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를 공부하기위해 안쓰던 vscode를 세팅하고 이것저것 해보고있습니다.
보통 요즘 회사들은 작업시 서버에 바로 붙어서 작업하는지요?
아니면 로컬에 apm을 설치해놓고 로컬에서 개발후 실서버로 적용시키는지요?
제가 최근 테스트해본 결과, vscode에서 로컬에 있는 소스를 깃허브를 올리는건 어느정도 이해했고
유투브강의에도 다 로컬베이스 작업으로 설명되어있어요.
저는 실서버로 다이렉트로 붙어서 작업하고 그것을 깃허브로 옮기는거를 생각했거든요?
에디터플러스에 익숙하다 보니...
이유는 최근 회사에서 관리하는 프로젝트가 20개정도 였어요.
이것을 다 로컬에 세팅하는건 무리였어요. php 버전도 4~7 까지 다양했고..
근데 이렇게 하다보니 깃허브와 1:1로 매칭이 안되더군요
내 로컬에 무조건 소스가 있어야 되고, vscode에서 simple-ftp로 접속해서
바로 작업하는 방식은 찾아볼수가 없었어요..
그래서 직접 실무에 계신 분들의 이야기를 듣고싶어요,
프로젝트를 어떻게 시작하고 혼자가 아닌 2~3명 작업시에 깃허브를
어떻게 운용하는지..
일일이 언급하시기 힘드시겠지만, 대략적으로 어떤글이든 남겨주세요..
참고로 버전관리는 이클립스로 svn 사용해본적있습니다.
버전관리 개념은 알고있습니다..
댓글 9개
베스트 댓글
취미로 하고 있지만, 로컬에 라라곤 설치해서 사용중입니다. PHP 5.x에서 8까지 설치하고, 아파치도 여러버전, 데이타베이스도 여러버전을 설치해서 테스트 가능합니다.
(단점은 자동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프로젝트별로 실행을 다시 해줘야.)
그리고 그 프로젝트 디렉토리를 각각 깃헙에 연결해서 관리합니다.
라라곤은 단점이 윈도우 전용이라서..
다른 곳에서도 사용할려면, Laradock을 사용하면 됩니다. PHP는 5 에서 8까지 가능하고 다양한 데이타베이스도 가능합니다. (라라곤 사용보다는 조금더 불편합니다.)
(단점은 자동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프로젝트별로 실행을 다시 해줘야.)
그리고 그 프로젝트 디렉토리를 각각 깃헙에 연결해서 관리합니다.
라라곤은 단점이 윈도우 전용이라서..
다른 곳에서도 사용할려면, Laradock을 사용하면 됩니다. PHP는 5 에서 8까지 가능하고 다양한 데이타베이스도 가능합니다. (라라곤 사용보다는 조금더 불편합니다.)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1717629 | |
| 1717626 | |
| 1717625 | |
| 1717621 | |
| 1717619 | |
| 1717611 | |
| 1717610 | |
| 1717609 | |
| 1717607 | |
| 1717601 | |
| 1717598 | |
| 1717591 | |
| 1717590 | |
| 1717583 | |
| 1717575 | |
| 1717572 | |
| 1717568 | |
| 1717566 | |
| 1717549 | |
| 1717545 | |
| 1717533 | |
| 1717512 | |
| 1717511 | |
| 1717508 | |
| 1717495 | |
| 1717479 | |
| 1717473 | |
| 1717470 | |
| 1717463 | |
| 1717452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