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표준 크로스 장차법 등등등
컴퓨터 켜고 인터넷 열고 사이트 접속하고 일련의 동작들이 표준아닌가요
도대체 표준의 정의는 누가 만들었답니까?
그냥 보기좋게 보이면 되지 않나요?
좀 위험한 발언이겠지만
전세계 무수히 많은 시각장애인들중 인터넷 홈페이지를 보는 이가 몇명일까요? (장애인 비하는 절대 네버 아닙니다.)
애 굳이 리더기까지 사용해서 음성으로 듣고 힘들게 정보를 찾을까요?
다산 콜 120 전화하는게 더 빠르지 않을까요
인간들 스스로가 자꾸 가두리에 가두는듯합니다.
가두리 양식장도 아니고
삶이 답답해집니다.
계속 멀 자꾸 창조해내야하고 집전화기와 편지 쓰던 시대로 돌아가고 싶습니다.
컴퓨터 켜고 인터넷 열고 사이트 접속하고 일련의 동작들이 표준아닌가요
도대체 표준의 정의는 누가 만들었답니까?
그냥 보기좋게 보이면 되지 않나요?
좀 위험한 발언이겠지만
전세계 무수히 많은 시각장애인들중 인터넷 홈페이지를 보는 이가 몇명일까요? (장애인 비하는 절대 네버 아닙니다.)
애 굳이 리더기까지 사용해서 음성으로 듣고 힘들게 정보를 찾을까요?
다산 콜 120 전화하는게 더 빠르지 않을까요
인간들 스스로가 자꾸 가두리에 가두는듯합니다.
가두리 양식장도 아니고
삶이 답답해집니다.
계속 멀 자꾸 창조해내야하고 집전화기와 편지 쓰던 시대로 돌아가고 싶습니다.
댓글 2개
위에도 덧글을 달았지만, 웹 표준이 꼭 장애인 분들을 위한 코드는 아닙니다.
팀 프로젝트를 하다 보면 아시다 시피, 개인의 스타일대로 코드를 멋대로 작성 하면 협업 자체가 불가능해 집니다. 또한 내가 손대는걸 그만 두고 뒤에 후임으로 들어오는 분이 내가 멋대로 짠 소스 코드를 보고 해석할지에 대한 여부는 알 수 없구요.
그렇기 때문에 공통의 규칙을 가지고 코딩을 하는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리고 이런식으로 규격화 된 코딩으로 맞춰 진다면 이에 대한 또다른 기능을 개발 하는것도 (웹에선 스크린 리더기 같은) 가능해 지지요.
즉, 공통적인 규칙을 가지고 제작되어진 웹 사이트들에 대해 부가 기능을 제공하기가 용이해 진다는 것입니다.
표준이란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모든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뜻이니까요. 보기에만 좋으면 된다는 말씀은, 한정된 사용자들만을 위한 (EX. 인트라넷) 사이트일 경우 상관이 없겠지만 좀 더 넓게 보면 그닥 동의하기 어려운 말인것 같습니다.
ㅎㅎ 두서없이 적어서 정리가 안되는 것 같네요. 여하튼 결론은 웹 표준이란건 그동안 만드는 사람 마음대로 코드를 짜던걸 정규화된 규칙으로 작성 할 수 있도록 기준을 정해 주는 것이라 생각 합니다.
팀 프로젝트를 하다 보면 아시다 시피, 개인의 스타일대로 코드를 멋대로 작성 하면 협업 자체가 불가능해 집니다. 또한 내가 손대는걸 그만 두고 뒤에 후임으로 들어오는 분이 내가 멋대로 짠 소스 코드를 보고 해석할지에 대한 여부는 알 수 없구요.
그렇기 때문에 공통의 규칙을 가지고 코딩을 하는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리고 이런식으로 규격화 된 코딩으로 맞춰 진다면 이에 대한 또다른 기능을 개발 하는것도 (웹에선 스크린 리더기 같은) 가능해 지지요.
즉, 공통적인 규칙을 가지고 제작되어진 웹 사이트들에 대해 부가 기능을 제공하기가 용이해 진다는 것입니다.
