea, japan, chinese 중 하나)
(11) \ (backslash) : 위에서 사용된 특수 문자들을 정규식내에서 문자를 취급하고 싶을 때 '\'를 선행시켜서 사용하면됨
예 : filename\.ext ("filename.ext"를 나타냄)
[\?\[\\\]] ('?', '[', '\', ']' 중 하나)
정규식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특수 문자를 제외한 나머지 문자들은 일반 문자로 취급함
정규식은 Unix의 대표적인 유틸리티인 vi, emacs, ed, sed, awk, grep, egrep 등에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은 grep에서 정규식을 활용한 예를 보여 주고 있다.
(1) $ 명령어 | grep '정규식'
<= 명령어의 결과를 grep이 입력받아 정규식을 이용하여 패턴을 찾아냄
예 : $ who | grep 'hgkim' <= hgkim이라는 사용자가 login 해 있는지를 알아봄
$ ls -al | grep '^d.*' <= ls -al 의 결과 'd'로 시작하는 라인(즉 디렉토리들)
만을 출력
$ ls -al | grep '^d.*' <= ls -al 의 결과 'd'로 시작하는 라인(즉 디렉토리들)
만을 출력
$ ls -al | grep '^[^d]..x..x..x' <= 디렉토리는 제외하고("[^d]") 누구나
실행가능한 파일("..x..x..x")들 찾기
(2) $ grep '정규식' 파일이름
<= 파일을 입력받아 정규식을 이용하여 패턴을 찻아냄
예: $ grep 'telnet' /etc/inetd.conf
이외의 명령어들도 grep과 유사한 형태로 이용된다. 따라서 정규식을 잘 이용하면 유닉스의 활용이 배가 될 것이다.
PHP에서는 정규식과 관련하여 다음의 네가지 함수를 제공한다.
int ereg(string givenPattern, string givenString, array matched);
- givenString을 "string1stringAstring2stringBstring3 ... string9stringI" 로 주어져 있다고 하자. 이때 stringA, stringB, ... , stringI는 NULL 이어도 상관이 없다(즉 givenString은 "string1string2string3 ... string9" 인 경우임).
- givenString이 위와 같이 주어진 경우,
givenPattern은 "(pattern1)stringA(pattern2)stringB(pattern3) ... (pattern9)stringI"로 입력하여야 한다. 즉 pattern1, pattern2, ..., pattern9는 각각 string1, string2, ... , string9에서 찾고자하는 정규식인 것이다.
- 이때 pattern1이 string1에서 발견한 패턴은 $matched[1]에 저장되고, pattern2가 string2에서 발견한 패턴은 $matched[2]에 저장되고, ..., pattern9가 string9에서 발견한 패턴은 $matched[9]에 저장된다. PHP3의 경우 ereg에서는 최대 9개 까지의 pattern을 찾을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음에 유의하자.
- 그리고 $matched[0]에는 $matched[1]stringA$matched[2]stringB ... $matched[9]stringI가 저장된다.
- ereg가 반환하는 값은 $matched[0]에 저장된 문자열의 개수이다.
- ereg는 case sensitive
- eregi는 case insensitive
예1 :
코드 => print(ereg ("(.*)ef([abc].*)","abcdefabc",$matched));
print("<br>");
while (list($a,$b)=each($matched))
if ($b)
print("$a, $b <br>");
결과 => 9
0, abcdefabc
1, abcd
2, abc
예2 :
코드 => print(ereg ("(.*)d(.*)e(.*)qrs(.*)","abcdefghijklmnopqrstuvwxyz",$matched));
print("<br>");
while (list($a,$b)=each($matched))
if ($b)
print("$a, $b <br>");
결과 => 26
0, abcdefghijklmnopqrstuvwxyz
1, abc
3, fghijklmnop
4, tuvwxyz
예 3 :
코드 => $date="1999-11-17";
if (ereg("([0-9]{4})-([0-9]{1,2})-([0-9]{1,2})", $date, $regs))
print("$regs[3].$regs[2].$regs[1]");
else print("Invalid date format: $date");
결과 => 17.11.1999
예 4 :
코드 => $joomin="711011-1234567";
if (ereg("([0-9]{2})([01]{1}[09]{1}[0-3]{1}[0-9]{1})-([12]{1}[0-9]{6})",$date, $regs))
print("Valid");
else print("Invalid format: $joomin");
int eregi(string givenPattern, string givenString, array matched);
- ereg의 'case insensitive' 버젼
예 :
코드 => $email="xs9_tx-abc.yyy_c@cne.kyungsung.ac.kr";
eregi("(^[_\.0-9a-z-]+)@(([0-9a-z][0-9a-z-]+\.)+)([a-z]{2,3}$)",$email,$matched);
while (list($a,$b)=each($matched))
if ($b) print("$a, $b <br>");
결과 => 0, xs9_tx-abc.yyy_c@cne.kyungsung.ac.kr
1, xs9_tx-abc.yyy_c
2, cne.kyungsung.ac.
