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feed.com 보다는 한국인한테는
고양이사료.com 더 직관적이기는 합니다.
예시가
한글.com
한글.kr
한글.net
한글.한국
이렇게 많이 있는데, 아직은 한글도메인이 시기상조일까요?
com을 써야하나 kr인가 net 인가...
아무래도 한글이니깐 kr 이 더 낫지않을까? 고민하면서도
그래도 도메인은 com이지... 라는 생각도 들고...
기억하기는 쉽겠지만... 생각을 하는 중입니다.
회원님들 생각은 어떠신가요?
댓글 16개
@지운아빠 실질적으로 도메인 네이밍은 사업주의 자기만족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사이트 디자인도 마찬가지구요.
야놀자의 경우에는 yanolja.com 이지만 여기어때는 도메인은 goodchoice.kr 입니다.
고로... 보편적인 마케팅 방법에서는 도메인 네이밍은 크게 의미가 없을 것 같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하지만 트래픽이 많아지면 0.1% 비율이라도 고객의 전환율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지금 하고 있는 고민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하루에 방문자가 100명이라면, 사실 별 의미없겠죠.
다만 하루에 방문자가 10만명일 경우라면 도메인 네이밍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조금의 영향이라도 줄 수 있을것 같다고 보입니다.
지운아빠님의 의견에 대해서 추가적인 설명을 요청드려도 되겠습니까?
야놀자의 경우에는 yanolja.com 이지만 여기어때는 도메인은 goodchoice.kr 입니다.
고로... 보편적인 마케팅 방법에서는 도메인 네이밍은 크게 의미가 없을 것 같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하지만 트래픽이 많아지면 0.1% 비율이라도 고객의 전환율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지금 하고 있는 고민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하루에 방문자가 100명이라면, 사실 별 의미없겠죠.
다만 하루에 방문자가 10만명일 경우라면 도메인 네이밍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조금의 영향이라도 줄 수 있을것 같다고 보입니다.
지운아빠님의 의견에 대해서 추가적인 설명을 요청드려도 되겠습니까?
@재원아빠 20여년전 모포털의 숨겨진 1등 검색어가 "네이버" 라는 이야기를 개발 팀장과 이사가 이야기 하는걸 들었습니다.
사람들은 대부분 도메인을 치고 오는게 아니라...
검색창에서 검색하거나 즐겨찾기나 링크로 타고 온다는겁니다.
제가 특정 상품을 판매하는데요.
사람들이 제 판매글 나중에 못찾아서 몰라서 링크를 보내달라고 합니다.
각 사이트에 즐겨찾기나 비슷한 기능이 있는데도 그럽니다.
도메인은 사실 의미 없죠.
다만 브라우져 세팅이나 기타 문제로 연결이 안되는 상황이 영문.숫자 도메인보다 더 많을것 같아요.
개발하거나 세팅할때 더 귀찮을뿐...
한글도메인 의미 없다고 생각해요.
있다면 100명중 1명이나 될까요.
그런데 위에 말한 손실(?)은 100명중 5명은 될것 같아요.
제 생각에는 득보다 실이 많을것 같아요.
사람들은 대부분 도메인을 치고 오는게 아니라...
검색창에서 검색하거나 즐겨찾기나 링크로 타고 온다는겁니다.
제가 특정 상품을 판매하는데요.
사람들이 제 판매글 나중에 못찾아서 몰라서 링크를 보내달라고 합니다.
각 사이트에 즐겨찾기나 비슷한 기능이 있는데도 그럽니다.
도메인은 사실 의미 없죠.
다만 브라우져 세팅이나 기타 문제로 연결이 안되는 상황이 영문.숫자 도메인보다 더 많을것 같아요.
개발하거나 세팅할때 더 귀찮을뿐...
한글도메인 의미 없다고 생각해요.
있다면 100명중 1명이나 될까요.
그런데 위에 말한 손실(?)은 100명중 5명은 될것 같아요.
제 생각에는 득보다 실이 많을것 같아요.
한글도메인을 사용하려면
한글이 전부여야 올바른 사용이 될겁니다.
그렇지만 자국민을 위한 서비스만 되겠죠
검색창에 : 고양이.사료
이런식의 도메인이라면 확실하겠죠
처음엔 검색을 위한 입력이지만 그게 도메인이 되는순간, 영향력이 폭발적으로 좋아질겁니다.
