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워드프레스"의 장점좀 알려주세요.

· 13년 전 · 4025 · 19
플러그인이 많고 보급이 많이 되었다?? 
이런 일반적인 답변을 원하는 것이 아닌거 아시죠?
 
물론 많이 쓰고 있다는 대중적인 장점은 절대 무시할 수가 없지만 뭔가 아주 특별한 장점이
있어서 그렇게 워드프레스에대한 환상을 못 버리는 것 아닌가 해서요.
 
참고로 국내외 CMS들 거의 설치하고 구조정도는 본 사람입니다.
 
제가 보지 못한 다른 부분을 볼 수도 있다는 생각에서 올려봅니다.
개인적으로 그닥 훌륭하다고 생각되어지지는 않아서요.
 
아 자꾸 추가글을 쓰게 되는군요.
 
제 개인적인 생각에서는 그냥 그누보드 + CMS(기능일부) + 카트정도가 딱 좋다고 보거든요.
적어도 국내에서는 말입니다.  워드프레스를 아는 것 과는 별개의 문제죠.  국제적으로 많이
보급되어져 있고 다양한 플러그인이 있는 워프는 알아둘 가치가 있지만 마치 워프가 무슨
프로그램의 궁극을 달리는 프로그램처럼 숭배할 필요는 없습니다.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 19개

13년 전
전 워드프레서 설치도 못해봤습니다.ㅠㅠ
우물안의 개구리 같네요..ㅠㅠ
회사 홈페이지 때문에 질문 받을 일이 있어서 설치하고 보고 지우고를 10여가지를 해 봤는데 그리 추천하고 싶지는 않아서요. 저는 프로그램들이 쉽게 녹여지는 기본 프레임을 좋아하거든요.^^
워드프레스를 조금 써본 초보로써 느낌을 말씀드리면,
- seo 짱입니다. wp로 블로그 시작한지 한달인데, 몇가지 검색어는 구글 첫페이지에 나오네요..^^;
그보다 조금 전에 시작한 그누보드 게시판?은 못찾습니다. -_-
- 원하는 형태와 기능을, 잠깐의 검색과 약간의 수정으로 만들었습니다.. (아 이 부분은 일반적인 대답에 해당하겠네요.. ^^; 하지만, 무시할 수 없는 장점이라..)
- 너무 복잡하지 않으면서도 유용한 훅 시스템이 테마나 플러그인 만드는데에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아직 해보지는 않았지만, 그누처럼 소스를 고치지 않고 원하는 기능을 대부분 할 수 있을것 같네요..)
- 음.. 가장 큰 장점인것 같은데, 나름의 에코시스템을 만드것 같아요. 사실 wp가 아주 훌륭한 프레임워크는 아니라고 봐요. 하지만 프로그램의 완성도와는 달리 얼마나 많은 사람이 사용하고 많은 개발자들이 참여하냐가, 이런 종류 프로그램에서는 핵심이잖습니까? ^^ wp 테마로 돈을 많이 벌기에, 그렇게 많은 wp유료 웹사이트들이 있을테고요..

다른 cms에 비해서 wp가 성공한 이유로 제가 생각하는 것은, 블로그에서 시작했기 때문일것 같아요..
커뮤니티 사이트 한개에 만명이 있다면, 그중 10%만 블로그를 해도 1:1000 차이가 날테니까요..
그렇게 매스를 키운 다음, cms 나 커뮤니티, 소셜 쪽으로 벌려나간게 (그게 전략이 아니었을지라도) 주효하지 않았나 합니다.

(아마 cshop님 댓글이 올라올것 같은 예감이..^^)
"cshop"님의 글은 기대하지 않아요.ㅎㅎㅎ
seo이 부분은 제가 생각해보지 않았던 부분이군요. 감사합니다.

다른 기능적인 분들과 심플함은 워프와 같은 각국의 프로그램들도 같은 장점을 취하고 있습니다. 물론 seo에 대한 부분은 제가 염두해두고 생각해본 일이 없어서 비교는 못 해봤구요.

프로그래머들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쓰고 있느냐보다는 왜?라는 질문을 자주하는 집단이라 질문이 그렇습니다. 많이 쓰고는 있는데 맹목적이어서는 안되는 부류들이죠. 하지만 많이 쓰고 있다면 그 내용에 대해서는 알고는 살아야하는 부류들이기도 하구요.

많이 쓰고 있다는 장점이나 그 기대치 때문에 하고 있는 언어가 php이고 저는 php를 비관적으로 보지 않는 사람입니다. php라고 확장이나 발전되지 말라는 법도 없고 시대가 바뀌면서 트랜드가 변하면 거기에 또 맞추어지는 것이 언어이기 때문이죠.

저는 불만스러운게 이런겁니다. 워드프레스가 많이 깔리고 좋은데 궂이 또 권장하고 그것을 설치하기를 고집하는 이유를 모르겠다는 거죠. 유저들은 패턴이나 동선이 굳어지면 그것을 바꾸기란게 아주 힘들거든요. 이왕이면 국산을 권장하고 워프는 그냥 알아만 두자는 쪽이죠.

회사 홈페이지때문에 어떤 회의가 있었는데 다들 워드프레스를 들고 와서 경을 읽더라구요. 언론의 힘이 컷다는 이유도 있겠지만 좀 맹목적이지 않나 싶기도 하고 씁쓸했어요.

