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국비지원 6개월 과정을 통해서 웹쪽을 배우고 1년정도 정보처리기사를 공부해서 취득후 6개월 정도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서 php 개발자로 취업을 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꿈은 풀스택 개발자를 하는것이였는데요 향후 그래도 어느정도 저의 회사를 차리고 싶다 라는 생각으로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또 그것도 어렵다면 java개발자를 하고 싶다 라고 생각을 하고 시작을 하게 되었는데요 서울 이나 타 지역으로 가기가 자금이 부족하여서 일단 지방에 집에서 가까운곳으로 직장을 찾다보니 php.. 밖에 없어서 php로 개발을 하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그누보드,영카트 개발을 하고 있고요 그리고 워드프레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회사를 다니면서 spring 스터디도 참여하고 있고 자바 스터디도 참여하고 php도 퇴근하고 꾸준히 공부하고 주말마다 혹시 프론트쪽으로는 제가 부족함이 없는지 매번 강의를 들으면서 노션으로 포트폴리오를 또 준비하고 있습니다
일단 제가 가지고 있는 것은
(국비지원) - 빅데이터 국비 과정 -> python 위주의 수업이였습니다 machine learning, deep learning 까지 포함 되어 있고 이것을 웹으로 배포하는 최종 프로젝트였습니다 여기서 deep learning 코드는 back end를 잘하는 팀원이 해주고 저는 웹쪽 프론트엔드를 중점적으로 작업하였습니다 프로젝트 기간은 1달 정도 였고 교육기간은 5달 정도였습니다
(정보처리기사) -> 이것은 꼭 필요한거라고 생각해서 비전공자기에 1년정도를 투자해서 취득하게 되었습니다
원래는 java 아니면 다 필요없어! 였지만.. php로 시작을 하게 되면서 php도 꽤 강력하는것을 느끼고 있습니다 modern php 그리고 나아가 laravel 또 꽤 좋은 프레임 워크인거 같습니다 하지만 결정할때가 된거 같아서 확실히 마음을 잡고 싶어서 글을 적게 되었는데요 현재는 6개월정도 되었습니다
1. 역시 java인가요? 언어는 도구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래도 먹고는 살아야하니까요.. php는 어려움이 많을까요? 따끔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2. php를 개발하면서 지속적으로 뷰단을 또 작업을 참여하게 되었는데요 현재는 틈틈히 vue.js / react.js 또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확 틀어서 프론트엔드로 전향을 할까요?
3. php가 줄어든다 하지만 꽤 매력적인 언어인거 같습니다 laravel도 그렇고요 php를 깊게 파보는것은 또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여쭈어보고싶습니다!
여기서 모르는것을 여쭈어볼때 마다 너무 친절하게 도와주시는 모든분들에게 정말 감사하고 이런 커뮤니티가 있음에도 감사합니다 그래서 또 php가 멋진거 같아요
저는 지금 개발이 너무 재밌어서.. 점심시간에 spring 스터디 과제를 하고요 그리고 퇴근하고 java스터디도 1시간 정도 참여하고 php작업을 정리하고 너무 늦지 않으면 조금 더 javascript 그리고 vue.js를 공부하면서 하루를 보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라도 제대로 하지.. 이렇게 하지마라 라는 조언을 듣게 되었는데요 역시 맞다고 동의합니다 하지만 또 마음을 확고히 잡기가 어렵네요 어린 개발자라고 생각하시고 따끔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댓글 52개
베스트 댓글
1. 역시 java인가요? 언어는 도구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래도 먹고는 살아야하니까요.. php는 어려움이 많을까요? 따끔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 java 하세요
2. php를 개발하면서 지속적으로 뷰단을 또 작업을 참여하게 되었는데요 현재는 틈틈히 vue.js / react.js 또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확 틀어서 프론트엔드로 전향을 할까요?
- 전향하지 마세요 java 하세요
3. php가 줄어든다 하지만 꽤 매력적인 언어인거 같습니다 laravel도 그렇고요 php를 깊게 파보는것은 또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여쭈어보고싶습니다!
- 매력없습니다. java 하세요
제가 실무 또는 개발을 하며 현실에서 느낀점을 알려드립니다.
이 것은 백프로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며, 본인이 느낀 것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1. java는 실제로 외국에서는 별로 많이 사용되지 않는 언어입니다.
우리나라에 국한되게 국가지원 사업이 많아서 실제로는 java가 많이 사용되어 보이지만,
실제론 그렇지 않습니다. 저는 다시 처음부터 시작하더라도 PHP를 시작할 겁니다.
2. PHP만하더라도 라라벨, 코드이그나이터등 다양한 프레임워크가 많습니다.
해당 프레임워크를 습득하고 공부하는 것 만으로도 수년이 걸립니다.
프론트엔드로서 뷰,노드,리엑트등을 하고 싶다면 지금부터 전향을 하고, PHP는 개념 수준으로만 알고 있는것이 좋습니다.
PHP만 수년을 하다보면 서버, db등 배워야할게 더 많기 때문에 프론트엔드를 배울 여력이 실제로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아예 분리할거라면 지금부터 전향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
다만, PHP보다 전통성이 떨어지므로, 해당 언어가 PHP보다 더 오래갈거란 보장은 못합니다.
하지만, PHP는 전세계 웹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고있고, 웹 개발 언어로서도 PHP는 단연 1등이기때문에 우리가 죽기직전까지도 PHP는 사용되리라 봅니다.
3. PHP를 깊게파보는건 좋습니다. 우선 객체지향이라는것을 배워야합니다.
그리고 PHP를 하다보면 서버, db를 어느정도 숙달하게되고, 이후 부족한 기능들은 파이썬을 사용하면 됩니다. JAVA보다 파이썬이 더 미래지향적인 언어입니다.