검색창에 : 네이버
만 입력하면 네이버가 열린다면 최고로좋은 도메인이되겠죠
그누보드 입력하면 sir.kr이 열리는것도 같은이치일테구요
하지만
검색어점유라는 것때문에 불가능할것이고 뒤에 확장자가
.회사
이거......매우 이상하죠
네이버.검색
이것도 이상하고
결국 사람들이 불편해서 안쓰게 되는게 태반이겠죠
앱을 클릭하거나 터치하면 바로 열리는게 더 편하니까요
한글이 전부여야 올바른 사용이 될겁니다.
그렇지만 자국민을 위한 서비스만 되겠죠
검색창에 : 고양이.사료
이런식의 도메인이라면 확실하겠죠
처음엔 검색을 위한 입력이지만 그게 도메인이 되는순간, 영향력이 폭발적으로 좋아질겁니다.
검색창에 : 네이버
만 입력하면 네이버가 열린다면 최고로좋은 도메인이되겠죠
그누보드 입력하면 sir.kr이 열리는것도 같은이치일테구요
하지만
검색어점유라는 것때문에 불가능할것이고 뒤에 확장자가
.회사
이거......매우 이상하죠
네이버.검색
이것도 이상하고
결국 사람들이 불편해서 안쓰게 되는게 태반이겠죠
앱을 클릭하거나 터치하면 바로 열리는게 더 편하니까요
지금으로부터 딱 10년 정도 된 거 같네요. 비슷한 내용으로 고객님과 대화를 했었는데 일단 "한글.kr"이렇게 한글과 영문이 혼합 된 도메인은 중간에 한/영 바꾸기 귀찮아 할 거란 거에 고객님도 동의 하셨고 요즘은(당시 2009년 무렵) 직접 도메인 입력보다 포털 검색으로 유입되는 게 많으니 "한글.사랑" 처럼 상표의 의미로 한글 도메인을 등록하는 게 상표 디자인 할 때 좋을 거 같다는 조언을 드린 적이 있습니다.
단, 한글 도메인은 DNS가 직접 인식하지 않고 한글이 영문으로 디코딩 되기 때문에 포털에 유료 키워드 광고를 하지 않으면 검색 노출에 불리 할 수 있다는 설명도 드렸었습니다. 그리고 한글 도메인을 등록하더라도 포워딩 가능한 영문 도메인을 하나 더 등록하는 게 좋다는 생각이 드네요.
그리고 이건 저 개인적인 편견입니다만, 한글 도메인을 꼭 원하셨던 고객님들이 주로 연세가 있던 분이라서 가끔 명함에 한글 도메인 적혀 있는 거 보면 뭔가 올드한 느낌이 들 때가 있습니다. 이건 진짜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
단, 한글 도메인은 DNS가 직접 인식하지 않고 한글이 영문으로 디코딩 되기 때문에 포털에 유료 키워드 광고를 하지 않으면 검색 노출에 불리 할 수 있다는 설명도 드렸었습니다. 그리고 한글 도메인을 등록하더라도 포워딩 가능한 영문 도메인을 하나 더 등록하는 게 좋다는 생각이 드네요.
그리고 이건 저 개인적인 편견입니다만, 한글 도메인을 꼭 원하셨던 고객님들이 주로 연세가 있던 분이라서 가끔 명함에 한글 도메인 적혀 있는 거 보면 뭔가 올드한 느낌이 들 때가 있습니다. 이건 진짜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1717629 | |
| 1717626 | |
| 1717625 | |
| 1717621 | |
| 1717619 | |
| 1717611 | |
| 1717610 | |
| 1717609 | |
| 1717607 | |
| 1717601 | |
| 1717598 | |
| 1717591 | |
| 1717590 | |
| 1717583 | |
| 1717575 | |
| 1717572 | |
| 1717568 | |
| 1717566 | |
| 1717549 | |
| 1717545 | |
| 1717533 | |
| 1717512 | |
| 1717511 | |
| 1717508 | |
| 1717495 | |
| 1717479 | |
| 1717473 | |
| 1717470 | |
| 1717463 | |
| 1717452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