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api 키값의 개념 채택완료

삑사리맨 8년 전 조회 2,535

예를 들어 구글 지도를 활용하고 싶다면 말이죠,

 

구글 api 지도 키값을 발급 받아, 스크립트에 추가하는 것 같은데요,

 

임의의 소스코드에서

누군가의 구글 지도 키값을 복사해서 사용하면 어떻게 되는건가요?

 

안될 줄 알았는데, 해보니까 되더라구요 -_-;

그래서 뭔가 개념이 혼란스러워졌습니다.

이렇게 그냥 복사로 되는거면, 키값이 존재하는 이유가 뭐지 싶기도 하구요.

 

이렇게 누군가의 키값을 복사해도 되는거면 

왜 굳이 각자 키값을 발행하는건지 (하루 이용량을 제한하기 위해서일까요?)

왜 이리 허술하게 되어있는지, 혼란스럽습니다.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답변 2개

채택된 답변
+20 포인트
그림자밟기

키값 받을 때 전체허용으로 할 지(이 경우 키값 노출을 주의하라고 통상 이야기 합니다)

IP로 제한 할지, 도메인으로 제한 할 지 등. 여러 옵션이 있습니다.

API를 활용한 배포소프트의 경우 키입력이 애매한 경우도 있긴 하니깐요.

로그인 후 평가할 수 있습니다

답변에 대한 댓글 1개

삑사리맨
8년 전
음 그렇군요, 직접 다뤄보면서 더 확인해보겠습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플래토
8년 전

키값을 퍼서 사용할수 있지만, 

사용자가 많아지면 일별 노출수제한에 걸릴겁니다.

 

키별로 일별제한수가 있어요

 

구글보다, 다음지도나 네이버지도를 보시면 좀더 명확히 아실겁니다.

로그인 후 평가할 수 있습니다

답변에 대한 댓글 3개

삑사리맨
8년 전
누군가 제 키값을 퍼가다가 쓰고 있는지 체크 할 수도 있나요?
아니면 그냥 일별 노출수를 보고, 어 왜 이리 많지 누군가 쓰고 있나라고, 유추해야하는 건가요?

키값이 쓰여지고 있는 곳의 url 정보를 제공해주지 않을까 싶습니다만, 정확하게 알고 싶어서 질문 드립니다.
플래토
8년 전
@삑사리맨

그건 키를제공한 업체(다음/네이버/구글)에서 관리할수있습니다.

키가 사용되는 도메인을 제한할수있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광고 같은건 좀 유연하게 풀어놓는구조로 알고있고, 

더 정확한건 API제공업체에 문의하시면 알수있습니다.
삑사리맨
8년 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저녁 되세요!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답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