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구기관 : 딱 한 번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으면
스스로 영원히 작동하는 에너지 효율 100%의 가상기관입니다.
사전 주의할 것이 있다면
영구기관과 영구운동은 구분을 해야 하는 것 같아요.
영구운동은 에너지를 변환하거나 생산하지 않거든요.
태양계의 공전처럼요.
지구는 태양 주위를 지금도 영구운동 하는 셈이죠.
45억 6700만 년 돌고 있습니다.
이 정도면 영구운동이라고 해도 누구도 모를겁니다. ㅡㅡ.
“에너지 없이 운동” 영구기관은 가능할까?
http://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117936.html
수많은 사람들이 끊임없이 시도하고 실패하면서도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것이 ‘영구기관’을 만드는 꿈이다.
물리학 법칙으로 절대로 불가능하다고 아무리 말을 해 줘도
물리학법칙의 완전성을 의심할 뿐이다.
열역학 제1 법칙, 제2 법칙 위배
댓글에 설명 있어요!
뉴턴이 물리법칙을 다 완성한 듯 했지만 아인슈타인에 의해
다시 정립되었던 것을 기억하기 때문일 것이다.
절대 물리학이 상처를 입고,
양자역학이 판을 치면서 더 무너지지 않았나? 싶어요.
영구기관을 위해 중력·영구자석·부력·공기·공간 에너지·전기 에너지 등
동원되는 방법도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이것들 중, 자석과 중력은 좀 끌립니다. ㅡㅡ.
레오나르도 다빈치도 평생을 두고
영구 운동을 하는 기관에 관심을 갖고
실제로 디자인을 고안하기도 했다.
바퀴를 일단 한번 돌리면 경사면의 기울기에 의해
공이 굴러 힘을 가하게 되어 바퀴살을 돌아가게 하고
그것이 끝없이 계속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리가 있는 이야기이다.
그렇다면 왜 이 기관은 영구 운동이 불가능할까?
?
https://sir.kr/cm_humor/149142
이것을 극복하지 못하여? 공기저항 무중력이 아니잖아?
//////////////////////////////
무한동력 영구기관은 정말 불가능한가?
http://www.epoch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90175
이 기사, 정말 일까요?
진짜로 영구기관을 발명하신 걸까요?

기사로 내용은 접했으나
에너지는 교환만 가능하다는 생각에 위배되어
우선 책을 먼저 읽고 있습니다.
'에너지로 따져보는 현대 물리학'

2019.07.04 16:16:13
//////////////////////////////
물리는 재밌어야 한다. < 갑자기 느꼈는데요. 심각하게 어렵네요?
제가 아는 것이 부족하여 재미를 더할 수는 없네요. ㅠㅠ
배우고 있어 저에게는 어렵습니다!!!
너무 줄였나? ㅋ
댓글 20개
자연계에 존재하는 힘 중, 중력의 반대가 없어서 문제가 되죠.
이것이 존재하면 어느 먼 미래에 인류는 영구기관 가능하겠죠?
// 바로 추가를 했는데 어디로 튀었죠?
제 표현이 조금 문제가 있어서 추가요.
중력, 전자기력, 약력, 강력 중, < 기본 상호작용
유일하게 중력만 척력이 없다는 의미였습니다.
그런데 얼마 전에 @팻시 님이 올려주셨던 것 같은데요.
지구에 달이 하나 더 있다는 것을 보았습니다.
공식인정은 못 받은 친구입니다.
이 친구가 중력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궤도 운동을 하고 있었죠.
척력이 없이는 불가능한 모습이었습니다.
암흑에너지인가? 그랬습니다.
영구 기관(永久機關, 영어: perpetual motion machine, PMM)은
한 번 외부에서 동력을 전달 ... 에너지 보존법칙을 인정하더라도,
에너지가 보존되고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전환이 가능하다면
한번 쓴 에너지를 다시 회수하여 일을 할 수 있지 않을까?
계의 특성을 이용하면.
//
https://ko.wikipedia.org/wiki/에너지_보존_법칙
물리학에서의 에너지 보존 법칙
외계에 접촉이 없을 때 고립계에서 에너지의 총합은
일정하다는 것으로 물리학의 바탕이 되는 법칙 중 하나다.
가끔 에너지 보존의 법칙이라고도 불린다.
이 법칙에 따르면 에너지는 그 형태를 바꾸거나
다른 곳으로 전달할 수 있을 뿐 생성되거나 사라질 수 없다.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것이다.
에너지보존의 법칙은
제 1종 영구기관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한다.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지 않고 영구적으로 일을 하기 위해서는
스스로가 에너지를 창출시키는 능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에너지 보존의 법칙에 따르면 에너지는 생성되거나
소멸될 수 없으므로 제 1종 영구기관은 존재할 수 없다.
궁금하신 분들은 링크 클릭하시면
설명이 좀 더 길게 되어 있습니다.
//
카시미르 효과?
https://ko.wikipedia.org/wiki/카시미르_효과
카시미르 힘은
판의 배열과 모양에 따라 인력이나 척력일 수 있다.
카시미르 효과는 다시 도전하겠음!
대충은 알았는데 설명을 못 하네? < 모르는 것.
그리고
15세기에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마드리드 수기에
영구 기관을 연구하는 사람들을 비판한 바 있다.
레오나르도는 데생을 통하여
영구 운동이 불가능함을 잘 표현하고 있다.
이거 뭔지 모르겠다. 데생을 통하여 영구 운동이 불가능하다?
소묘와 영구운동이 무슨 관계가 있지?
영구 운동에 대한 연구는 가치가 없는 일에 대한
인류의 망상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중략)...
일찍이 나는 많은 사람들이 분별력 없이
한밑천 잡으려는 꿈에 부풀어
베네치아로 모여드는 것을 목격하였다.'
- 레오나르도 다 빈치 -
데생과 무슨 연관이 있지?
권장 도서
'에너지로 따져보는 현대 물리학'
영구기관 만들고 싶으면 이 책 먼저 봐라!
이런 뜻인가?
나는 영구기관 만들 생각이 없는데? 내가 왜 봐야 하지?
//
주문완료
그래도 한 권 읽으면 뭐라도 배우지 않을까?
//
2019.07.06. 17:18:22
[http://sir.kr/data/editor/1907/25624f18edbe9025e44f99a34a3bb4b5_1562401120_0571.jpg]
이렇게 작은 책도 있음?
내용은 참 알찹니다.
영구기관을 만들고 싶다면 꼭 한번 읽어 보실 것을 추천합니다.
최소한은 알아야 만들죠?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1716512 | |
| 1716495 | |
| 1716484 | |
| 1716479 | |
| 1716466 | |
| 1716451 | |
| 1716448 | |
| 1716444 | |
| 1716426 | |
| 1716422 | |
| 1716417 | |
| 1716415 | |
| 1716409 | |
| 1716395 | |
| 1716393 | |
| 1716384 | |
| 1716383 | |
| 1716375 | |
| 1716374 | |
| 1716372 | |
| 1716363 | |
| 1716358 | |
| 1716357 | |
| 1716342 | |
| 1716317 | |
| 1716316 | |
| 1716313 | |
| 1716309 | |
| 1716302 | |
| 1716298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