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 2개
웹 서버와 파일 서버(타오나스)를 LAN으로 연결하고,
웹 서버에서 NF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NAS의 공유 디렉터리를 마운트하여 저장소로 사용.
*NAS(타오나스) 설정
- 타오나스에 연결된 하드디스크 3개를 RAID 5 또는 RAID 1로 설정
- 타오나스의 관리 인터페이스에서 NFS 서비스를 활성화하고,
/volume1/data 디렉터리를 NFS 공유 폴더로 설정
- NFS 접근 권한을 웹 서버의 IP로 제한하여 보안을 강화
*웹 서버 설정 ( 그누보드5 프로젝트 문서 루트를 "DocumentRoot"로 가정한 예시 )
> 서버 구성 파일에서 DocumentRoot 값을 찾으세요.
- NFS 클라이언트를 설치한 뒤 공유 디렉터리를 마운트할 경로를 생성
sudo apt-get install nfs-common sudo mkdir -p DocumentRoot/data
- NAS의 NFS 디렉터리를 다음과 같이 마운트
sudo mount -t nfs -o hard,intr,_netdev 타오나스_IP:/volume1/data DocumentRoot/data
- 서버 재부팅 시에도 자동 마운트가 되도록 /etc/fstab 파일에 다음 설정을 추가
타오나스_IP:/volume1/data DocumentRoot/data nfs hard,intr,_netdev 0 0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일단 웹서버랑 데이터 서버를 나눌려구한다면 마운틴 해야합니다. sudo mkdir -p /mnt/nas sudo mount -t nfs 데이터서버아이피:/volume1/data /mnt/nas
그리고 네트워크 마운틴이 끊겨버리면 서버장애가 발생하니 디폴트 잡아주시구요 데이터서버아이피:/volume1/data /mnt/nas nfs defaults 0 0
그리고 보드 data 디렉터리를 NAS로~ ln -s /mnt/nas /var/www/html/data
답변에 대한 댓글 2개
하여 그누환경설정에서 는 별도의 정의가 필요없다라는뜻이지요
만약 보드 환경설정에서 처리하고자한다면 다음과 같이 config.php 환경설정에서 데이타 상수를 찾아서 수정/변경 정의해주셔야합니다.
물론 서버에서 디폴트의 마운트는 되어있어야 하니 두번재까지는 마운틴 처리되어잇어야합니다.
한마디로
서버에서 나스로 마운틴 되어있는상태 이라고 한다면? 서버에서 디렉터리를 나스로 잡아주던가 만약 잡아주기 싫다 고한다면 다음과같이 그누 환경설정 에서 경로를 잡아줘야 한다라는 뜻 이되겠습니다.
define('G5_DATA_PATH', '/mnt/nas');
define('G5_DATA_URL', 'http://데이타주소/data');
찬찬히 해보시기 바랍니다. 만약 잘않되시면 제작의뢰에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소금액으로 해드릴분들 많이 잇을것입니다. 느림의 미학으로 찬찬히 응원할께요 화이팅~^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답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제가 서버를 나누는게 처음이라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