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서버 VS 물리서버
커뮤니티를 제작하고싶은데 대부분의 분들이 클라우드서버를 추천해주시더라고요?
그런데 비용이 너무 비싼거같은데 이게 맞나요?..
커뮤니티 특성상 저장소가 커야 되는데 클라우드로 갈 경우 정말 기하급수적으로 월유지비용이 드는거같은데
클라우드로 가는게 맞나요? 아니면 물리서버를 구매해서 코로케이션하는 방향이 좋을까요?
확장이니 뭐니 클라우드가 좋다고 하는데 SSD를 크게 가져갈려면 매우 큰 고정지출이 발생하는듯한데..
영상이니 사진이니 저장을 해야하는 1TB 이상으로 보고있는데 음..어케해야할까요?
제가 잘 모르는걸까요 어떻게 유지비를 감당하는지
반면에 물리서버를 가질 경우에는 통큰아이로 볼 때 처음 서버 구매비만 많이 들고
2TB정도까지는 큰 지출없이 무난한 월비용이 드는거 같던데
커뮤니티들은 클라우드를 많이 이용하나요? 방대한 데이터에 대해서 비용을 다 지불하는건가요?
결제창을 보면 클라우드 스토리지도 몇십기가만 추가해도 00000원/월 이딴식으로 되어있던데 그렇다면
계속계속 월비용이 증가하는건지 어떻게 클라우드서버로 데이터를 처리하는지..궁금합니다
답변 4개
커뮤니티 플랫폼을 구축할 때 클라우드 서버와 서버 호스팅(물리 서버)을 사용하는 방법에는 각각 장단점이 있습니다.
클라우드 서버는 일반적으로 자체 도구와 기술을 포함하는 클라우드 플랫폼 공급업체가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이는 인터넷을 통해 셀프 서비스에 액세스할 수 있는 원격 서버를 기반으로 합니다.
클라우드 플랫폼 공급업체는 필요한 스토리지, 서버, 네트워크를 관리하며, 기업은 필요할 때만 비용을 지불하고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하면 됩니다.
클라우드 서버는 사용량에 따라 리소스를 쉽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초기 트래픽 예측이 어려운 경우 매우 유리합니다.(트래픽이 늘었을 경우 물리서버의 경우 새로 구매해야하지만 클라우드의 경우에는 스케일링을 변경하면 됩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저장 공간과 컴퓨팅 파워를 쉽게 확장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데이터 저장소가 커지면 월 비용이 매우 증가할 수 있습니다. 특히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할 경우 비용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용량에 따라 월 비용이 달라지기 때문에 예산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서버 호스팅은 서버와 서버의 회선, 상면(IDC 공간)까지 모두 임대하여 위탁관리를 맡기고 월비용을 지불하게 되는 형태의 서비스입니다.
서버호스팅은 초기 구매 비용이 클라우드 대비 상대적으로 높지만, 이후 월 비용은 상대적으로 예측 가능하고 일정합니다. 큰 저장소를 저렴한 비용으로 확보할 수 있습니다.고정된 자원을 안정적으로 사용하는 강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리소스를 즉시 확장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트래픽 증가로 인한 서버 재구매 등)
초기 트래픽이 불확실하거나 유동적이라면 클라우드 서버가 더 적합할 수 있으며, 예측 가능한 비용과 대용량 저장이 중요하다면 서버 호스팅이 더 나을 수 있습니다.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당장은 물리서버로 운영하시다가
서버 자원이 모자르고 확장 할 필요가 있으시면 클라우드로 이전을 고려 하시는것이 좋을듯 합니다.
백업은 충실해 두었다가 이전할 때 사용 하시면 될 것 같네요.
좋은 결과 있기를 바랍니다. 홧팅요!!!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답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