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구 물품 가격이 20만원 넘으면 관세부과 군요?

부가세 때릴 거면 빨리 때려주던가 거의 2달을 잡아 놓고 이제서야 돈을 내라 하네요. 근데 참 이상한 게 어떨 때는 50만 원이 넘는 직구를 해도 그냥 오고 그러는데 물건 외형을 봐서 "음... 이건 좀 나가겠군..." 이렇게 선별하지는 않을 것 아닌가요? 돈은 그냥 내면 그만인데 직구 하다가 보면 가끔 이렇게 물건 잡고서 세금을 내라 하는데 그 기준이 참 그렇네요.

아무리 봐도 수입 품목이 좀 값이 나가 보이니 눈대중으로 잡아둔게 확실해 보이는데...음...기준 참 막연하네요.
댓글 16개
베스트 댓글
@에이트닷 일단 국내산이나 미제나 저 가격대에 저런 출력의 에어리스를 구입하기가 힘들어서 버리는셈 치고 구입했는데 중국제 에어리스들이 요즘 내구성이 좋아졌다네요. 그래서 실제 현장에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습니다. 소음은...좀 그렇다고들 합니다.
4년 전
미국은 200달러가 기준이고
그외는 150달러가 기준입니다
저 기준을 넘어섰는데도 관세를 내지 않은 경우는
판매자가 판매가를 내려쳐서 신고해서 그렇구요
(언더밸류라고 하죠)
그외는 150달러가 기준입니다
저 기준을 넘어섰는데도 관세를 내지 않은 경우는
판매자가 판매가를 내려쳐서 신고해서 그렇구요
(언더밸류라고 하죠)
4년 전
@묵공 네 알리 판매자들이 주로 핸드폰 판매할때 200달러 넘어도 100달러 이런식으로 알아서 많이 신고해서 보내주더군요. 요즘은 단속이 심해지긴 했지만요...
4년 전
@묵공 ㅋㅋ 그렇죠 잘 아시면서...
그런데 관세청에서 이건 이 가격이 아닌데 하면 실제 영수증 첨부하고 소명해야되기 때문에 뭐..
그런데 관세청에서 이건 이 가격이 아닌데 하면 실제 영수증 첨부하고 소명해야되기 때문에 뭐..
4년 전
실제로 금액이 크더라도..
일반적으로 사는 가격에 관부가세를 포함하여
지불하는 경우가 태반입니다.
직구할때는 그걸 잘 확인하고
구매해야하죠.
일반적으로 사는 가격에 관부가세를 포함하여
지불하는 경우가 태반입니다.
직구할때는 그걸 잘 확인하고
구매해야하죠.
4년 전
@쪼각조각
[http://sir.kr/data/editor/2012/34857a195b982c09760078ac359cfc60_1609386704_7188.jpg]
[http://sir.kr/data/editor/2012/34857a195b982c09760078ac359cfc60_1609386704_7188.jpg]
4년 전
@에이트닷 일단 국내산이나 미제나 저 가격대에 저런 출력의 에어리스를 구입하기가 힘들어서 버리는셈 치고 구입했는데 중국제 에어리스들이 요즘 내구성이 좋아졌다네요. 그래서 실제 현장에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습니다. 소음은...좀 그렇다고들 합니다.
4년 전
관세 부과 기준에는 배송비가 포함된 금액이라
200불짜리 + 배송료 20불이면 220불에 대한 관세가 매겨집니다.
세관에서 가끔은 구매 사이트의 캡쳐 내역을 요구해서 확인하기도 합니다.
200불짜리 + 배송료 20불이면 220불에 대한 관세가 매겨집니다.
세관에서 가끔은 구매 사이트의 캡쳐 내역을 요구해서 확인하기도 합니다.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1717652 | |
| 1717651 | |
| 1717650 | |
| 1717648 | |
| 1717635 | |
| 1717629 | |
| 1717626 | |
| 1717625 | |
| 1717621 | |
| 1717619 | |
| 1717611 | |
| 1717610 | |
| 1717609 | |
| 1717607 | |
| 1717601 | |
| 1717598 | |
| 1717591 | |
| 1717590 | |
| 1717583 | |
| 1717575 | |
| 1717572 | |
| 1717568 | |
| 1717566 | |
| 1717549 | |
| 1717545 | |
| 1717533 | |
| 1717512 | |
| 1717511 | |
| 1717508 | |
| 1717495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