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i backup.sh
#! /bin/bash ## 백업 위치 BACKUP_DIR=/backup ## 현재시간 TIME=`date +%Y%m%d` ## 백업 파일 삭제 주기 설정 ## enable(사용), disable(미사용) set=disable ## 백업 파일 삭제 주기 rm_date=3 ## 백업 파일 삭제 if [ $set != "enable" ] && [ $set != "disable" ]; then echo "설정 에러"; exit; elif [ $set == "enable" ]; then /usr/bin/find $BACKUP_DIR -atime +$[$rm_date-1] -exec rm -rf {} \; fi ## 전체 DB 백업 /usr/bin/mysqldump -uroot -prkskek -A > $BACKUP_DIR/backup_$TIME.sql |
# chmod 700 backup.sh
crontab에 등록하여 사용하시면 될거 같네요.
게시판 목록
팁게시판
디자인과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공유하세요.
질문은 상단의 QA에서 해주시기 바랍니다.
질문은 상단의 QA에서 해주시기 바랍니다.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
|---|---|---|---|---|
| 4927 | 12년 전 | 2079 | ||
| 4926 | 12년 전 | 1611 | ||
| 4925 | 12년 전 | 3412 | ||
| 4924 | 12년 전 | 2112 | ||
| 4923 | 12년 전 | 2787 | ||
| 4922 | 12년 전 | 5996 | ||
| 4921 | 12년 전 | 1627 | ||
| 4920 | 12년 전 | 20558 | ||
| 4919 |
나의라임토마토
|
12년 전 | 1401 | |
| 4918 | 13년 전 | 3714 | ||
| 4917 | 13년 전 | 780 | ||
| 4916 | 13년 전 | 2420 | ||
| 4915 | 13년 전 | 929 | ||
| 4914 | 13년 전 | 2847 | ||
| 4913 | 13년 전 | 1024 | ||
| 4912 | 13년 전 | 2898 | ||
| 4911 | 13년 전 | 4801 | ||
| 4910 | 13년 전 | 991 | ||
| 4909 | 13년 전 | 2203 | ||
| 4908 |
|
13년 전 | 2194 | |
| 4907 | 13년 전 | 2307 | ||
| 4906 | 13년 전 | 5174 | ||
| 4905 |
|
13년 전 | 1880 | |
| 4904 | 13년 전 | 5599 | ||
| 4903 | 13년 전 | 1709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