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먹고따블님의 한국말 풀이에 대해 한마디 덧붙입니다

· 2년 전 · 1966 · 14

먹고따블님께서 지적하신대로 요즘 젊은 친구들이 문해력이 떨어진다는 것에 대체로 수긍하지만 
그 책임에 대해 생각해 보고 싶어 따로 글 남깁니다.

 

많은 분들께서 우리말이 한문이 많아서 어렵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한문을 차용한 일본말투 때문인 경우가 더 많습니다.

 

아랫글에서 예로 든
===================
금일 : 오늘
명일 : 내일
익일 : 어떠한 날의 다음 날
작일 : 어제
전일 : 어떤한 날의 이전 날    
====================
모두 한두번은 들어본 말이고 공문서나 회사 기안서에서도 써 보았던 말일 것입니다.

 

그러나 간단하게 OX로 정리하면 한문은 맞지만 중국어가 아닌 일본어입니다.
금일, 명일, 익일 작일, 전일의 공통점=일본어
중국어(X)
일본어(O)  
예) 오늘 -일본어:금일(今日)
             중국어:금천(今天)

 

금일,명일,작일...
모양은 한문이지만 그 근원은 현재 일본인이 쓰는 일본어입니다.

문제는 일본말인지도 모르고 쓰는 경우가 더 많다는 것입니다.
(수긍하기 어려운 분들이 더 많을 겁니다. 그러나 슬픈 사실.)

 

운전하면서 이빠이, 빠꾸 하는 말을 쓴 사람도 명백하게 
"이것은 일본말이야, 일본말은 쓰지 않는 게 좋아"라는 생각을 하며 약간의 부끄러움과 죄책감을 느끼기도 하죠.

그러나 명일, 금일은 그 근본이 일본어라는 생각은 해 본적이 없을 겁니다.
(이것을 일본말투라 말합니다.)

 

기라성 같은 선배, 기염을 토하다라는 말도 마찬가지입니다.
기라성=일본말 샛별
기염=일본말 불꽃,  이밖에도 액면가 등 책으로 다 엮을 수가 없을 정도로 많습니다.
기라성, 기염이라는 말은 뜻도 모르고 관용어로 쓰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샛별같은 선배"는 우리 정서상 "우러러 보는 선배"라는 뉘앙스는 아니죠.

 

이 모든 언어의 흔적이 일제 강점기에 우리말로과 글을 말살했던 일본 제국주의자에게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 해방후에도 영향력을 행사한 결과입니다.

 

해방은 되었지만 아직도 우리말은 아직도 해방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세종대왕님, 죄송합니다ㅠㅠ

 

이에 대한 설명은 제 능력으로 다 할 수는 없고
관심이 있다면 이오덕 선생님의 "우리글 바로쓰기"라는 책을 보시면 
얼마나 우리가 일본잔재의 언어생활을 하는지 이해가 될 것입니다.

 

젊은이들을 탓하기 전에 명일이라는 말 대신에 "내일",
금일이라는 말 대신 "오늘"이라는 쉬운 우리말을 사용하면 얼마나 좋습니까.

 

공무원들의 공문서부터 바뀌어야 국민의 언어도 바뀌지 않을까요?

답답해서 주제넘게 한마디 했습니다.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 14개

2년 전
짜장면 먹고싶다
@랩퍼투혼 중식 제공입니다.
2년 전
배우고 갑니다.
@쪼각조각 괜히 주제넘게 한마디 했습니다.
너그럽게 이해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1717252
1717247
1717243
1717237
1717225
1717214
1717208
1717203
1717189
1717183
1717177
1717172
1717163
1717162
1717156
1717154
1717153
1717141
1717140
1717138
1717113
1717111
1717105
1717099
1717085
1717076
1717072
1717065
1717062
1717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