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재택 근무하는 사람들이 근무지의 자기 컴퓨터를 원격으로 접속하여 설치된 업무용 프로그램을 쓸려는 요구들이 있어서 입니다.
설정은 간단한데 말로 일일이 하자니 귀찮습니다.
먼저, 근무지 컴퓨터에 설정하기 전 IP를 메모하고 로그인할 때 암호를 입력하지 않는다면 암호를 설정해야 합니다.
메모장에 다음 내용을 입력하고 cmd 배치 파일로 저장합니다.
(파일 첨부가 안되서 입니다)
@echo off
reg add "HKLM\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Terminal Server" /v fDenyTSConnections /t REG_DWORD /d 0 /f
echo 컴퓨터에 원격 연결을 허용했습니다.
set /p port=원격데스크톱 접속용 포트 번호를 입력하십시오 :
reg add "HKLM\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Terminal Server\Wds\rdpwd\Tds\tcp" /v PortNumber /t REG_DWORD /d %port% /f
reg add "HKLM\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Terminal Server\WinStations\RDP-Tcp" /v PortNumber /t REG_DWORD /d %port% /f
echo 원격데스크톱 접속용 포트를 변경하였습니다.
netsh advfirewall firewall add rule name="MsTsc" dir=in action=allow protocol=tcp localport=%port%
echo Windows 방화벽에서 원격데스크톱을 허용하였습니다.
net stop /y TermService & net start /y TermService
echo 원격데스트크톱 서비스를 시작하였습니다.
timeout /t 5
exit
작성한 배치 파일을 오른 클릭해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기본 포트는 널리 알려져서 변경할 다른 포트를 한번 입력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3만대의 임의 숫자 34567 과 같은 포트 사용을 권합니다.
근무지에 컴퓨터가 여러대인 경우 포트는 각각 다르게 부여합니다.
사설 네트워크 환경이면 공유기 또는 스위치 또는 NAT 기기의 관리자에서 해당 포트를 컴퓨터의 IP로 포워딩합니다.
접속은 원격 데스크 톱을 실행하여 '아이피:포트'를 입력합니다.
예)175.214.122.211:34567
사설 네트워크 환경은 '네트워크기기의WAN아이피:포트'입니다.
로그인하고 나면 그냥 윈도우입니다.
참고)
윈도우는 보조 프로그램에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클릭하거나 실행 또느 검색 상자에서 mstsc를 입력합니다.
안드로이드, 아이폰은 스토어에서 Microsoft Remote Desktop 앱을 설치한 후 접속합니다.
필요가 없어지면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시스템 > 원격 설정 > '이 컴퓨터에 대한 원격 연결 허용 안 함'을 선택합니다.
컴퓨터를 원격으로 켜려면 WOL을 설정해야 하는데 경우가 다양하니 이는 빼겠습니다.
댓글 14개
베스트 댓글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1717438 | |
| 1717431 | |
| 1717422 | |
| 1717414 | |
| 1717412 | |
| 1717407 | |
| 1717401 | |
| 1717393 | |
| 1717386 | |
| 1717379 | |
| 1717378 | |
| 1717365 | |
| 1717364 | |
| 1717360 | |
| 1717359 | |
| 1717346 | |
| 1717344 | |
| 1717333 | |
| 1717327 | |
| 1717313 | |
| 1717312 | |
| 1717310 | |
| 1717307 | |
| 1717306 | |
| 1717304 | |
| 1717291 | |
| 1717283 | |
| 1717280 | |
| 1717268 | |
| 1717265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