3, ac.
4, kr
코드 => eregi("^[_\.0-9a-z-]+@([0-9a-z][0-9a-z-]+\.)+[a-z]{2,3}$",$email,$matched);
while (list($a,$b)=each($matched))
if ($b) print("$a, $b <br>");
결과 => 0, xs9_tx-abc.yyy_c@cne.kyungsung.ac.kr
1, ac.
string ereg_replace(string givenPattern, string replacementPattern, string givenString);
- givenString에서 givenPattern에 부합하는 텍스트(matched text)를 찾아서,
replacementPattern으로 대체
- givenPattern이 "(패턴)"으로 묶인 문자열들을 포함하고 있으면, replacementPattern에는 이에 대응하는 "\\digit(문자열)" 형태의 문자열들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digit는 0, 1, ... ,9 중 하나). 그리고 givenString은 "(패턴)"을 이용해 찾은 결과들을 "\\digit(문자열)"에 있는 "문자열"들로 대체하게 된다. "\\0" 는 givenString 전체에 대해 "(패턴)"의 결과를 적용할 때 이용된다.
- 변경된 문자열을 리턴
- case sensitive
예 :
코드 => $string = "This is a test";
print(ereg_replace(" is", " was",$string)); print("<br>");
print(ereg_replace("( )is","\\1was",$string)); print("<br>");
print(ereg_replace("(( )is)","\\2was",$string)); print("<br>");
print(ereg_replace("(( )is)(( )a)(( )test)", "\\1was\\2an\\3exam",$string));
결과 => "This was a test";
"This was a test";
"This was a test";
"This was an exam";
예 2 : redundant whitespace 없애기
코드 => $str ="~ s/\s+/ /g";
$str = eregi_replace("[[:space:]]+", " ", $str);
print("$str<br>");
결과 => ~ s/\s+/ /g
string eregi_replace(string givenPattern, string replacementPattern, string givenString);
- ereg_replace의 'case insensitive' 버젼
(1) ^ (caret) : 라인의 처음이나 문자열의 처음을 표시
예 : ^aaa (문자열의 처음에 aaa를 포함하면 참, 그렇지 않으면 거짓)
(2) $ (dollar) : 라인의 끝이나 문자열의 끝을 표시
예 : aaa$ (문자열의 끝에 aaa를 포함하면 참, 그렇지 않으면 거짓)
(3) . (period) : 임의의 한 문자를 표시
예 : ^a.c (문자열의 처음에 abc, adc, aZc 등은 참, aa 는 거짓)
a..b$ (문자열의 끝에 aaab, abbb, azzb 등을 포함하면 참)
(4) [] (bracket) : 문자의 집합이나 범위를 나타냄, 두 문자 사이의 "-"는 범위를 나타냄
[]내에서 "^"이 선행되면 not을 나타냄
이외에도 "문자클래스"를 포함하는 [:문자클래스:]의 형태가 있다.
여기에서 "문자클래스"에는 alpha, blank, cntrl, digit, graph, lower,
print, space, uppper, xdigit가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C언어의 <ctype.h>를 참조하면 된다.