저도 드문드문 워프는 좀 보고 있는데 그닥 이게 훌륭하다 않다에 논점을 둘 만큼 그런 프로그램으로는 아직 다가오지 않네요.
제가 전문 개발자가 아니기에, 주로 사용자 입장에서 의견을 남겼었습니다. ^^

음.. 제 생각은, 그누보드하고도 비슷한 포지셔닝이라고 생각하는데요,
보다 많은 사람들이 스킨이나 테마, 플러그인을 만들 수 있도록 그 진입장벽이 낮은것이 장점이랄까 싶어요.

다른 php 프레임워크에 다있는 이벤트 시스템도, 함수로 간단히 사용할 수 있게 훅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것도 그 차이라고 생각해요.
아마도 일부러 그랬다기보다는, 초기에 만들어진 좀 떨어지는 시스템에 이미 익숙해진 (개발)사용자들에게 큰 변화를 주지 않기 위해서가 아닐까 합니다.
(이부분도 그누보드랑 비슷한것 같아요.. ^^; 제로보드가 xe로 가면서 완전히 구조를 다시 짜면서, 많은 사용자가 떨어져나간 경우를 봐도 그렇고요..)

국산 vs 외산은, 전에 한번 토론이 있었는데, 글쎄요.. 저는 잘 모르겠네요..
역시 그냥 느낌인데, 우리나라는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잘 안되는 것 같아요..
경쟁력이랄까, 역동성이랄까, 그런부분이 좀 떨어지는 것 같고요.
물론 언어장벽으로 개발자 수를 비교하기도 그렇지만, 분위기도 좀 다른것 같고요..

물론, 시류나 유행에 맹목하는 그런 분위기는 정말 아니죠. ^^
한번 직접 써보고나서 그러는 거라면 몰라도.. ^^;
글을 쓴 개인적인 배경을 말씀드리자면 결국 워드프레스를 깔고 개발에 들어 가게 되서입니다.ㅠㅠ

워드프레서 한국 사용자 페이지도 있지만 아무래도 외국 사이트를 많이 참조해야 해서요.

영어 너무 싫어....ㅠㅠ
아이고 저런..
그냥 사용하는 저하고는 진짜 다른 고민이 있으시겠네요.. ^^;
이번 기회에 잘 배우셔서, 좋은 스펙 하나 쌓으시길 바라겠습니다. ^^
-..-;;

왜 저를 미워하시는지 이유를 알수 없네요.
혹시 제게 하신 말이시면 저는 "cshop"님을 싫어하거나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단지 과격한 글들이 많아서 글이 몇개 오가면 논란이 되어져 글 내용과는 상관없는 모습이 되기 쉽기에....
13년 전
"초보자"입장에서 2가지만 첨가하면요;

1. 워프의 다양한 스킨이나 플러그인들이, 복잡한 이미지파일이나 플래쉬동영상같은건 하나도 안쓰고
대부분, css와 jQuery로 되어있는데도, 초보자들이 보기에, 휘황찬란한 새로운 기술처럼 보입니다. 개발자들에게는 별거 아닌거처럼 보여도 저같은 초보자들이나 개발을 전혀 모르는 일반인들을 뻑 가게 만듭니다. (저는 사실 워프 스탈좋아하는 편은 아니지만, 참조할 필요는 있을거 같네요.) 아마 최신 스킬(css3, html5 이런거포함)이 가장빨리 적용되는 CMS가 아닌가 싶습니다, 그만큼 많은 개발자들이 이것에 연관되 있다는 의미같고..

2. SEO와 더불어 이거 아주 중요한 포인트 같은데요;
영어권애들 웹싸이트 개발자 구인광고 할때, 아마 가장 검색이 많이 되는 CMS가 "워드프레스"가 아닐까 하고 생각되는군요. 첨에, 일하는 분야를 바꿔볼까하며 이쪽 구인 광고들보다가, "워드프레스"가 모야? 워드 프로세스? 많이 그랬어요. 사실 개발자들에게는 워드프레스건 뭐건 상관없는데, 개발을 잘모르는 업주에게는, "워드프레스 경험자" 하면 뭔가 대단한 스킬로 생각되나봐요.

3. 한국에서, 에스엔에스가 처음 시작하고 발전되었는데, 페북같은걸로 한국에 역수입되었듯이 ....( 지금은, 그 모야, 싸이...어쩌구 하는거 아직도 쓰나요? ) 게시판같은게 한국에서 많이 쓰였지만, 워드프레스 같은 디자인이 지금은 한국사람에게 생소한거같지만, 조금있으면 한국사람들에게 많이 쓰이게 될지도 모르겠네요. 페북이 한국사람들에게 어필할줄은 전혀 몰랐는데, 아주단시간에 1-2년만에 (미국물먹은 젊은층/대학생/을 중심으로 확산되더니 ...그냥 저만의 해석입니다. 요즘은 워낙 젊은층이 영어연수다 뭐다 외국경험안해본 젊은층이 별로 없어서..) 아주 쫙 한국에 확산되는걸 보았습니다.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1717042
1717041
1717036
1717025
1717024
1717016
1717014
1717006
1717004
1716995
1716986
1716982
1716978
1716974
1716968
1716966
1716952
1716945
1716934
1716926
1716920
1716915
1716914
1716912
1716906
1716903
1716902
1716899
1716894
17168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