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사이트를 국제화

· 3년 전 · 1656 · 8

언어 작업만 할게 아니라 현지시간 치환출력을해야하는데요.

곰곰히 생각해보니 여기서 치환전 기준시간을 뭘로할까에대한 생각입니다.

서버시간을 UTC로 해서 각 지역 접속자에 맞춰서 시간을 제공해야할까요.

그냥 KST 그대로 두고 각 지역과 한국시간 차이를 연산해서 치환할까요.

UTC로 바꾼다면 db에 저장된 시간들도 바꿔야하는데..일을 크게만들것인가 말것인가의 차이..?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 8개

베스트 댓글

그래서 SQL에는 TIMESTAMP 라는 타입이 존재 합니다. 기본적으로 현재 설정된 timezone의 시간을 저장해도 UTC로 변환해서 저장해두고 SELECT 되어져서는 각자의 timezone에 맞는 형태로 보여주게 되는거죠.
원댓글 보기 →
생각해보니 섬머타임도 해야하네요 하핰ㅋㅋ
@망고씌 그래서 가끔 제서버에서 섬머타임으로 인해 출석부가 같은날이 두번 출력 될때도 있답니다......^^
@亞波治 시행날 1시간이 반복해서 시작하는거겠죠?
3년 전
써머탐 오랜만에 들어보네요. 아직도 시행이 되고 있는 건가 보네요.
그게 이케 해서 저케 해서 한 시간 어쩌구 뒤로 저쩌구 하는 그런 거 맞죠?
@지운아빠 섬머타임 왜하는지 ㅠㅠ
그래서 SQL에는 TIMESTAMP 라는 타입이 존재 합니다. 기본적으로 현재 설정된 timezone의 시간을 저장해도 UTC로 변환해서 저장해두고 SELECT 되어져서는 각자의 timezone에 맞는 형태로 보여주게 되는거죠.
@gshn 오.. 배워갑니다^^
3년 전
@gshn 팬이에요.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1717438
1717431
1717422
1717414
1717412
1717407
1717401
1717393
1717386
1717379
1717378
1717365
1717364
1717360
1717359
1717346
1717344
1717333
1717327
1717313
1717312
1717310
1717307
1717306
1717304
1717291
1717283
1717280
1717268
1717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