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수정 : 2019.12.12. 16:33
데스크톱 환경을 멀티 부팅으로 바꿨습니다.
앞으로 리눅스를 모르면 안 될 것 같아서요.
꼬박 10일 걸린 삽질기입니다. (댓글 포함)
10일 정도 우분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분투 Ubuntu 18.04.3 LTS
https://ubuntu.com/download/desktop
게임만 안 한다면 윈도우10 보다
많은 면에서 낫다고 생각합니다.
//////////////////////////////////
두 운영체제를 멀티 부팅(multi booting)으로 구성하고자
500G 하드디스크를 우선 2개 달았습니다.
1테라 붙여서 파티션으로 나눠도 될 것 같은데요.
그냥 이렇게 했습니다!
설치하려고
15년 전이나 그 이전에 설치는 해 봤는데요.
하나도 기억이 안 나요. ㅡㅡ
FreeBSD 다운로드
https://download.freebsd.org/ftp/releases/ISO-IMAGES/12.1/
운영체제를 다운로드하고자 접속했습니다.
그런데 무엇을 다운로드해야 바른지 모르겠어요.
ARM64는 뭐고? < 전혀 찍기도 안 됩니다.
AMD64는 뭐죠? < AMD64 같기는 해요.
ARM64 AMD64 차이점은 무엇이고
찍 그은 것은 이제 몰라도 됨.
윈도우10과 FreeBSD를 멀티 부팅으로 사용하려면
어떤 친구를 받아야 하죠?
64비트 운영체제를 원합니다.
ARM64 모델을 받아야겠죠?
인텔 모델로 보드와 시피유 바꿨거든요.
아무래도 그래픽 드라이버가 자신이 없어서요.
인텔 내장 그래픽은 지원이 그래도 잘 되는 것 같았습니다.
//
FreeBSD-12.1-RELEASE-powerpc-powerpc64-dvd1.iso
(요즘 같은 세상에는 4기가 정도는 되어야!)
받고 있음. 결과는 모름. ㅡㅡ.
설치하고 아니면 다른 것 받을 생각. ㅠㅠ
이거 아님. 실패!
//
인텔 호환 대부분의 64bit CPU에서는 amd64를 사용합니다.
https://sir.kr/cm_free/1534015#c_1534035
FreeBSD-12.1-RELEASE-amd64-dvd1.iso
다시 다운!
AMD64라고 하여 AMD만 쓰는 것인줄 알았네. ㅡㅡ.
//
추가 : 2019.12.02. 17:36:37
다운로드 완료
OS 설치를 위한 부팅 USB 만들기
https://rufus.ie
Rufus 3.8 다운로드
자동으로 잡히는 것 같은데?
일단 '시작' 클릭
아는 것이 없으니 이 방법밖에는

아까는 안 그랬잖아요?
프로그램을 다시 껐다가 켠다. Rufus 3.8

다시 만들고 있음.
다시 시도하니까 됨.
파티션 삭제하고 자기가 알아서 함.
'고급 드라이브 속성 표시'를 열어도 아무런 변화가 없었어요.
그래도 믿을 만한 친구라서 믿고 그냥 만들었더니? 잘 됩니다!
이번에는 또 무슨 사건이 생길지. ㅠㅠ
//
다중 시동?을 택했는데요.
이다음에 몸이 익숙해지면
부트 영역은 어떻게 할 수 있을 것 같아
윈도우 10을 삭제하고 FreeBSD만 쓰려고요.
//
만들었음. 다시 설치하러 가야지!
//
추가 : 2019.12.02. 18:44:28
또 실패. ㅡㅡ.
이번에는 패스워드를 잘못 입력한 것 같음.
그런데 이상하네?
멀티 부팅 메뉴는 나오는데? 윈도우 10 따로 인식 안 하는 것 같다.
여하튼, 실패하여 어쩔까 하다가 FreeBSD 설치했던
하드디스크 전원 뽑고 부팅하니
윈도우 10도 혼자 뛸 때와 똑같은 분위기?
둘이 멀티 부팅 안 되나?
