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의뢰시 참고할수 있는 기본 단가표를 만들려고 합니다.

· 11년 전 · 3111 · 20

기본적인 단가를 몰라서 의뢰자가 의뢰 가격을 낮게 쓰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표준안은 아니지만 SIR 에서 만이라도 참고할 기본 단가표를 만들어 놓는다면 터무니 없이 낮은 가격으로 의뢰를 하는 경우가 줄어들지 않을까요?

물론 저희 회사에서는 의뢰 작업을 하고 있지 않아 작업 단가 자체를 모른다는 것이 함정입니다.

 

이 게시물에서 초안을 만들고 점차 보강해 나가길 기대해 봅니다.

 

예) 필드 20개 정도 되는 폼의 DB 저장 및 이메일 발송, 조회 및 수정 관리 기능이 있는 프로그램의 적정 가격은 얼마?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 20개

11년 전
sir 처럼 신뢰도 있는 회사에서 기본 단가표를 정리한다면

프리랜서 나 일반 홈페이지 제작 업체에서도 참고하거나 따라갈수 있는 표준안 (?) 처럼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저는 만드는것에 찬성 입니다 .^^
단가표는 물론 프리랜서 단가를 기준으로 만드시겠죠? 업체하고 프리랜서의 단가표는 엄연한 차이가 있고 그 폭이 큰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제가 이 부분에 대한 건의를 했었는데...
'기본 단가'이니... 아무래도 '프리랜서 단가'와 가깝겠지요.
해서... 프리랜서로 일하시는 분들이 단가를 제시해주면 좋겠습니다.
11년 전
G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od
저는
http://mooncp.net/request.php

이런 계산기를 만들어서 운영하고있습니다 ㅎㅎ
상당히 간편하게 되어 있네요.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특성상 오더 자체가 이미 정량적이거나 수량화하기 힘들다는 근본적 한계를 갖고 있습니다.
그래서, 어떤 산출공식을 만드는 것보다는 가이드라인 수준으로 접근하는 게 옳지 않나 싶습니다.
11년 전
공감되네요. 정성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가 혼란도 최소화하고 유연성도 가져가는 방법일 것 같네요.
그런데 가이드라인이 어찌 보면 손에 잡히지 않는 부분도 있어서 가능한 선에서 정량제시를 하고, 그 이후는 각자의 역량에 따라 조율하는게 현실적인 방법이 아닐까 싶습니다.
일리있는 의견이시고요. 다만 약간 덧붙이고 싶은 게 있는데, 상호 시각차에 의해 발생하는 기준의 상이함이 그것입니다.

이를테면, 의뢰측은 10페이지라고 본 작업량이 개발측에서는 5페이지 뷰의 3일간 프로세스 작업으로 보는 것과 같은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 겁니다. 둘 다 틀린 측정이 아니지만, 문제는 생깁니다. 이는 서로간의 기준과 척도의 차이 때문입니다.

서로 다른 언어로 얘기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현실을 감안해야 한다는 거죠.
11년 전
네 맞습니다. 그런데 부족한 제 생각으로는 가이드라인이 님이 말씀하신 '다른 언어로 얘기를 하는 경우'에 대해 합리적이고 이해가능한 기준을 제시하기는 매우 요연한 상황처럼 느껴지기에, [굳이] 어떠한 기준이 필요하다면 정량제시를 해주는 것이 맞다는 생각입니다.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1595
1552
1526
1505
1491
1365
1338
1222
1193
1155
1140
1077
944
936
916
892
874
847
831
826
805
799
773
718
688
687
654
595
518
4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