예를 들어 [:digit:]는 [0-9]와 [:alpha:]는 [A-Za-z]와 동일하다.
이외에 [:<:]와 [:>:]는 어떤 단어(숫자, 알파벳, '_'로 구성됨)의 시작과 끝
을 나타낸다.
예 : [abc] (a, b, c 중 어떤 문자, "[a-c]."과 동일)
[Yy] (Y 또는 y)
[A-Za-z0-9] (모든 알파벳과 숫자)
[-A-Z]. ("-"(hyphen)과 모든 대문자)
[^a-z] (소문자 이외의 문자)
[^0-9] (숫자 이외의 문자)
[[:digit:]] ([0-9]와 동일)
(5) {} (brace) : {} 내의 숫자는 직전의 선행문자가 나타나는 횟수 또는 범위를 나타냄
예 : a{3} ('a'의 3번 반복인 aaa만 해당됨)
a{3,} ('a'가 3번 이상 반복인 aaa, aaaa, aaaa, ... 등을 나타냄)
a{3,5} (aaa, aaaa, aaaaa 만 해당됨)
ab{2,3} (abb와 abbb 만 해당됨)
[0-9]{2} (두 자리 숫자)
doc[7-9]{2} (doc77, doc87, doc97 등이 해당)
[^Zz]{5} (Z와 z를 포함하지 않는 5개의 문자열, abcde, ttttt 등이 해당)
.{3,4}er ('er'앞에 세 개 또는 네 개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열이므로 Peter, mother 등이 해당)
(6) * (asterisk) : "*" 직전의 선행문자가 0번 또는 여러번 나타나는 문자열
예 : ab*c ('b'를 0번 또는 여러번 포함하므로 ac, ackdddd, abc, abbc, abbbbbbbc 등)
* (선행문자가 없는 경우이므로 임의의 문자열 및 공백 문자열도 해당됨)
.* (선행문자가 "."이므로 하나 이상의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열, 공백 문자열은 안됨)
ab* ('b'를 0번 또는 여러번 포함하므로 a, accc, abb, abbbbbbb 등)
a* ('a'를 0번 또는 여러번 포함하므로 k, kdd, sdfrrt, a, aaaa, abb, 공백문자열 등)
doc[7-9]* (doc7, doc777, doc778989, doc 등이 해당)
[A-Z].* (대문자로만 이루어진 문자열)
like.* (직전의 선행문자가 '.'이므로 like에 0 또는 하나 이상의 문자가 추가된 문자열이 됨, like, likely, liker, likelihood 등)
(7) + (asterisk) : "+" 직전의 선행문자가 1번 이상 나타나는 문자열
예 : ab+c ('b'를 1번 또는 여러번 포함하므로 abc, abckdddd, abbc, abbbbbbbc 등, ac는 안됨)
ab+ ('b'를 1번 또는 여러번 포함하므로 ab, abccc, abb, abbbbbbb 등)
like.+ (직전의 선행문자가 '.'이므로 like에 하나 이상의 문자가 추가된 문자열이 됨, likely, liker, likelihood 등, 그러나 like는 해당안됨)
[A-Z]+ (대문자로만 이루어진 문자열)
(8) ? (asterisk) : "?" 직전의 선행문자가 0번 또는 1번 나타나는 문자열
예 : ab?c ('b'를 0번 또는 1번 포함하므로 abc, abcd 만 해당됨)
(9) () (parenthesis) : ()는 정규식내에서 패턴을 그룹화 할 때 사용
(10) | (bar) : or를 나타냄
예 : a|b|c (a, b, c 중 하나, 즉 [a-c]와 동일함)
yes|Yes (yes나 Yes 중 하나, [yY]es와 동일함)
korea|japan|chinese (korea, japan, chinese 중 하나)
(11) \ (backslash) : 위에서 사용된 특수 문자들을 정규식내에서 문자를 취급하고 싶을 때 '\'를 선행시켜서 사용하면됨
예 : filename\.ext ("filename.ext"를 나타냄)
[\?\[\\\]] ('?', '[', '\', ']' 중 하나)
정규식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특수 문자를 제외한 나머지 문자들은 일반 문자로 취급함
정규식은 Unix의 대표적인 유틸리티인 vi, emacs, ed, sed, awk, grep, egrep 등에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은 grep에서 정규식을 활용한 예를 보여 주고 있다.
