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악보를 대체텍스트로 제공한다면?

· 12년 전 · 5247 · 13

목차

  1. 고민의 시작
  2. 예시) 학교종
    1. 악보
    2. 방법#1 음절별 계이름 후 가사
    3. 방법#2 어절별 계이름 후 가사
    4. 방법#3 전체 계이름 후 전체 가사
    5. 방법#4 가사만 제공
    6. 방법#5 대체텍스트 미제공
  3. 다른 의견들
  4. 고민의 결론

고민의 시작

페이스북 한국 웹 접근성 그룹의 조은님 게시물을 보고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해당 주소를 어떻게 써야되는지 모르겠네요.

옆동네 클리어 보스에 이런 글이 올라와서,
저도 자세히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
관공서 웹 시스템 통합을 주된 업무로 하고 있습니다.
사업 RFP상에 웹접근성인증마크는 꼭 들어가있는데, 이 인증이 과연 차별 없는 웹접근을 위한 인증인지 의구심이 들때가 많이있었습니다.
신청을 하고 피드백을 받은 내용을 보면 저희가 기준에 맞추지 못한 부분을 많이 발견하기도 하지만 굳이 이러한 항목까지 넣어야되는건지.. 이건 목적전도가 아닌지 하는 항목들도 꽤 있었기 때문입니다.
예를들면 당연히 악보 이미지의 대체택스트에 가사를 넣었더니
해당 악보의 조성과 계이름까지 넣어야 된다고 피드백이 왔습니다.

KWCAG2.0(http://www.wah.or.kr/Example2.0/한국형_웹_콘텐츠_접근성_지침_2.0.pdf)의 대체텍스트 항목에도
'텍스트 아닌 콘텐츠는 그 의미나 용도를 이해할 수 있도록 대체 텍스트를 제공해야 한다. ' 라고는 나와있는데 이게 조성과 계이름이 없다고 해당 악보의 의미를 전달못하진 않았다고 판단됩니다.

클리어보스에 계신 분들은 현업에서 웹접근성관련 작업을 어떻게 하고 계신지 이야기를 듣고싶습니다 :)
-------------------------------------------------------------------------------

그리고 해당 웹접근성인증작업은 악명이 높은 모 업체에서 했다고 합니다.
[업체 : http://www.kweb.or.kr/]

예시) 학교종

악보

예시로 살펴 볼 학교종의 악보 이미지입니다.

이 예시에서는 대체텍스트 제공 방법에 관계없이, 대체텍스트 자체만 고민해보겠습니다.

방법#1 음절별 계이름+가사

제목 학교종 김메리 작사 김메리 작곡 4분의 4박자
1절

2절

방법#2 어절별 계이름+가사

제목 학교종 김메리 작사 김메리 작곡 4분의 4박자
1절
솔솔라라 학교종이 솔솔미 땡땡땡 솔솔미미레 어서모이자 솔솔라라 선생님이 솔솔미 우리를 솔미레미도 기다리신다
2절
솔솔라라 학교종이 솔솔미 땡땡땡 솔솔미미레 어서모이자 솔솔라라 사이좋게 솔솔미 오늘도 솔미레미도 공부잘하자

방법#3 전체 계이름 후 전체 가사

제목 학교종 김메리 작사 김메리 작곡 4분의 4박자

계이름
솔솔라라솔솔미 솔솔미미레 솔솔라라 솔솔미 솔미레미도

1절 가사
학교종이땡땡땡 어서모이자 선생님이 우리를 기다리신다

2절 가사
학교종이땡땡땡 어서모이자 사이좋게 오늘도 공부잘하자

방법#4 가사만 제공

제목 학교종 4분의 4박자 김메리 작사 김메리 작곡
1절 가사 학교종이땡땡땡 어서모이자 선생님이 우리를 기다리신다
2절 가사 학교종이땡땡땡 어서모이자 사이좋게 오늘도 공부잘하자

방법#5 대체 텍스트 미제공

대체 텍스트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른 의견들

원본에서 계속 업데이트 예정입니다.

