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이걸 자연이라고 해야하는지 모르겠네요. 허블레거시필드(심우주 광대영역)

· 6년 전 · 2312 · 12
Copy of 과학 허블레거시필드 STSCI-H-p1917a-q-6375x6375.jpg
과학 허블레거시필드 STSCI-H-p1917a-q-6375x6375.jpg
허블레거시 필드
원래는 한 오십메가정도 되는 이미지인데 심하게 줄였습니다.
보기좋으라고 가장자리 데이타 없는 곳도 채워넣었고요.

이걸 보다보면 .... 눈물이 날라구 해요.

// 추가 // 같은 사진이 둘인데요. 아랫것이 용량이 큰것입니다. 더 선명해요.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 12개

https://www.sciencetimes.co.kr/?news=은하-26만5000개-담은-가장-큰-우주-이미지-공개

‘허블 레거시 필드(Hubble Legacy Field·HLF)’로 이름이 붙은
이 사진에는 아무것도 없는 듯 보이는
검은 하늘을 촬영해 우주 깊은 곳에 숨어있는
수천~수만개의 은하를 찾아낸

‘허블 딥필드(1995년)’와
‘허블 울트라 딥필드(2002년),
‘익스트림 딥 필드(XDF·2012년)’ 등

3차례의 ‘딥 필드’ 관측 결과도 포함됐다.

은하 중에는
빅뱅 5억년 뒤인 133억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도 있으며,
가장 희미하고 멀리 있는 은하는 인간이 볼 수 있는 밝기의
100억분의 1에 불과했다.

서로 다른 팀이 운영하던 31개 허블 프로그램이 모은
이미지를 짜깁기하는데 250일 이상이 걸렸다고 한다.

일링워스 교수는 “이 한장의 이미지가
은하가 ‘유아’에서 ‘성인’에 이르기까지의 전 역사를 담고있다”면서
차세대 망원경이 발사되기 전까지는
HLF를 능가하는 이미지는 없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미지 자료 처리를 맡은 댄 매기 연구원은
“우리 목표는 16년간 찍은 이미지를 ‘유산’으로 남기는 것”이라면서
“이전에는 이미지 자료처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분석에 앞서 상당량의 자료를 제외하느라 시간을 보냈지만
앞으로는 레거시 필드에 있는 자료는
즉각 연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 16년 찍었다고 합니다. ㅎㅎ

HLF에 포함된 권역은 광활하지만
전체 우주로 놓고봤을 때는 30각분(‘)으로,
지구에서 봤을 때 보름달 크기에 해당할 정도로 작다.

연구팀은 약 5천200장의 노출 이미지를 토대로
제2의 HLF를 만들고 있으며,
앞으로는 허블망원경 자료뿐만 아니라
스피처 우주망원경과 찬드라 X-레이 망원경 자료로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

한번 보기는 했는데요.
겸사겸사 또 읽었습니다. ^^


여기 왜 이렇죠?

//////////////////////////////

그런데 제 눈에는 붉은색으로 보일 것 같은 ?

5억짜리 신생 은하가 잘 안 보입니다. ㅎ
이것인가? 싶은 애들만 잔뜩 있습니다.

///////////////////////////

이 댓글 제가 작성했습니까?
워미. ㅡㅡ.

싱싱한 놈일 수록 청색인데요. 어떻게 이런?

복사 붙이기 하다가 딴 생각했습니다. ㅠㅠ
아시면서 왜 가만 있으셨습니까? ㅎㅎ

/////////////////////////

선생님 서버 관련 일 하시는 것은 이미 말씀 주셔서 저는 알거든요. ~~
133억년 깊은 우주 은하 26만5천개 담은
가장 큰 우주 이미지 허블 레거시 필드((Hubble Legacy Field·HLF))

16년간 허블 우주 망원경이 수집한
약 7500개 허블 이미지를 합친 영상

Hubble Legacy Field Zoom-Out - NASA Video
https://www.youtube.com/watch?v=99uWHUQ-dC0

영상 하나 집어왔습니다. ㅎ
또 아가들 모시러 갈 준비를 해야 하네요? ^^

표현을 잘못 했음. ㅜㅜ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16201
16199
16196
16195
16194
16193
16192
16191
16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