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암가능물질 나온 269개 위장약은?…내가 먹은 약 확인해 보세요
https://n.news.naver.com/article/056/0010747401
약사가 저를 부를 때 '잔탁 아저씨'라고 할 정도로 잔탁만 먹고 살았는데...ㅠㅠ
사실 흡연자라 걱정은 하지 않습니다. 의학상식 대로 라면 폐암으로 갈 확율이 훨 많으니 걱정 따위....응??
댓글 19개
네이처 논문에 미세소관 이야기가 나옵니다.
인터넷 검색을 하면 미세소관은 누구나 알 수 있는
듀블린 형태의 세포 골격을 이루는 단백질로
이루어진 하나의 중합체 관입니다.
세포내의 물질들이 이동하는 곳이죠. 문제는
미세소관 자체가 불안정한 중합체 형태로 되어 있다고 합니다.
즉, 통제가 어렵습니다.
강아지 구충제로 암을 잡는 방법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런 약물치료(면역세포 포함) 방법은
앞으로 세상에는 필요치 않을 것이라고도 생각해요.
모든 진핵세포에는 모터단백질이라는 것이 존재하고
이것이 모터 역활을 하여 미세소관을 움직인다고 합니다.
자세한 것은 이 또한 인터넷 검색을. < 저도 잘 몰라요. ㅠㅠ
여하튼 빛을 기반으로 한 미세소관 모터단백질을
움직일 수 있다는 발표를 접했습니다.
빛으로 암을 치료하는 시대에 도래한 것이죠.
제 관심분야는 암은 아니고요. 수명인데요.
그래서 빛과 소리에 관심이 많습니다.
빛까지 접근했으니 앞으로 암은 인류가 잡게 될 것 같아요.
인터넷 검색을 하면 미세소관은 누구나 알 수 있는
듀블린 형태의 세포 골격을 이루는 단백질로
이루어진 하나의 중합체 관입니다.
세포내의 물질들이 이동하는 곳이죠. 문제는
미세소관 자체가 불안정한 중합체 형태로 되어 있다고 합니다.
즉, 통제가 어렵습니다.
강아지 구충제로 암을 잡는 방법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런 약물치료(면역세포 포함) 방법은
앞으로 세상에는 필요치 않을 것이라고도 생각해요.
모든 진핵세포에는 모터단백질이라는 것이 존재하고
이것이 모터 역활을 하여 미세소관을 움직인다고 합니다.
자세한 것은 이 또한 인터넷 검색을. < 저도 잘 몰라요. ㅠㅠ
여하튼 빛을 기반으로 한 미세소관 모터단백질을
움직일 수 있다는 발표를 접했습니다.
빛으로 암을 치료하는 시대에 도래한 것이죠.
제 관심분야는 암은 아니고요. 수명인데요.
그래서 빛과 소리에 관심이 많습니다.
빛까지 접근했으니 앞으로 암은 인류가 잡게 될 것 같아요.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1717252 | |
| 1717247 | |
| 1717243 | |
| 1717237 | |
| 1717225 | |
| 1717214 | |
| 1717208 | |
| 1717203 | |
| 1717189 | |
| 1717183 | |
| 1717177 | |
| 1717172 | |
| 1717163 | |
| 1717162 | |
| 1717156 | |
| 1717154 | |
| 1717153 | |
| 1717141 | |
| 1717140 | |
| 1717138 | |
| 1717113 | |
| 1717111 | |
| 1717105 | |
| 1717099 | |
| 1717085 | |
| 1717076 | |
| 1717072 | |
| 1717065 | |
| 1717062 | |
| 1717050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