(1) $ 명령어 | grep '정규식'
<= 명령어의 결과를 grep이 입력받아 정규식을 이용하여 패턴을 찾아냄
예 : $ who | grep 'hgkim' <= hgkim이라는 사용자가 login 해 있는지를 알아봄
$ ls -al | grep '^d.*' <= ls -al 의 결과 'd'로 시작하는 라인(즉 디렉토리들)
만을 출력
$ ls -al | grep '^d.*' <= ls -al 의 결과 'd'로 시작하는 라인(즉 디렉토리들)
만을 출력
$ ls -al | grep '^[^d]..x..x..x' <= 디렉토리는 제외하고("[^d]") 누구나
실행가능한 파일("..x..x..x")들 찾기
(2) $ grep '정규식' 파일이름
<= 파일을 입력받아 정규식을 이용하여 패턴을 찻아냄
예: $ grep 'telnet' /etc/inetd.conf
이외의 명령어들도 grep과 유사한 형태로 이용된다. 따라서 정규식을 잘 이용하면 유닉스의 활용이 배가 될 것이다.
PHP에서는 정규식과 관련하여 다음의 네가지 함수를 제공한다.
int ereg(string givenPattern, string givenString, array matched);
- givenString을 "string1stringAstring2stringBstring3 ... string9stringI" 로 주어져 있다고 하자. 이때 stringA, stringB, ... , stringI는 NULL 이어도 상관이 없다(즉 givenString은 "string1string2string3 ... string9" 인 경우임).
- givenString이 위와 같이 주어진 경우,
givenPattern은 "(pattern1)stringA(pattern2)stringB(pattern3) ... (pattern9)stringI"로 입력하여야 한다. 즉 pattern1, pattern2, ..., pattern9는 각각 string1, string2, ... , string9에서 찾고자하는 정규식인 것이다.
- 이때 pattern1이 string1에서 발견한 패턴은 $matched[1]에 저장되고, pattern2가 string2에서 발견한 패턴은 $matched[2]에 저장되고, ..., pattern9가 string9에서 발견한 패턴은 $matched[9]에 저장된다. PHP3의 경우 ereg에서는 최대 9개 까지의 pattern을 찾을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음에 유의하자.
- 그리고 $matched[0]에는 $matched[1]stringA$matched[2]stringB ... $matched[9]stringI가 저장된다.
- ereg가 반환하는 값은 $matched[0]에 저장된 문자열의 개수이다.
- ereg는 case sensitive
- eregi는 case insensitive
예1 :
코드 => print(ereg ("(.*)ef([abc].*)","abcdefabc",$matched));
print("<br>");
while (list($a,$b)=each($matched))
if ($b)
print("$a, $b <br>");
결과 => 9
0, abcdefabc
1, abcd
2, abc
예2 :
코드 => print(ereg ("(.*)d(.*)e(.*)qrs(.*)","abcdefghijklmnopqrstuvwxyz",$matched));
print("<br>");
while (list($a,$b)=each($matched))
if ($b)
print("$a, $b <br>");
결과 => 26
0, abcdefghijklmnopqrstuvwxyz
1, abc
3, fghijklmnop
4, tuvwxyz
예 3 :
코드 => $date="1999-11-17";
if (ereg("([0-9]{4})-([0-9]{1,2})-([0-9]{1,2})", $date, $regs))
print("$regs[3].$regs[2].$regs[1]");
else print("Invalid date format: $date");
결과 => 17.11.1999
예 4 :
코드 => $joomin="711011-1234567";
if (ereg("([0-9]{2})([01]{1}[09]{1}[0-3]{1}[0-9]{1})-([12]{1}[0-9]{6})",$date, $regs))
print("Valid");
else print("Invalid format: $joomin");
int eregi(string givenPattern, string givenString, array matched);
- ereg의 'case insensitive' 버젼
예 :
코드 => $email="xs9_tx-abc.yyy_c@cne.kyungsung.ac.kr";
eregi("(^[_\.0-9a-z-]+)@(([0-9a-z][0-9a-z-]+\.)+)([a-z]{2,3}$)",$email,$matched);
while (list($a,$b)=each($matched))
if ($b) print("$a, $b <br>");
결과 => 0, xs9_tx-abc.yyy_c@cne.kyungsung.ac.kr
1, xs9_tx-abc.yyy_c
2, cne.kyungsung.ac.
