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named -- dns서버

· 19년 전 · 2970
fedora 에서 domain name server 는 caching-nameserver이다.



yum -y install caching-nameserver



name server사용을위해 system-config-securitylevel 설정



53- domain port. --> 53:tcp, 53:udp 포트열기

---> /etc/services 파일에 명시



service named restart - 재시작.





nslookup 으로 확인하기

server xxx.xxx.xxx.xxx

주소확인

www.daum.net -예. daum.net의 도메인 서버 주소나옴





도메인 네임 서버에는 마스터 네임 서버와 서브 네임서버가 있다. 음..뭐 루트네임서버라든지com네임서버 등등......



소규모니 마스터 네임서버다



/etc/named.conf 파일내부 dns 존설정 ----> 이거는 dns서버시동시 가장먼저읽는 초기화파일.



zone "hizone.com" IN {

type master;

file "john.com.zone";

allow-update { none;} ;

};



위는, 포워드 존 영역이다.



/var/named/ 디렉토리 내부에는 기본적으로



localhost.zone파일이 존재.----> 바꾼다. hizone.com.zone 으로.



원하는 부분을 수정~

hizone.com. ---> 주소설정뒤에는 항상 dot를 붙여야 한다.



$TTL xxxx

@ SOA //권한의 시작 ns r //(루트) l







IN MX 0 mail ---------메일교환기 mail 지정

NS ns ------------ 이름서버 ns지정

www IN A xxx.xxx.xxx.xxx

ftp IN A xxx.xxx.xxx.xxx

mail IN A xxx.xxx.xxx.xxx

ns IN A xxx.xxx.xxx.xxx





이것을 편하게 GUI모드로 가능하다.



system-config-bind 로 가능.



yum -y install system-config-bind 설치



X가있어야되는 압박.


[펌] http://blog.naver.com/goodayz/120022963016<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div>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게시판 목록

팁게시판

디자인과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공유하세요.
질문은 상단의 QA에서 해주시기 바랍니다.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