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에 생각이지만
. ' } 요런거 들만 잘 찍어도 바로 중견됩니다,
, '' '."{"}'. 이딴 것들 무지 어려워요 ㅎㅎ
하나 잘못하면 수색하느라 1시간은 기본 날려먹습니다 ㅜㅜ
write['wr_178]';?>
'이거하나 바깥에 잘못찍었다가 3시간 날려먹은 살람입니다,
번호가 벌써 178이니 장난아니겠죠? ㅎ
코드 줄은 많지 다른 코드에 문제가 있나하고 몇번을 뒤져도
알 수없는 오류로 바로 성격버릴 지경인데
가까스로 찾아냈어요ㅡ.ㅡ
게다가 올바른 방법으로 어쩌구 까지
같이 걸려봐요,,,ㅋ
이런걸 참으면서 이겨내야 하니 개발자들은
상당한 인격수양이 되었을 듯 ㅎ
그런데 prefix[보테이블인가?] ;' test
하고 밑에 sql하고,,,,
이런 살람도 있던데,,,
그냥 직관적으로 g5_write_test테이블이라고 하지
뭔또 프리픽스니...ㅎㅎ
그러면서 컴마 쩜, 따옴표 갈호 무지 쓰면서 ㅋㅋㅋ
댓글 6개
기본적으로 확장컬럼을 활용하는건 가변적이어야 유용합니다만
20개이내정도야.. 나름 조정하면서 사용할수있으나
그 이상된다면 이건 공통코드를 활용하거나
가변형 Row로 변경된 이름을 저장해야 맞을겁니다.
속도면에서도 마찬가지죠
컬럼이 횡으로 늘어지게되면
도대체 이 컬럼이 무슨값인지 알기도 어렵고,
관리시에 소모되는 시간이 폭증합니다.
Table 에 index를 넣는다고 해도 비효율이 증가해서 ...등등
한가지더,
System Error 혹은 Syntax Error 를 눈으로 찾는다는건
초급이라는 증거일수밖에 없습니다.
ErrorLog를 보면 바로 확인될 내용입니다.
중급을 지향하신다면 .. 알고리즘과 원론에 집중하셔야 할것 같네요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1717629 | |
| 1717626 | |
| 1717625 | |
| 1717621 | |
| 1717619 | |
| 1717611 | |
| 1717610 | |
| 1717609 | |
| 1717607 | |
| 1717601 | |
| 1717598 | |
| 1717591 | |
| 1717590 | |
| 1717583 | |
| 1717575 | |
| 1717572 | |
| 1717568 | |
| 1717566 | |
| 1717549 | |
| 1717545 | |
| 1717533 | |
| 1717512 | |
| 1717511 | |
| 1717508 | |
| 1717495 | |
| 1717479 | |
| 1717473 | |
| 1717470 | |
| 1717463 | |
| 1717452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