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요즘 제가 AI 사무보조 로봇을 만드는 상상을 하고 있습니다.

· 8개월 전 · 805 · 9

 

DX / AX 말이 많은데

요즘 AI가 일을 대신해주다보니

남는 시간에 쓸대없는 생각만 하고 있네요

AI 사무 로봇을 만드는 몇가지 아이디어가 있는데

그걸 실현 해 볼까 하고 있습니다 ㅎㅎ

 

요즘 보면 AI가 거진 일을 하고

인공지능이 못하는 일만 사람이 대신하고 있는 느낌입니다.

 

얼마후면 사람대신 사무로봇이 업무를 대신하고 있는 모습을 보실 수 있을것 같네요 ㅎㅎ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 9개

베스트 댓글

8개월 전 BEST

@아이스웨덴™ 지금 하던거 하면서

취미로 해볼 생각입니다 ㅎㅎ

 

개발자고 일만 하지 않고 취미 생활은 있어야죠 ㅠㅠ

원댓글 보기 →
8개월 전 BEST

@리자 요즘 AX 전환에서의 하나의 전략이긴 한데

하나의 AI로 추론하지 않고

간단하고 쉬운 부분은 sLLM으로 처리하고

종합적인 판단을 요구하는 부분은 LLM

해당 결과를 검증하는 LLM 등 다양한 모델이 한꺼번에 쓰이도록 합니다.^^

고걸 프로그램으로 연결해서 잘 동작 하도록 만드는 것이죠

원댓글 보기 →

로봇이 비싸보네요 ㅎ

 

가끔씩 엉뚱한 답을 하는 것은 어떻게 해결하실 생각이신가요? 

 

 

8개월 전

@리자 요즘 AX 전환에서의 하나의 전략이긴 한데

하나의 AI로 추론하지 않고

간단하고 쉬운 부분은 sLLM으로 처리하고

종합적인 판단을 요구하는 부분은 LLM

해당 결과를 검증하는 LLM 등 다양한 모델이 한꺼번에 쓰이도록 합니다.^^

고걸 프로그램으로 연결해서 잘 동작 하도록 만드는 것이죠

@똥싼너구리 인공지능 전환이라~ 잘 이해는 안되지만 새로운거 배워갑니다 ^^b

8개월 전

아마 일정시간이 흐르면 의미론적 지평의 분야는 모르겠으나 기호론적 지평의 분야에서는 Ai 가 인간을 압도할 거에요.

물론 Ai 가 실수를 하기도 하겠지만 인간보다는 실수할 확률이 훨씬 낮을 것입니다. 바둑 Ai 를 보면 금방 알 수 있죠.

 

의미론적 지평이란 바둑을 인간이 해설하면 이건 승부수입니다. 이건 기세로 끊을 수 밖에 없습니다. 라는 해설이 가능하지만.

Ai 에게는 이런 게 없죠. 오직 정수냐 악수냐는 두 가지의 기호론적 기준만 있을 뿐이니까요.

8개월 전

@비타주리 지금도 동일한 업무에서는 AI 가 훨씬 실수를 덜하긴 합니다 ^^

사람한테 시키면 매번 아차 실수 오류 이렇게 많이 해서 ㅠㅠ

8개월 전

사무실 멋 집니다. 로봇이 비서로 좋아 보입니다.

8개월 전

@하늘뚱 10년 안에 사무실에 단순 노동직은 사라지지 않을까요?

8개월 전

AI 사무보조 로봇을 실현하신다니~~ 그냥 놀랍기만하네요.

화이팅입니다!!

8개월 전

@아이스웨덴™ 지금 하던거 하면서

취미로 해볼 생각입니다 ㅎㅎ

 

개발자고 일만 하지 않고 취미 생활은 있어야죠 ㅠㅠ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1717629
1717626
1717625
1717621
1717619
1717611
1717610
1717609
1717607
1717601
1717598
1717591
1717590
1717583
1717575
1717572
1717568
1717566
1717549
1717545
1717533
1717512
1717511
1717508
1717495
1717479
1717473
1717470
1717463
1717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