그냥 단독으로 깔고 둘이 붙였다 떼었다 할까? ㅎ
//
추가 : 2019.12.02. 22:37:49
이상한 생각을 하고 멀티 부팅을 생각했어요!
일단 재미가 없는 것으로 확인이 되어 그만 둘 생각입니다. ㅠ
서버는 텍스트 모드가 성능면에서 낫습니다.
그러니 서버는 서버로만요.
//
추가 : 2019.12.03. 09:53: ? 초 단위는 보기 힘드네? ㅋ

운영체제는 우분투 설치했습니다.
뭔가 설정을 많이 잡아야 할 줄 알았는데요.
한글도 그냥 들어가고 할 것이 없더라고요.
운영체제는 사용 용도에 맞으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우분투 < 제가 쓰기에 딱 좋은 운영체제 아닐까? 싶어요.
이렇게나 좋은 세상이 또 있을까요! 기분 왕 찢어지게 좋습니다!!!
//
회사도 이것으로 몽땅! 바꿔야겠음.
윈도우 10 설치하면서 느낀 점
너무 자기들 생각만 하네? 였음. 그래서 운영체제 바꿨음.
그런데 우분투 끝장나게 좋음!
신세계다!

오피스와 같은 업무용 프로그램을 기본으로 제공하고!
이렇게 좋은 운영체제가 공짜라니! ~~
만족합니다.
우분투 개발자 그룹에 감사!!!
댓글 44개
영어로 나와서 그렇지 알 수 있는 수준이라서요.
늘 사용하는 비번을 입력한 것 같은데요.
아니라고! 해요. ㅎ
키보드 설정 테스트도 하고 한 것이라서 다른 이유는 없을 것 같고요.
제가 다른 암호를 넣고 기억을 못 하는 것 같아요.
설치하는데 시간이 굉장히 빨랐습니다.
다시 설치해도 부담이 없습니다.
?
아까 설치할 때 사용자 등록을 하라고 하여 등록했습니다.
orbital 입력 그리고 비번 넣으라고 하여 비번 넣었거든요.
이러고 나서 다시 사용자 추가하는 화면이 나오기에
그놈은 거절했습니다. ^^
새벽에는 꼭 성공하겠습니다!
그래서 빨랐군요. ㅡㅡ. 아직 모두 설치한 것이 아니네요? ㅎ
감사합니다. 선생님! ^^
//
모두 설치한 것도 같습니다?
다시 하면 이번에는 성공할 것 같아요. ^^
혹시 이거 설치 끝나면 윈도우나 우분투 같이
윈도우 모습의 화면이 나오나요?
이상하게 안 나올 것 같거든요? ㅎ
갑자기 불안해서요. ㅋ
FreeBSD에서 데스크탑 환경 사용을 위한 X-Window 설치
https://rasun.tistory.com/22
뭘 깔아야 하네요. 흑.
////////////////////////
https://ko.wikipedia.org/wiki/X_윈도_시스템
그놈과 KDE 보니까 뭔지 기억이 나요!
그래도?
예전에는 그냥 화면이 떴던 것 같은데? 도대체 뭘 깔았던 것이지?
FreeBSD 맞는데? 그때는 어떻게 해서 윈도우가 떴지? ??
어떻게 이렇게 하나도 생각이 안 나지? ㅋ
ㅡㅡ.
///////////////////////
데스크탑 환경을 사용하려면 X-Window를
설치 후 추가로 설치해야 하는 거죠?
사용하기 때문에 같은 성능의 서버로
더 빠른 고성능 서비스가 가능하기 때문이예요.
https://jhnyang.tistory.com/48
우리 전 포스팅에서 서버와 Client 컴퓨터들을 설치하고
Start virtual machine눌러서 부팅해줬었잖아요
그랬음!
이렇게 부팅하면 X윈도가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이런!
그렇군. 너 나 골리면 재밌지? ㅎㅎ
아흐 나는 윈도우 생각하고 깔았다는 것 아니니!
그래서 윈도우10 버리고 FreeBSD 쓰겠다고!
