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 1개
간단히 예를 들어드리자면
write 폼안에
를 생성
write에서 입력할때 각 체크박스의 value값을 구분자를 지정해서 저장
ex)
체크박스1의 val = 체크박스1
체크박스2의 val = 체크박스2
...
체크박스10의 val = 체크박스10
그럼 이 모든걸 서브밋 true하기전에 var wr_3 = "";
var gubun = "|";
$("체크박스 클래스").each(function(i){
var chbVal = $(this).val();
if (i == $(체크박스 클래스).lenght - 1) {
gubun = "";
} wr_3 += chbVal+gubun;
}) $("#wr_3").val(wr_3); 하시면 wr_3에 각 체크박스 밸류값+| 로 들어갈텐데 뷰단에서
print_r ($chbVal);
?>
하시면 각 체크박스에 | 구분자로 들어가있던 값들이 배열로 쭉 출력될겁니다.
그러시면
아이콘 출력시
for ($i = 0; $i < count($chbVal); $i++) { if ($chbVal[$i] != "") {
echo "아이콘".$chbVal[$i];
} }
?>
하시면 해당 체크박스가 체크 되었을때만 해당 밸류값을 뱉는걸 보실수있습니다.
아마 저보다 간단하게 하시는 고수분들도 계실듯 싶어용
답변에 대한 댓글 2개
예를들어 게시판 카테고리 지정할때도 인풋창에
카테고리1|카테고리2 이렇게 사용하고있죠
그걸 응용한거라 보시면됩니다.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답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