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AI 코딩, 노코딩이 대세로 자리 잡을게 확실해 보입니다.
최근 AI 코딩에서 이슈되었던 코파일럿을 한번 써보았습니다.
1. 불편한점
- 개발툴에서 코드 가독성을 해칩니다. 자동생성 코드를 미리보기를 해주는데, 예측 코드가 여러줄일 경우 코드가 밀리면서 화면이 흔들리는 느낌이 납니다. 예측코드와 기존작성코드가 섞이면서 일시적으로 가독성도 좋지 않아집니다.
- 단축키를 좀더 익숙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2. 장점
- 코드 작성시간 줄여줍니다.
- 예측코드가 잘 맞아떨지면, 혼자서 코딩하는게 아니라 둘이서 코딩하는 느낌이 들어서 조금 덜 외롭(??)습니다.
3. 무서운점
- 예측코드가 너무 잘 만들어져서...
- 제가 코딩한 의도에 맞춰서 나오는 경우는 경우에는 코딩 시간을 줄여주니 좋은 툴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 그런데, 예측코드가 제가 생각한것보다 더 우수한 경우가 있습니다. 제가 놓친 부분도 예측해주고,,
- 이게 좀 무섭습니다. 나보다 똑똑하다는 느낌이 순간 들거든요.
- AI 코딩에 익숙해질까봐 무섭습니다. 저보다 똑똑하다니.... 마치 제가 AI 지시를 받아서 코드를 만드는 게 아닐까 하는 의심까지 해보게 됩니다.
결론)
- 코파일럿의 예측 품질 좋습니다. (PHPStorm 에서 플러그인 형태로 사용했습니다.)
- 그누보드/영카트 기반에서 코딩을 하는데도, 예측 품질이 좋습니다.
- 아마 글로벌 프레임웍인 라라벨이나 심포니에서는 예측 품질이 더 좋을것라 봅니다.
- AI 코딩 방식에 익숙해지는게 개발자에게(미래를 생각해서) 좋은일인지 나쁜일인지 모르겠네요.
댓글 3개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1717629 | |
| 1717626 | |
| 1717625 | |
| 1717621 | |
| 1717619 | |
| 1717611 | |
| 1717610 | |
| 1717609 | |
| 1717607 | |
| 1717601 | |
| 1717598 | |
| 1717591 | |
| 1717590 | |
| 1717583 | |
| 1717575 | |
| 1717572 | |
| 1717568 | |
| 1717566 | |
| 1717549 | |
| 1717545 | |
| 1717533 | |
| 1717512 | |
| 1717511 | |
| 1717508 | |
| 1717495 | |
| 1717479 | |
| 1717473 | |
| 1717470 | |
| 1717463 | |
| 1717452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