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이미지 트래픽 분산을 위해서 노력해왔습니다.
프록시 서버, 캐시 서버 , Nginx 셋팅 등등 많이 봤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그누보드에는 뭐가 제일 좋을까!? 고민을 많이했습니다.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더 쉽고 편하게 구축할 수 있을까? 이것도 생각했구요.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라엘 님 블로그에서 찾았다.. 라고 할 수 있겠네요.
Nginx를 쓰고 있지만, 실제 활용방법은 잘 모르고 있었거든요.
간단하게 요청되는 /data 폴더의 URL을 cdn 주소로 치환하면 됩니다.
php 함수를 이용하거나, CDN 관련 플러그인을 이용하거나, DB를 직접수정하는 방법도 있지만
지식이 필요하거나 돈(의뢰)가 필요하거나, DB를 직접 조작하고 수정해서 문제가 생길 위험도 있죠.
그런데 Nginx에서 자체적으로 /data/ 이하의 폴더에 요청되는 URL을 CDN 서버로 치환해줄 수 있습니다.
CDN 서버를 사용하고 싶지 않다면 Nginx 설정에서 수정해주면 다시 돌아갈 수 있구요.
그 방법은 Nginx의 sub_module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찾아보니 한두번씩 봤던 것인데, 실제로 어떻게 사용하는지 몰랐거든요.
Nginx 설정에서
[code]
sub_filter “https://example.com/data/editor/” “https://cdn.example.com/data/editor/”;
sub_filter “https://example.com/data/file/” “https://cdn.example.com/data/file/”;
[/code]
위와 같이 넣어주면 끝나는거죠.
이렇게 셋팅하고
cdn.example.com 이 돌아가는 서버에 @라엘 님 블로그 글(https://blog.lael.be/post/7605) 그대로 셋팅하면 되겠습니다.
참 쉽죠?
참고로 저는 오라클클라우드 서울 리전 무료인스턴스로 반쯤 쓰고 있는데, 오늘내일 셋팅해서 100% 캐시서버로 이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정리되면 글 하나 남겨볼게요.
댓글 8개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1717629 | |
| 1717626 | |
| 1717625 | |
| 1717621 | |
| 1717619 | |
| 1717611 | |
| 1717610 | |
| 1717609 | |
| 1717607 | |
| 1717601 | |
| 1717598 | |
| 1717591 | |
| 1717590 | |
| 1717583 | |
| 1717575 | |
| 1717572 | |
| 1717568 | |
| 1717566 | |
| 1717549 | |
| 1717545 | |
| 1717533 | |
| 1717512 | |
| 1717511 | |
| 1717508 | |
| 1717495 | |
| 1717479 | |
| 1717473 | |
| 1717470 | |
| 1717463 | |
| 1717452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