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RE: 모바일vs반응형, 반응형vs모바일

· 12년 전 · 2823 · 27
극적인 동수투표로, 올 초에 관심을 끌었던 지운아빠님의 반응형 웹 관련 설문을,
2013년 반이 지나가는 시점에서 다시 한번 해볼까 합니다.




반응형 웹 적용/비적용 이유와 사용된 기술 등, 보다 자세한 설문에 응하실 의향이 있으시면.. :)


* 다른 웹 관련 커뮤니티에 퍼뜨려 주시면 더 감사하죠.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 27개

12년 전
당근 최적화는 모바일 전용 웹 사이트
네 당근입니다. ^_^
근데, 테블릿은 어떻게 할까요? ^^;
뭘 어떻게 하죠? 모바일 전용 페이지 는 320/480 에만 맞추는 것 이 아닙니다. -..-;;;;;

더구나 대다수의 non-responsive 페이지들을 살펴보면 테블렛에 대응을 전혀해주지 않아도/ 조금만 해줘도 "tablet ready/friendly" 가 됩니다.

(조금만 해줘도 = css 2~3 줄만 바꿔줘도)
12년 전
재밌네요. :)
신실장님의 짧은 댓글에, 저도 짧게 답한 것 뿐이예요. ^^;
(근데 중간의 '테블렛에 대응'과 'tablet ready/friendly' 는 차이가 뭔가요?)

잘 아시겠지만, 신실장님의 의견이, 반응형 웹을 '반대'하는 대표적인 이유이고,
'최적화'라는 부분은, 특정 기기(군)에 고정된 웹사이트를 의미하므로
그 기기(군)을 벗어나는 경우, cshop님 말씀대로 '조금만(이라도) 해줘'야 되고,
그런 것이 '반응형'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전의 jquery mobile의 경우, 테블릿에서 보면 항목들이 길게 늘어져서 보기가 민망하던 시절도 있습니다.
반응형 웹이 언급되기 시작한 이후로, 테블릿 (크기) 화면에서는 좌측 사이드바가 나오는 등, '대응'되고 있고요..

또한 네이버 모바일의 경우, (css 2~3줄인지는 모르겠지만)
테블렛에서는 두컬럼, 스마트폰에서는 한컬럼으로 바꾸고, 그것을 반응형이라고 합니다.

물론 그런것을 가지고 대단한 것인양 '반응형' 이라고 하느냐 라고 하실지 모르지만,
반응형 이미지라고 말하는 fluid image (http://unstoppablerobotninja.com/entry/fluid-images/) 의 경우 단지 max-image:100% 밖에 없지만
특정 기기(군)에서 벗어난 경우에도 대응되는 접근을 통털어 '반응형'이라고 묶지 않나 싶네요.

뭐 이것도 제 개인적인 생각이고요..
그냥 한국말로 "반응형" 이라고 하면 그게 client-side responsive 인지, server-side UA identification + selective loading + use of mediaquery 인지 알수가 없죠. 전부다 "반응형" 이거든요.

별도의 모바일용 페이지가 존재한다고 그건 "반응형" 에 포함이 안됩니까?

반응형 vs 모바일웹, 이렇게 나뉠수도 없는걸 갖고 둘중에 하나를 선택하자?

사과 vs 빨간 사과, 이런식으로 지금 categorize 된건데요...

그리고 스마트폰을 비롯한 여러가지 다양한 resolution 에서 페이지가 깨지지 않고 보이는 것, css 기법의 일부일 뿐인데, 이게 뭐 그렇게 엄청난 주제인지도 전혀 모르겠네요. ㅎㅎㅎ
12년 전
제가 조금 의아해서 그런데요. 예전에 이런 댓글을 남기신 적이 있으신데...

http://sir.co.kr/bbs/board.php?bo_table=cm_free&wr_id=934582#c_934606

그 사이 반응형 웹에 대한 관점에 변화라도 있으셨던 건지 궁금하네요.
저 댓글에서는 클라이언트 사이드고 서버사이드고 상관없이 일단 미디어쿼리=반응형 웹으로 단정짓고 계신 것 같은데 :)
글쎄요.. 제 개인적인 경험이겠지만, 외국에서도 responsive web에 대해서 그 경계선을 명확하게 정의하려고 하는 움직임은 그다지 안보입니다.
단지 말씀대로, RESS로 접근하거나, mobile first + 큰 스크린에서 selective loading 등으로 처리하는 경우에, 뭉뚱그려서 반응형이라고 하기보다는, 특정한 단어들을 쓰는것 같습니다.

한국의 경우, 몇몇분과의 짧은 대화였지만, 반응형 웹에 대한 인식이나 관심이 부족한 것 같기에, 굳이 RESS vs client-side responsive 처럼 나눠서 접근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반응형 vs 모바일웹은, 말씀대로 전혀 다른 카테고리이죠.
하지만 현실에서 가장 부딛히는 결정사항이,
'별도의 모바일 사이트를 만드느냐', 또는 '반응형으로 통합하느냐' 이기에 설문조사의 의미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반응형 웹이 엄청난 주제이냐..
사실 Ethan Marcotte 이 처음 반응형 웹을 '주장'하기 시작했을때부터,
그 조차도 기존에 있던 유동형 이미지/레이아웃 등의 개념/기법 등을 모았다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저는 '새로운 기기 환경에 맞게 웹을 준비하자'는 개념( http://futurefriend.ly/ )에 충실하기 위한 한가지 구현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12년 전
저는 모바일은 모바일에 최적화라고 햇고요.
테블릿은 요즘 해상도가 높은만치 반응형 웹으로 처리 부분이지 다른 뜻은 없습니다만...
본론과 다른생각은 모바일이던 테블릿이던 PC던 프로그램에 규약이 없어졌으면 좋겠다능 생각을 해봅니다.
PC는 되는데 모바일은 안돼 라든지요..
단, 엑티브X는 절대 반대하지 말입니다.
반응형웹과 모바일의 관계에서 저는 모바일의 세로보기와 가로보기의 반응형웹의 독자적인 것을 말하고 싶습니다.그런데..
테블릿과 모바일 그리고 PC의 공통적인 반응형웹 제작은 반대한다는 것이므니다.
모조키님이 말씀하신데로, client-side 반응형 웹 기법 만으로 모자라는 부분이 있고, 모바일웹전용의 별도 구축도 모바일에서 최적화 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개발비용이 많이 들어가는데다가 SEO 측면에서도 좋지 않습니다. (기존에 데스트탑에 최적화 되어 있는 웹사이트라면 그냥 별도 모바일 페이지를 만드는게 나쁘지 않죠.)

그래서 현재 새로 시작되는 프로젝들을 보면 두가지 방식의 단점을 모두 없앤 RESS 로 가는 경향이 상당히 많습니다. Hybrid App 도 상당히 많이 쓰이고...

하지만 항상 자기 수준에 맞춰야 하는거겠죠.

가장 간단한/손쉬운 방식이 모바일웹 전용 아니면 client-side 반응형 웹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개인 홈피라던지, 의뢰자가 50만원 밖에 없다고 했다던지.. ㅋㅋㅋ) 둘다 나쁘지 않은 선택입니다.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1717635
1717629
1717626
1717625
1717621
1717619
1717611
1717610
1717609
1717607
1717601
1717598
1717591
1717590
1717583
1717575
1717572
1717568
1717566
1717549
1717545
1717533
1717512
1717511
1717508
1717495
1717479
1717473
1717470
1717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