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누보드 5.4로 영문 버전을 만들고 싶어요.
일단 사고를 쳐야 시작할 수 있음.
1. 열은 뜨거운 곳에서 차가운 곳으로 흐른다.
고립된 계의 총 엔트로피는 감소하지 않는다.
(열역학 제2법칙)
2. 이 세상(지구) 모든 것은
(특별한 힘이 없는 이상) 위에서 아래로 떨어진다.
모든 것은 끌어 당기기 나름. ㅎ
이 세계(우주)는 오로지 당기는 힘과 버티는 힘의 대결일 뿐
중력을 이용할 생각.
어디서든 먹힐 것 같음?
이것만 지키면 될 것 같음.
뼈다귀라도 만들어서 공유해야지!
그런데 내가 할 수 있나?
내가 생각하는 크기는 할 수 있음.
//
틈틈이 홍보용 버전을 만들 생각입니다.
물론 판매도 할 건데요. 판매용은 고수님께 부탁하여
특별히 제작하고 제대로 팔 생각입니다.
올해 제 작은 소원입니다!
댓글 7개
베스트 댓글
@상석하대 네. 선생님 언어팩 형태로 하기는 할 건데요.
HOOK 기능으로 어디까지 가능할지는 모르겠습니다.
코어를 건드리고 만드는 것은 저도 어느 정도는 하는데요.
이렇게 하면 안 될 것 같고요.
다중 언어 구조는 계획에 아예 없습니다.
그냥 하나의 언어만 지원하는 형태로 언어팩 생각합니다.
언어팩만 바꾸면 다국어 지원이 되는 구조이나
그누보드 하나 씩 통채로 들어가는 구조입니다.
저는 이 이상 방법을 몰라서요.
고생은요. 그누M이 있어서 구조도 살펴 보고
필요한 것은 가져다 쓰기도 하려고요.
프로그램 장사도 제 작은 꿈 중 하나였는데요.
아쉬움이 있다면 영문권을 치지 못 하는 것이 서운하나
실패하더라도 꼭 해 보려고요.
세상 모든 현상에 엔트로피가 있는 걸요.
아래로 떨어지는 것은 명확하게 표현하면 아니죠. ^^
질량이 있는 두 물체 사이라면 동서남북입니다.
중력이 만들어 놓은 공간에서 자유낙하
이 대목을 쉽지 않습니다?
만유인력도 생각이 나지만 결국은 일반상대성 이론입니다.
관성질량과 중력질량 등가성 원리 생각이 납니다.
선생님 뵙고 저 정말 많이 컸습니다? ^^
HOOK 기능으로 어디까지 가능할지는 모르겠습니다.
코어를 건드리고 만드는 것은 저도 어느 정도는 하는데요.
이렇게 하면 안 될 것 같고요.
다중 언어 구조는 계획에 아예 없습니다.
그냥 하나의 언어만 지원하는 형태로 언어팩 생각합니다.
언어팩만 바꾸면 다국어 지원이 되는 구조이나
그누보드 하나 씩 통채로 들어가는 구조입니다.
저는 이 이상 방법을 몰라서요.
고생은요. 그누M이 있어서 구조도 살펴 보고
필요한 것은 가져다 쓰기도 하려고요.
프로그램 장사도 제 작은 꿈 중 하나였는데요.
아쉬움이 있다면 영문권을 치지 못 하는 것이 서운하나
실패하더라도 꼭 해 보려고요.
세상 모든 현상에 엔트로피가 있는 걸요.
아래로 떨어지는 것은 명확하게 표현하면 아니죠. ^^
질량이 있는 두 물체 사이라면 동서남북입니다.
중력이 만들어 놓은 공간에서 자유낙하
이 대목을 쉽지 않습니다?
만유인력도 생각이 나지만 결국은 일반상대성 이론입니다.
관성질량과 중력질량 등가성 원리 생각이 납니다.
선생님 뵙고 저 정말 많이 컸습니다? ^^
양자 흐름은 밀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흘러간다.
이것도 챙겨야지
물은 위에서 아래로 흐른다. 하지만
유일하게 위로 올라가는 현상 중 하나 수증기
지구의 중력 보다 센 경우도 있네? ㅋ
밀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른다.
이건 뭐지?
물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른다.
열역학 제0법칙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누가 높고 누가 낮은 것이지?
열역학 말고
장사할 때 말이다. ㅡㅡ/
인간들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른다?
어려운 것 보다는 쉬운 것을 좋아한다. < 학자는 예외
개발자가 복잡하게 프로그램을 만드는 이유네?
쉬운 것 보다는 복잡한 것을 선호. ㅎㅎ
결과 > 사용자 머리 쥐 터진다.
비싼 것보다는 싼 것을 좋아한다?
이러면 나 망하는데?
인간들 흐름을 어떻게 통제하지?
유체의 흐름. ㅎㅎ
/////////////////////////
많이 팔아서 땜빵해야 한다?
/////////////////////////
인간이 해가 바뀌어도 근본은 똑같네? ㅋ
아이디가 문제. 바꾼 것이 없으니 인간이 안 바뀐 것. ㅡㅡ.