결론, JAVA를 배우실빠에는 PHP를 이어서하시고,
PHP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뷰,노드,리엑트를 배우시며 프론트를 준비하시고
PHP가 좋다면 배우시며 서버, db를 마스터한 후 파이썬으로 그 역량을 + 시키세요.
웹은 없어지지 않습니다.
최근 모든 앱들은 웹 기반으로 만들어집니다.
추천하자면 플러터라는 안드로이드+ios 앱 한번에 만들수있는 언어를 추천드립니다.
저는 PHP로만 먹고 산지 10년 6개월 되었습니다. 지방에서 시작했고 지금은 서울에서 근무 중입니다. 먼저 연봉부터 까고 시작하자면 올해 협상에서 1억 2,000만원에 + 재택근무 + 법인카드 받아냈습니다. 지금은 회사에서 롤은 인프라 엔지니어 겸 PHP 웹 어플리케이션 백엔드 개발자라고 이야기 할 수 있겠네요.
1. JAVA
JAVA는 대학교 때 전공에서 억지로 가르치니깐 하는 수 없이 했던 거 빼고 스스로 코드를 작성한 경험은 없습니다. 흔히들 밟게 되는 코스가 JAVA 하다가 정보처리기사 따고 몇 년 SI에서 구르다가 기술사 시험에 도전하는 코스가 너무 싫었습니다. PHP로 모든게 다 되는데 억지로 JAVA를 써야하는 상황 자체가 너무 싫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내가 쓰기 싫다고 투정 부리는 걸로는 회사나 클라이언트에게 먹히지 않습니다. 그래서 쓸 수 있는 방식은 내가 PHP로 어디까지 해봤는지 어떤 경험을 했는지를 글로 써서 납득시키는 과정이 필요했습니다. JAVA를 선택하지 않고 PHP를 선택했을 때 얻게 되는 성능상 혹은 금전적 이득을 정확히 설명하면 납득하지 않을 클라이언트는 없었습니다. 이미 JAVA로 되어 있는 프로젝트도 PHP로 바꾸는게 훨씬 좋을 것이다는 걸 납득시키고 실제로 그렇게 이루어낸 사례들 계속해서 꾸준히 쌓아두고 다음 클라이언트에게 이야기를 하게 되는 거죠. 실제로 저는 PHP로 Socket.IO 서버를 구축해서 암호화폐 거래소까지 만들어 본 경험이 있습니다.
2. 프론트엔드
예나 지금이나 백엔드 하시는 분들이 프론트엔드를 귀찮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만, 저는 이게 너무 쉬웠습니다. PHP가 본업이라면 프론트엔드는 취미 삼아 하는거죠. 마치 취미로 그림을 그린다는 개념과 매우 비슷한거 같습니다. 이 취미가 직접적으로 연봉으로 이어지는 구조는 아니지만 분명한 건 여러 팀원들과 협업에 있어서 어마어마한 강점을 가지게 됩니다. 백엔드 개발자와 프론트엔드 개발자와 UI/UX를 다루는 기획자 디자이너와 모두와 토론 배틀이 가능해지는 거죠. 이게 결국에는 쌓이고 쌓여서 그 어떤 요구사항에도 흔들리지 않는 자신감이 생기게 됩니다. 그럼 그게 연봉으로 이어지게 되죠. 어떤 프레임워크를 고르기 전에 javascript에 일단 정통하게 되면 그 뒤는 일사천리입니다. 서버 사이드 javascript랑 클라이언트 사이드 javascript를 구분하셔서 함께 제대로 파두시면 좋습니다. 그리고 나머지는 선택의 문제이죠. vue.js든 react.js든 재미있는 걸로 선택하셔서 취미생활 하시기 바랍니다.
3. PHP 프레임워크
저는 laravel로도 많이 해봤지만, 가장 선호하는 프레임워크는 slim 입니다. 매우 직관적이고 빠르고 러닝커브도 매우 낮죠. 가볍게만 볼게 아닌게 제가 필요로 하는 모든 구조는 다 포함되어 있어서 저는 지금도 어떤 프로젝트를 시작하면 slim으로 시작합니다. 여기서도 프레임워크가 내 연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어떤 것이든 하나에 정통하면 분명 강점이 있다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그리고 향후의 PHP의 방향이나 인기도 같은 건 우리 사이에서만 중요한 문제이지 나에게 돈을 지불하는 회사 클라이언트에겐 별반 신경 쓸 필요도 없는 문제 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 사람들이 원하는 요구사항이나 문제점을 가장 빠르고 돈 적게 들고 유지보수 덜하게 끔 하는 기술이 PHP인걸 납득시키면 될 일이니깐요.
한 번 읽어보시면 좋을거 같아서 남깁니다.
https://gs.hn/entry/%EC%89%AC%EC%9A%B4-PHP-%EC%BD%94%EB%93%9C%EC%99%80-%EC%A2%8B%EC%9D%80-PHP-%EC%BD%94%EB%93%9C
꼭 PHP로 성공하시는 개발자가 되시길 바랄께요^^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1717629 | |
| 1717626 | |
| 1717625 | |
| 1717621 | |
| 1717619 | |
| 1717611 | |
| 1717610 | |
| 1717609 | |
| 1717607 | |
| 1717601 | |
| 1717598 | |
| 1717591 | |
| 1717590 | |
| 1717583 | |
| 1717575 | |
| 1717572 | |
| 1717568 | |
| 1717566 | |
| 1717549 | |
| 1717545 | |
| 1717533 | |
| 1717512 | |
| 1717511 | |
| 1717508 | |
| 1717495 | |
| 1717479 | |
| 1717473 | |
| 1717470 | |
| 1717463 | |
| 1717452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