고민의 결론

원본에서 계속 업데이트 예정입니다.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 13개

전 3번이 좋아보이네요~ 근데 코드는 어떻게 해야 될까요?
저도 3번이 보기엔 낫긴 한데..
옥타브가 올라가는건 어떻게 쓰나요?
전 4번이 좋아보이네요~ 저런 간단한 것에도 많은 작업이 필요할텐데..
클래식이라도 나오면..........;;;;;;;;;;
차라리 다운로드 형식으로 가야하는것 아닌가 생각합니다...
점자로 된 악보가 있는지 검색해봐야 겟군요
다운로드는;; 저작권법??에?;;;; 험난하군요..
12년 전
솔솔라라 솔솔미
학교종이 땡땡땡
솔솔미미레
어서모이자
솔솔라라 솔솔미
선생님이 우리를
솔미레미도
기다리신다
이렇게 네개로 나눠서 너무 길지도 않고 너무 짧지도 않고 외우기 쉽게 나눠서 하는게 좋은 방법이라고 봅니다
웹접근성에는 정신지체장애도 포함되므로 7자면 길 수도 있지만
보편적인면을 보는 것이므로 이렇게 분리 되는게 맞다고 봅니다
12년 전
악보가 단순히 계이름과 가사만 포함되는 정보가 아닌데요, 박자나 장조, 음표,리듬 ,쉼표, 세기 이런 모든요소들을 표현할수있을까요? 최소화해서 계이름과 가사만 표현해준다해도 좀 이상하죠, 계이름만으로 리듬없이 음악이 만들어질순없는거고요 ,또 각 장조마다 계이름읽는방법이 틀린건데 이런경우 이떻게 표현할런지도 문제구요.(검정건반같은경우) 제가볼땐 악보라고 명시해주고 가사만 표현해주는게 맞다고보는데여
12년 전
좋은 의견들이 sir 뿐만 아니라 fb, 하코사 등에도 많이 올라왔는데, 정리를 못하고 있습니다. 조만간 다시 한번 정리해보겠습니다.
음..........너무나 너무나 어렵네요... 접근성이 기준이라는것은 실 사용자가 요구하는 평균에 의한 기준일까요 아님 비장애인 사람이 기준을 잡아야하는 걸까요?
글만놓고 생각하면 우선 저것이 C 장조로 시작된다는 것부터 알려주어야 할 것 같습니다.
C 장조라는 전제를 깔아주고
[학교종이땡땡땡 4/4 다장조] 솔솔라라(학교종이) - 솔솔미_(땡땡땡_) - 솔솔미미(어서모이) - 레____(자____)/
사이사이를 바('-') 로 처리한 이유는 실제로 음악작업 혹은 간이 코드악보를 만들때 저런식으로 많이 사용합니다.
예를들어 C - G - F - Am 이런식의 코드나열을 의미합니다. 보편화되어있는 방식이지요.
그리고 가사와 음정을 분리하는것은 오히려 혼란을 불러올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프레이즈(마디) 단위가 적당하리라 봅니다.
초등학교에서 동요를 배울때도 선생님이 먼저 선창을 하거나 건반으로 표현하는것과 같은 이치이며,
해당 곡은 누구나 아는 곡 이지만 새로운 곡을 저런식으로 표현한다고 가정하였을시
가사와 음정이 함께 있는게 맞다 생각됩니당..
심지어 가이드 보컬(곡을 가수에게 납풉? 하기 위해 즉석해서 청음 후 녹음하는 것) 녹음시에도 길게는 16마디, 짧게는 8마디씩을 잘라서 한다는 점 또한 이해를 돕기 쉬우며, 심지어 이 글을 보고 계신 유저분들도 아마 노래 하나를 외우기 위해서는 한곡을 바로 외우기보단 길게는 16마디 짧게는 8씩 듣고 따라부르고계시지 않나요?
그리고 만약 실제로 써야만 한다면 이음줄이나 박자를 표시하는 어떤 법칙의 표준이 생겨야하지 않을까 합니다..
그 이전엔 눈가리고 아웅이라는 생각이드네요.
아 참고로 저는 음악 프로듀싱과 웹디자인을 겸하고 있는 별볼일없는 유저입니다.^^ 좋은하루되세요!
12년 전
감동했습니다.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5638
27321
5637
31931
31925
18979
5633
27316
27307
18976
5631
18974
31919
30803
31911
5625
5623
5620
27298
31904
31887
31884
18967
5616
5611
18963
5608
31881
5601
31866
31862
5599
5595
5592
24497
18958
31859
31855
18952
18946
18942
18939
18936
18933
5590
5586
18924
18915
18913
18908
27293
5583
5580
18895
18886
18880
5576
31840
30792
18869
18866
18862
18858
5569
5565
27287
18857
18855
18854
18847
18843
18841
18840
31825
18839
18835
18833
18832
18822
18820
5561
31806
18815
31830
18809
18807
18806
18803
18801
18800
18796
5559
18793
18791
5554
31780
31790
31758
24491
27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