일단 사용자가 쉽게 쓸 수 있도록 < 기본
복잡하면 안 팔림.
이것은 지키고 만들어야겠음?
또 챙겨야 할 것이 뭐가 있지?
이것도 챙겨야지
물은 위에서 아래로 흐른다. 하지만
유일하게 위로 올라가는 현상 중 하나 수증기
지구의 중력 보다 센 경우도 있네? ㅋ
밀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른다.
이건 뭐지?
물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른다.
열역학 제0법칙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누가 높고 누가 낮은 것이지?
열역학 말고
장사할 때 말이다. ㅡㅡ/
인간들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른다?
어려운 것 보다는 쉬운 것을 좋아한다. < 학자는 예외
개발자가 복잡하게 프로그램을 만드는 이유네?
쉬운 것 보다는 복잡한 것을 선호. ㅎㅎ
결과 > 사용자 머리 쥐 터진다.
비싼 것보다는 싼 것을 좋아한다?
이러면 나 망하는데?
인간들 흐름을 어떻게 통제하지?
유체의 흐름. ㅎㅎ
/////////////////////////
많이 팔아서 땜빵해야 한다?
/////////////////////////
인간이 해가 바뀌어도 근본은 똑같네? ㅋ
아이디가 문제. 바꾼 것이 없으니 인간이 안 바뀐 것. ㅡㅡ.
일단 사용자가 쉽게 쓸 수 있도록 < 기본
복잡하면 안 팔림.
이것은 지키고 만들어야겠음?
또 챙겨야 할 것이 뭐가 있지?
@상석하대 네. 선생님 언어팩 형태로 하기는 할 건데요.
HOOK 기능으로 어디까지 가능할지는 모르겠습니다.
코어를 건드리고 만드는 것은 저도 어느 정도는 하는데요.
이렇게 하면 안 될 것 같고요.
다중 언어 구조는 계획에 아예 없습니다.
그냥 하나의 언어만 지원하는 형태로 언어팩 생각합니다.
언어팩만 바꾸면 다국어 지원이 되는 구조이나
그누보드 하나 씩 통채로 들어가는 구조입니다.
저는 이 이상 방법을 몰라서요.
고생은요. 그누M이 있어서 구조도 살펴 보고
필요한 것은 가져다 쓰기도 하려고요.
프로그램 장사도 제 작은 꿈 중 하나였는데요.
아쉬움이 있다면 영문권을 치지 못 하는 것이 서운하나
실패하더라도 꼭 해 보려고요.
세상 모든 현상에 엔트로피가 있는 걸요.
아래로 떨어지는 것은 명확하게 표현하면 아니죠. ^^
질량이 있는 두 물체 사이라면 동서남북입니다.
중력이 만들어 놓은 공간에서 자유낙하
이 대목을 쉽지 않습니다?
만유인력도 생각이 나지만 결국은 일반상대성 이론입니다.
관성질량과 중력질량 등가성 원리 생각이 납니다.
선생님 뵙고 저 정말 많이 컸습니다? ^^
HOOK 기능으로 어디까지 가능할지는 모르겠습니다.
코어를 건드리고 만드는 것은 저도 어느 정도는 하는데요.
이렇게 하면 안 될 것 같고요.
다중 언어 구조는 계획에 아예 없습니다.
그냥 하나의 언어만 지원하는 형태로 언어팩 생각합니다.
언어팩만 바꾸면 다국어 지원이 되는 구조이나
그누보드 하나 씩 통채로 들어가는 구조입니다.
저는 이 이상 방법을 몰라서요.
고생은요. 그누M이 있어서 구조도 살펴 보고
필요한 것은 가져다 쓰기도 하려고요.
프로그램 장사도 제 작은 꿈 중 하나였는데요.
아쉬움이 있다면 영문권을 치지 못 하는 것이 서운하나
실패하더라도 꼭 해 보려고요.
세상 모든 현상에 엔트로피가 있는 걸요.
아래로 떨어지는 것은 명확하게 표현하면 아니죠. ^^
질량이 있는 두 물체 사이라면 동서남북입니다.
중력이 만들어 놓은 공간에서 자유낙하
이 대목을 쉽지 않습니다?
만유인력도 생각이 나지만 결국은 일반상대성 이론입니다.
관성질량과 중력질량 등가성 원리 생각이 납니다.
선생님 뵙고 저 정말 많이 컸습니다? ^^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1717629 | |
| 1717626 | |
| 1717625 | |
| 1717621 | |
| 1717619 | |
| 1717611 | |
| 1717610 | |
| 1717609 | |
| 1717607 | |
| 1717601 | |
| 1717598 | |
| 1717591 | |
| 1717590 | |
| 1717583 | |
| 1717575 | |
| 1717572 | |
| 1717568 | |
| 1717566 | |
| 1717549 | |
| 1717545 | |
| 1717533 | |
| 1717512 | |
| 1717511 | |
| 1717508 | |
| 1717495 | |
| 1717479 | |
| 1717473 | |
| 1717470 | |
| 1717463 | |
| 1717452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