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메다은하(M31)를 찾아라/정답공개
윈도우10 배경 화면입니다.
윈도우가 자동으로 잠금 화면을 이것으로 바꿔 줬는데 마음에 듭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직녀성과 견우성이 눈에 확 띕니다.
... 저작권 위배 소지가 있어 이미지를 삭제했습니다.
댓글 19개
8년 전
별도 많네요.
8년 전
@소시 별이 우리 은하에만 4천억개, 안드로메다 은하에는 1조개가 있다고 합니다.
8년 전
아름다운 밤이네요
8년 전
@빤짝빤짝
별이 빛나는 창공을 보고 갈 수가 있고,
또 가야만 하는 길의 지도를 읽을 수 있던 시대는 얼마나 행복했던가.
그리고 별 빛이 그 길을 훤히 밝혀주던 시대는 얼마나 행복했던가.
이러한 시대는 새로우면서도 친숙하며,
또 모험으로 가득 차 있으면서도 자기의 소유로 되는 것이다.
그리고 세계는 무한히 광대하지만 마치 자기 집에 있는 것처럼 아늑한데,
왜냐하면 영혼속에서 타오르고 있는 불꽃은 별들이 발하고 있는 빛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이다.
- 죄르지 루카치 '소설의 이론' 서문중에서 -
별이 빛나는 창공을 보고 갈 수가 있고,
또 가야만 하는 길의 지도를 읽을 수 있던 시대는 얼마나 행복했던가.
그리고 별 빛이 그 길을 훤히 밝혀주던 시대는 얼마나 행복했던가.
이러한 시대는 새로우면서도 친숙하며,
또 모험으로 가득 차 있으면서도 자기의 소유로 되는 것이다.
그리고 세계는 무한히 광대하지만 마치 자기 집에 있는 것처럼 아늑한데,
왜냐하면 영혼속에서 타오르고 있는 불꽃은 별들이 발하고 있는 빛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이다.
- 죄르지 루카치 '소설의 이론' 서문중에서 -
8년 전
저는 눈은 이미 안드로메다로...
8년 전
@메탈포스 맑은 날이면 서울 근교에서도 맨눈으로 볼 수 있는 은하이니 만큼 잘 찾아보기 바랍니다.
이 쪽으로 맹렬히 다가 오는 듯한 게 있습니다.
30~40억년 후 쯤에 우리 은하와 충돌하고나서 합쳐진다고 합니다.
[http://sir.kr/data/editor/1703/9265d5bc6c110552569da129fc3ca278_1490231878_1955.gif]
이 쪽으로 맹렬히 다가 오는 듯한 게 있습니다.
30~40억년 후 쯤에 우리 은하와 충돌하고나서 합쳐진다고 합니다.
[http://sir.kr/data/editor/1703/9265d5bc6c110552569da129fc3ca278_1490231878_1955.gif]
8년 전
@상석하대 아 무섭네요. 후손님들은 합쳐지기 전에 안전히 이주 하기를. 더불어 고향별 지구도 구했으면
8년 전
@소시 애석하게도 지구는 못 구합니다.
두 은하가 충돌하여 밀키드로메다가 되기 훨씬 전에 지구는 사달이 납니다.
17억년 후 태양이 부풀기 시작하는데 곧 지구는 바닷물이 끓어 증발하고 대기가 날아 갑니다.
그 때부터 지구는 생명체가 살 수 없는 환경이 됩니다.
인간들은 그 전에 어디론가 달아나야 합니다.
태양계에서 물과 천연자원이 풍부한 카이퍼 밸트대의 왜소행성이 적합할 것입니다.
이후 태양이 약 20억년간 지속적으로 커지는 과정에서 지구를 삼켜버립니다.
두 은하가 충돌하여 밀키드로메다가 되기 훨씬 전에 지구는 사달이 납니다.
17억년 후 태양이 부풀기 시작하는데 곧 지구는 바닷물이 끓어 증발하고 대기가 날아 갑니다.
그 때부터 지구는 생명체가 살 수 없는 환경이 됩니다.
인간들은 그 전에 어디론가 달아나야 합니다.
태양계에서 물과 천연자원이 풍부한 카이퍼 밸트대의 왜소행성이 적합할 것입니다.
이후 태양이 약 20억년간 지속적으로 커지는 과정에서 지구를 삼켜버립니다.
8년 전
혹시 파노라마형은 없나요?
8년 전
@빌드맨 파노라마형?!
무슨 뜻인지 모르겠습니다.
무슨 뜻인지 모르겠습니다.
8년 전
이거 실사인가여?
8년 전
@톰소여z 네, 윈도우 배경화면으로 실제 사진입니다.
8년 전
(정답은 아래 이미지에 있습니다)
위 사진은 봄철, 새벽, 북반구에서 북동쪽을 향해 찍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맑은 날 밤이나 새벽 어디서 카시오페아가 보이면 안드로메다 자리 사이에서 안드로메다 은하를 한 번 찾아 보기 바랍니다.
기괴하게 느껴지는 때도 있습니다.
250만 광년 떨어져 있으므로 인간이 오스트랄로피테쿠스일 때 빛을 이제서야 보는 것입니다.
직녀와 견우가 만나는 오작교를 옛 사람들이 어떻게 상상했는지 그려집니까?
궁수자리 인근에 우리 은하의 중심이 있는데 여기서 약 3만광년 거리입니다.
거기에는 질량이 태양의 400만배 가량하는 블랙홀이 있다고 합니다.
(궁수자리 A*)
우리 은하의 지름은 10만 광년입니다.
... 저작권 위배 소지가 있어 이미지를 삭제했습니다.
위 사진은 봄철, 새벽, 북반구에서 북동쪽을 향해 찍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맑은 날 밤이나 새벽 어디서 카시오페아가 보이면 안드로메다 자리 사이에서 안드로메다 은하를 한 번 찾아 보기 바랍니다.
기괴하게 느껴지는 때도 있습니다.
250만 광년 떨어져 있으므로 인간이 오스트랄로피테쿠스일 때 빛을 이제서야 보는 것입니다.
직녀와 견우가 만나는 오작교를 옛 사람들이 어떻게 상상했는지 그려집니까?
궁수자리 인근에 우리 은하의 중심이 있는데 여기서 약 3만광년 거리입니다.
거기에는 질량이 태양의 400만배 가량하는 블랙홀이 있다고 합니다.
(궁수자리 A*)
우리 은하의 지름은 10만 광년입니다.
... 저작권 위배 소지가 있어 이미지를 삭제했습니다.
8년 전
이쁨요.ㅋ
8년 전
이쁘다~
8년 전
아름답습니다~
jude1234
8년 전
오 멋지네요
월미도브루스
8년 전
멋지넴용 ㅎ
8년 전
아...이쁘다..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6161 | |
| 6160 | |
| 6151 | |
| 6150 | |
| 6149 | |
| 6144 | |
| 6138 | |
| 6137 | |
| 6125 | |
| 6107 | |
| 6105 | |
| 6099 | |
| 6098 | |
| 6093 | |
| 6078 | |
| 6061 | |
| 6060 | |
| 6059 | |
| 6055 | |
| 6048 | |
| 6036 | |
| 6014 | |
| 6005 | |
| 6002 | |
| 5988 | |
| 5986 | |
| 5955 | |
| 5937 | |
| 5932 | |
| 5923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