3, ac.
4, kr
코드 => eregi("^[_\.0-9a-z-]+@([0-9a-z][0-9a-z-]+\.)+[a-z]{2,3}$",$email,$matched);
while (list($a,$b)=each($matched))
if ($b) print("$a, $b <br>");
결과 => 0, xs9_tx-abc.yyy_c@cne.kyungsung.ac.kr
1, ac.
string ereg_replace(string givenPattern, string replacementPattern, string givenString);
- givenString에서 givenPattern에 부합하는 텍스트(matched text)를 찾아서,
replacementPattern으로 대체
- givenPattern이 "(패턴)"으로 묶인 문자열들을 포함하고 있으면, replacementPattern에는 이에 대응하는 "\\digit(문자열)" 형태의 문자열들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digit는 0, 1, ... ,9 중 하나). 그리고 givenString은 "(패턴)"을 이용해 찾은 결과들을 "\\digit(문자열)"에 있는 "문자열"들로 대체하게 된다. "\\0" 는 givenString 전체에 대해 "(패턴)"의 결과를 적용할 때 이용된다.
- 변경된 문자열을 리턴
- case sensitive
예 :
코드 => $string = "This is a test";
print(ereg_replace(" is", " was",$string)); print("<br>");
print(ereg_replace("( )is","\\1was",$string)); print("<br>");
print(ereg_replace("(( )is)","\\2was",$string)); print("<br>");
print(ereg_replace("(( )is)(( )a)(( )test)", "\\1was\\2an\\3exam",$string));
결과 => "This was a test";
"This was a test";
"This was a test";
"This was an exam";
예 2 : redundant whitespace 없애기
코드 => $str ="~ s/\s+/ /g";
$str = eregi_replace("[[:space:]]+", " ", $str);
print("$str<br>");
결과 => ~ s/\s+/ /g
string eregi_replace(string givenPattern, string replacementPattern, string givenString);
- ereg_replace의 'case insensitive' 버젼
댓글 1개
13년 전
정말 감사합니다 ㅠㅠ
게시판 목록
프로그램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
|---|---|---|---|---|
| 4730 |
제너레이션
|
13년 전 | 996 | |
| 4729 | 13년 전 | 934 | ||
| 4728 | 13년 전 | 693 | ||
| 4727 | 13년 전 | 1242 | ||
| 4726 | 13년 전 | 844 | ||
| 4725 | 13년 전 | 1678 | ||
| 4724 | 13년 전 | 1013 | ||
| 4723 | 13년 전 | 2686 | ||
| 4722 | 13년 전 | 551 | ||
| 4721 |
ECEditor
|
13년 전 | 2229 | |
| 4720 | 13년 전 | 2606 | ||
| 4719 | 13년 전 | 4369 | ||
| 4718 | 13년 전 | 937 | ||
| 4717 | 13년 전 | 1167 | ||
| 4716 | 13년 전 | 1343 | ||
| 4715 |
한번잘해보자
|
13년 전 | 1162 | |
| 4714 | 13년 전 | 1162 | ||
| 4713 | 13년 전 | 2818 | ||
| 4712 | 13년 전 | 1243 | ||
| 4711 |
김준수사랑
|
13년 전 | 1006 | |
| 4710 |
한번잘해보자
|
13년 전 | 1133 | |
| 4709 | 13년 전 | 1130 | ||
| 4708 | 13년 전 | 806 | ||
| 4707 | 13년 전 | 1696 | ||