그런데 조금 이상하잖아? ㅋ
2. Continue with default keymap
3. Hostname //알아서 정한 컴퓨터 이름
4. Distribution Select //ports와 src를 *(스페이스로 선택)
5. Partitioning > Auto(UFS) > ada0 > Entire Disk > Yes > MBR > Finish > Commit
(ada0, ada1, ada2...는 디스크 이름)
6. New Password //root암호 설정, 입력은 보이지 않음
7. Network Configuration
랜카드가 기본으로 선택돼 있을 것임
IPv4에 Yes
DHCP는 NO
(예를 들어서)
192.168.0.100,
255.255.255.0,
192.168.0.1,
IPv6은 No
(예를 들어서)
kns.kornet.net,
168.126.63.1,
168.126.63.2 하고 OK
8. Select loca or UTC(Greenwich Mean Time) clock > No > Asia > 22 > OK
KST는 Yes
Time & Date 에서 날짜 수정하려면 Set Date
(섹션을 넘을 땐 탭, 그리고 화살표 키)
시간을 수정하려면 Set Time
9. System Configuration //기본 선택 OK
10. System Hardening //clear_tmp과 disable_sendmail *(선택) OK
11. Add User Accounts //No
12. Final Configuration //기본 Exit OK
13. Manual Configuration //No
14. Complete //Reboot
종료 poweroff, 재부팅 reboot 입력
(참고로 종료나 재부팅에 shutown, init 등이 있으나 나중에)
vi 보다 쉬운 ee가 있음
ee가 편하지만 vi 기본 사항 숙지는 필수
참고로 이후에 해야될 것들은 다음입니다.(당장은 아니고 나중에)
1. 로케일 설정
2. sshd 설정
3. wheelgroup 사용자 생성
4. 업데이트
5. 포트 업데이트
6. ipfw 방화벽 설정(인바운드, 아웃바운드 모두 막고 필수 서비스 포트만 허용)
7. 로그 관리
8. 백업 설정
여기까지가 기본입니다.
아파치, PHP, MariaDB를 바로 Port로 또는 바이너리를 받아서 컴파일 후 빌드하거나 그냥 패키지 명령인 pkg를 써서 설치하면 됩니다.
바이너리 컴파일은 어려울 수 있으니 Port 인스톨(바이너리 설치와 거이 같은 과정)을 권합니다.
중요한 것은 config 파일의 내용입니다.
외 고급적인 것까지는 먼 길이므로 천천히, 꾸준히 갑니다.
서버 하나만 생각하면 윈도우 없어도 되는데요.
저는 ㅎㅎㅎㅎ
윈도우10 대신 쓰려고 했습니다. ^^
5번 파티션은 ZFS 이것 기능이 다양하다고 하여
아까 설치할 때 이것을 선택했습니다.
AUTO(UFS) 하려다가 마음이 바뀌어서요. ^^
CONFIG 인가요? 설정 바꿔서 AUTO(ZFS) 선택했던 것 같아요.
IP6는 보안 때문에 연결을 안 하는 거죠?
보안과정에 하나 같았는데요. 뭘 선택하는 것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대충 읽어 보고 마음에 드는 애들만 체크했거든요. ㅎ
서버로 완벽한 것이지 윈도우10 대신은 아닌 것 같습니다?
무식한 놈이 이렇게 쓰려고 했거든요. ^^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1717629 | |
| 1717626 | |
| 1717625 | |
| 1717621 | |
| 1717619 | |
| 1717611 | |
| 1717610 | |
| 1717609 | |
| 1717607 | |
| 1717601 | |
| 1717598 | |
| 1717591 | |
| 1717590 | |
| 1717583 | |
| 1717575 | |
| 1717572 | |
| 1717568 | |
| 1717566 | |
| 1717549 | |
| 1717545 | |
| 1717533 | |
| 1717512 | |
| 1717511 | |
| 1717508 | |
| 1717495 | |
| 1717479 | |
| 1717473 | |
| 1717470 | |
| 1717463 | |
| 1717452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