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에서 클라이언트 장비 mac 으로 통신(관제)하기 채택완료
클라이언트(태블릿) 관제 프로그램을 가동중입니다.
제가 선택한 방법은 1분마다 태블릿에서 서버에 json 페이지를 서버를 호출해서 필요한 정보를 던지는 방식인데요
서버에 태블릿 상태정보(mac, ip, wifi 등)을 던지고, 서버에 저장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개발중에는 소수의 태블릿에서 테스트를 해서 문제가 안되었는데
대상 태블릿 수가 점점 늘면서 수백대가 되니, 서버에 부하가 걸리기 시작하네요
태블릿(클라이언트) 장비에서 서버에 호출방식이 아닌
서버에서 태블릿의 mac 을 호출해서 그것의 상황을 역으로 받는 방식으로 전환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클라이언트 장비의 관제 시스템 구축에 어떤 방법을 하면 좋을까요?
구글링을 하는데, 효과적이고 좋은 방향을 못찾고 헤매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좋은 검색 키워드나, 방향성에 대한 조언을 부탁드립니ㅏ.
답변 3개
몇백대 정도로 서버에 부하가 걸리지는 않을듯 한데... 혹시 인증을 위해 클라이언트 접속시 서버측에서 세션을 올리나요? 세션없이 구현 해 보심을 일단.. 추천드려봅니다...
답변에 대한 댓글 2개
처리가 빨라지면 부하가 줄잖아요
좋은 하루 보내세요 :)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서버에서 처리한다는 관점에서는
호출 방향이 바뀌어도 마찬가지 일것 같습니다.
정보저장 시점을 꼭 필요한 때에만 발생시키는 방식으로의 전환 또는
큐잉 후 비동기 정보저장 등의 방법이 있을것 같습니다.
다만 비동기 방식의 경우는 백드라운드 데이터 처리가 씹히는일이 없어야 하기 때문에
전자가 조금 더 무난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답변에 대한 댓글 1개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서버에서 태블릿의 mac 을 호출해서 그것의 상황을 역으로 받는 방식으로 전환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 이 또한 클라이언트가 늘어나면 부하가 걸리는건 비슷할거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실지요?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호출하는 시간을 좀 길게 잡고 json 파일의 크기를 최대한 줄이고 차후 서버 또한 부하 분산을 위해 증설이 필요할거 같습니다.
이상 여러가지 방법 중 한가지 의견이었습니다~
답변에 대한 댓글 1개
디비 쿼리 작동 (insert , update) 후 쿼리 종료가 되도록 추가해보겠습니다.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답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클라이언트에서 서버 특정 url의 json 파일을 호출하면 디비에 insert 또는 update 쿼리가 한번씩 작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