표준이란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모든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뜻이니까요. 보기에만 좋으면 된다는 말씀은, 한정된 사용자들만을 위한 (EX. 인트라넷) 사이트일 경우 상관이 없겠지만 좀 더 넓게 보면 그닥 동의하기 어려운 말인것 같습니다.
ㅎㅎ 두서없이 적어서 정리가 안되는 것 같네요. 여하튼 결론은 웹 표준이란건 그동안 만드는 사람 마음대로 코드를 짜던걸 정규화된 규칙으로 작성 할 수 있도록 기준을 정해 주는 것이라 생각 합니다.
표준은 말 그대로 표준입니다..
말씀하신 집 전화기에도 표준기술이 있고 편지에도 규격봉투가 있습니다. 실상에서 굉장히 많고 세세한것에 각기 표준이 있습니다. 이 표준이 만들어진 계기는 뻔합니다... 정해진 규칙이 없기 때문에 편한것들이 오히려 불편해진 것이 많기 때문이죠.
또한 표준에서 더 나아가 장애인 부분을 언급하셨는데, 표준이 지켜진다면 굳이 웹접근성이 되어있지 않더라도 대부분의 정보를 정상적으로 이용 할 수 있습니다. 굳이 리더기까지 라고 말씀하시면 굳이 안경을 쓰시는 분, 굳이 틀니를 착용하시는 분까지도 언급 할 수 있겠습니다.. 그 들이 주어진 환경에서 이용할 수 있는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뿐 남들과 다르다고 하여 대다수를 위해 배제한다는 것은 잘 못된 것입니다. 많은 분들이 시력이 저하가 되어 안경이 대중화가 되었을 뿐 그 분들 또한 시각장애인이 리더기를 사용하는 것과 다름없는 이치입니다..
말씀하신 내용들은 단지 처음 접하신 정보가 자신과 다르다하여 불편하다 생각하고, 자기계발에 투자를 안하시는 것 같습니다. 생활에 수많은 표준에 내가 이렇게 편하게 사는 구나.. 라고 생각하시면 좀 더 이해하기 쉬우실지도 모르겠습니다..
말씀하신 집 전화기에도 표준기술이 있고 편지에도 규격봉투가 있습니다. 실상에서 굉장히 많고 세세한것에 각기 표준이 있습니다. 이 표준이 만들어진 계기는 뻔합니다... 정해진 규칙이 없기 때문에 편한것들이 오히려 불편해진 것이 많기 때문이죠.
또한 표준에서 더 나아가 장애인 부분을 언급하셨는데, 표준이 지켜진다면 굳이 웹접근성이 되어있지 않더라도 대부분의 정보를 정상적으로 이용 할 수 있습니다. 굳이 리더기까지 라고 말씀하시면 굳이 안경을 쓰시는 분, 굳이 틀니를 착용하시는 분까지도 언급 할 수 있겠습니다.. 그 들이 주어진 환경에서 이용할 수 있는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뿐 남들과 다르다고 하여 대다수를 위해 배제한다는 것은 잘 못된 것입니다. 많은 분들이 시력이 저하가 되어 안경이 대중화가 되었을 뿐 그 분들 또한 시각장애인이 리더기를 사용하는 것과 다름없는 이치입니다..
말씀하신 내용들은 단지 처음 접하신 정보가 자신과 다르다하여 불편하다 생각하고, 자기계발에 투자를 안하시는 것 같습니다. 생활에 수많은 표준에 내가 이렇게 편하게 사는 구나.. 라고 생각하시면 좀 더 이해하기 쉬우실지도 모르겠습니다..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1717629 | |
| 1717626 | |
| 1717625 | |
| 1717621 | |
| 1717619 | |
| 1717611 | |
| 1717610 | |
| 1717609 | |
| 1717607 | |
| 1717601 | |
| 1717598 | |
| 1717591 | |
| 1717590 | |
| 1717583 | |
| 1717575 | |
| 1717572 | |
| 1717568 | |
| 1717566 | |
| 1717549 | |
| 1717545 | |
| 1717533 | |
| 1717512 | |
| 1717511 | |
| 1717508 | |
| 1717495 | |
| 1717479 | |
| 1717473 | |
| 1717470 | |
| 1717463 | |
| 1717452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