| 4706 |
프로프리랜서
|
13년 전 | 2078 | |
| 4705 |
프로프리랜서
|
13년 전 | 1369 | |
| 4704 | 13년 전 | 961 | ||
| 4703 |
프로프리랜서
|
13년 전 | 929 | |
| 4702 | 13년 전 | 822 | ||
| 4701 | 13년 전 | 1565 | ||
| 4700 | 13년 전 | 2587 | ||
| 4699 | 13년 전 | 1292 | ||
| 4698 |
|
13년 전 | 1591 | |
| 4697 |
|
13년 전 | 1111 | |
| 4696 |
|
13년 전 | 1130 | |
| 4695 |
|
13년 전 | 1337 | |
| 4694 |
|
13년 전 | 860 | |
| 4693 |
|
13년 전 | 845 | |
| 4692 |
|
13년 전 | 856 | |
| 4691 |
|
13년 전 | 1185 | |
| 4690 |
|
13년 전 | 1267 | |
| 4689 |
|
13년 전 | 1011 | |
| 4688 |
|
13년 전 | 779 | |
| 4687 |
|
13년 전 | 1055 | |
| 4686 |
|
13년 전 | 1007 | |
| 4685 |
|
13년 전 | 934 | |
| 4684 |
|
13년 전 | 1036 | |
| 4683 |
|
13년 전 | 928 | |
| 4682 |
|
13년 전 | 1239 | |
| 4681 |
|
13년 전 | 1014 | |
| 4680 |
|
13년 전 | 1134 | |
| 4679 |
|
13년 전 | 1645 | |
| 4678 |
|
13년 전 | 576 | |
| 4677 | 13년 전 | 2910 | ||
| 4676 |
복이219
|
13년 전 | 613 | |
| 4675 | 13년 전 | 809 | ||
| 4674 | 13년 전 | 603 | ||
| 4673 | 13년 전 | 983 | ||
| 4672 | 13년 전 | 925 | ||
| 4671 | 13년 전 | 1193 | ||
| 4670 | 13년 전 | 706 | ||
| 4669 | 13년 전 | 1776 | ||
| 4668 | 13년 전 | 1417 | ||
| 4667 |
너는나의봄이다
|
13년 전 | 1014 | |
| 4666 | 13년 전 | 6684 | ||
| 4665 | 13년 전 | 601 | ||
| 4664 | 13년 전 | 986 | ||
| 4663 | 13년 전 | 834 | ||
| 4662 | 13년 전 | 960 | ||
| 4661 | 13년 전 | 1234 | ||
| 4660 | 13년 전 | 831 | ||
| 4659 | 13년 전 | 1094 | ||
| 4658 |
소나무닷컴
|
13년 전 | 684 | |
| 4657 | 13년 전 | 700 | ||
| 4656 |
|
13년 전 | 1230 | |
| 4655 | 13년 전 | 3084 | ||
| 4654 | 13년 전 | 667 | ||
| 4653 | 13년 전 | 2093 | ||
| 4652 | 13년 전 | 864 | ||
| 4651 | 13년 전 | 768 | ||
| 4650 | 13년 전 | 1652 | ||
| 4649 | 13년 전 | 1578 | ||
| 4648 | 13년 전 | 598 | ||
| 4647 | 13년 전 | 1495 | ||
| 4646 | 13년 전 | 1927 | ||
| 4645 | 13년 전 | 1326 | ||
| 4644 | 13년 전 | 586 | ||
| 4643 | 13년 전 | 2001 | ||
| 4642 | 13년 전 | 797 | ||
| 4641 |
|
13년 전 | 584 | |
| 4640 | 13년 전 | 554 | ||
| 4639 |
|
13년 전 | 1287 | |
| 4638 |
|
13년 전 | 1662 | |
| 4637 |
|
13년 전 | 1123 | |
| 4636 | 13년 전 | 612 | ||
| 4635 | 13년 전 | 750 | ||
| 4634 | 13년 전 | 1250 | ||
| 4633 | 13년 전 | 1198 | ||
| 4632 |
|
13년 전 | 534 | |
| 4631 | 13년 전 | 3338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