쾌속질주로 실행하는 새로운언어 Rust - 모질라재단
Rust
모질라 재단에서 새로운 언어를 만들었습니다.
초기버전이 나온지 불과 3년도 안된 이 언어는
"범용프로그래밍 언어" 입니다. 말은 애매하지만.
순수함수형언어로 명령형/병렬형/객체지향형을 지향합니다.
c / c++ 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인터넷 개발시 서버형/클라이언트에 적합한 언어로 시작되었습니다.
게다가 C언오와 같이 OS를 개발할수있는 언어입니다.
이미 여러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데 눈에 띄는건 파이어폭스가 Rust로 개발되고있는점 입니다.
cargo라는 러스트의 빌드 시스템이
CLI
요즘 대세인 CLI (Command Line Interface) 를 사용하는것도 당연하구요
cargo도 CLI에서 실행합니다.
특징
임베디드 프로그래밍이 가능하고 병렬이 가능하면 향후 웹개발+임베드
C언어를 좋아하시는분들은 구조체인 struct 를 기억하시죠
Rust는 구조체, 참조형, 스트링(일종의포이터) 등등의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라우팅
# [get ("/world")] 와 같이
라우팅처리를 수신해서
관련된 함수인
fn world() -> & 'static str{
}
의 구조로 전달을 처리합니다.
프레임워크
Rust로 개발된 프레임워크는 Rocket 이 있습니다.
이름이 가지는 의미는 말그대로 빠르고 쾌속이고 날아간다는 개념이겠죠
또 로켓같이 확장이 가능한 의미를 갖습니다.
또하나의 프레임워크로 gotham 이 있습니다.
함수
함수선언만 보더라도
fn hello() {
}
fn main() {
}
의 구조를 갖습니다.
의존성관리를 하는 형태도 있습니다.
php 의 composer와 유사한 셋팅파일을 갖는것도 있습니다.
cargo.toml
가장큰 특징
1. 탁월한 수행속도 와 안정성
2. 병렬처리 - 쓰레드실행
3. 객체지향
4. 패턴 & 매칭
5. 스마트 포인터 (C언의 포인터보다 안정적인 형태)
참조
https://doc.rust-lang.org/stable/book/title-page.html
: 정리가 부족한면이 없지 않습니다.
추후에라도 정리가 더 되면 갱신해보겠습니다.
원글 : https://www.deb.kr/bbs/board.php?bo_table=basic&wr_id=41
댓글 16개
어제 한 시간은 검색하면서 이곳저곳 뒤져 보았습니다.
주신 링크도 읽었고요.
공통점 > 평가가 엄청나게 좋았습니다.
단점이 없나?
어떻게 될지 모르겠는데요.
문제는 개발자가 몰리느냐 안 몰리느냐 같고요.
아직 완성도가 떨어진다는 내용을 접했습니다.
해결해야 할 문제가 아직은 남았다.
휴, 다행이네 또 어떤 변화가 있을지 모르니 일단 대기.
C++ 대치하는 언어 쪽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는 글도 보였고요.
////////////////////
제가 PHP 언어를 정말 최고 수준으로 다룰 수 있는 개발자라면
저는 지금은 PHP에 올인할 것 같습니다.
조금 늦게 시작해도 금방 따라잡을 수 있을 테니까요. ^^
여러 언어를 배울 때는 이놈의 포폴도 하나 못 만들겠더라고요.
어느 것 하나 제대로 몰라서 그랬습니다. ㅡㅡ.
그누보드 하나 배웠는데 그누보드로 포플이 나오는 거예요?
십여년 전에 제가 그랬죠. 보여줄 것이 생겼습니다. ㅋ
저는 파이썬을 먼저 접했습니다. 아주 오래전에요.
C/C++ 사용하는 개발자를 보면 하늘 같았습니다. ~~
와 인간이 이런 언어를 다루다니! 이러면서요.
취업도 그랬던 것 같아요.
기업은 전문가를 뽑을 때 여러 언어 사용자를 원하지 않았습니다.
요즘은 바뀌었나 모르겠고요.
하나의 언어를 잘하는 사람을 원했습니다.
오로지 하나를 제대로 다루는 자!
내가 모르는 것은 같이 만들면 되죠?
상부상조 아니겠습니까?
RUST 란 언어 몇 년 지나면 훌륭한 언어가 되지 않을까요?
(5년~10년 정도요?) 하지만 아직 몇 년이 남아 있습니다.
지금은 우리 플랫폼으로 승부수를 걸어야 할 때 같아요.
이제는 프로그램도 모르고, 디자인도 모르고 CSS 깡통.
하지만 눈만 살았네요? ㅎㅎ
당분간 돈 벌 수 있고 향후 10년은
PHP로 먹고 살 수 있을 것 같아요!
RUST란 언어는 막강한 것 같습니다.
아주 막강하게 발전할 것도 같고요.
C언어를 대처하겠다고 하는 걸요. 막강하죠.
하지만 C/C++ 이 친구들은 여전히 최고 아닐까 싶어요!
또 기네요. 제 생각을 담아 보았습니다.
고생 덜 하고 싶은 거죠. ㅡㅡ.
문제가 있다면 모질라 재단이 튼튼해야 하는데요.
구글과 제휴 종료 후 1년, 모질라의 주 수익원은?
http://www.itworld.co.kr/news/96732
2015. 11. 26.
기사였죠.
"수익보다 지출 더 많은" 모질라, 브라우저 점유율 올려야
http://www.itworld.co.kr/news/112032
2018. 11. 29.
기사이고요.
파이어폭스 점유율이 떨어지고 있어 조금은 불안.
하지만 워낙 지향하는 바가 제대로 된 모질라이니
살아 남지 않겠습니까? < 바랍니다.
프로그램 언어도 가만 보면 인간 세상과 맞물려 돌아가네요.
정치, 경제, 군사, 학문 기타 등등 모두요.
수 많은 언어가 생겼고 또 생기고 있으나
클 수 있는 친구는 한계가 있고요.
가장 큰 이유가 재정같습니다.
일전에 플래토님이 말씀하셨던 거죠.
거대 기업이 후원하는 언어가 있다면
좋고 나쁘고 떠나서 이들이 큽니다.
돈이 문젭니다. ^^
훌륭한 언어를 소개해 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1717252 | |
| 1717247 | |
| 1717243 | |
| 1717237 | |
| 1717225 | |
| 1717214 | |
| 1717208 | |
| 1717203 | |
| 1717189 | |
| 1717183 | |
| 1717177 | |
| 1717172 | |
| 1717163 | |
| 1717162 | |
| 1717156 | |
| 1717154 | |
| 1717153 | |
| 1717141 | |
| 1717140 | |
| 1717138 | |
| 1717113 | |
| 1717111 | |
| 1717105 | |
| 1717099 | |
| 1717085 | |
| 1717076 | |
| 1717072 | |
| 1717065 | |
| 1717062 | |
| 1717050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