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학으로 웹디자인을 배우다가 첨 웹디 교수한테 수업을 듣고 있는데요
근데 오늘 실무에서 포토샵 - 슬라이스툴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고 해서
너무 충격을 받았어요 ;;;;;
테이블에 사진을 하나하나 얹는 건 알겠는데
슬라이스툴로 잘라서 이미지만 저장해서 얹히면 정말 간단한데
하나하나 크롭툴로 잘라서 넣더라구요..
슬라이스 툴을 가르쳐주려고 고생 먼저 해보라고 그러시는 줄 알았는데
슬라이스툴은 깔끔하게 잘리지가 않고 실무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고...
몸값? 올리려면 이렇게 해야된다고 하던데.....
슬라이스툴을 너무 자연스럽게 잘 사용해왔던 저로서는 정말 충격이었어요 ㅜ
쓸데없는 이미지들을 만들더라도 깔끔하게 잘라서 저장하면 정말 쉬운데
이해가 안되서 정말 실무에서는 그런거에요??
댓글 15개
테이블 레이아웃, slicing, .. 훔..... slicing tool 사용을 한다는 것도 충격이고, 테이블 레이아웃을 학교에서 가르친다는 것도 충격이고...
구글 번역기 사용하실 줄 아시면 번역기 돌려서 읽어보세요...ㅠㅠㅠㅠ
http://psd.tutsplus.com/tutorials/tools-tips/slices-in-photoshop/
웹디자인을 한국어로 공부하셔야 하면 여기 가보세요.
http://naradesign.net/wp/
정찬명씨 요즘 뭐하나 궁금해서 찾아가 봤는데 (얼마전 NHN 퇴사하셨다길레) 한국어 사이트 중에 가장 웹디자인에 대해 정확하게 배우실 수 있는 곳 일겁니다.
구글 번역기 사용하실 줄 아시면 번역기 돌려서 읽어보세요...ㅠㅠㅠㅠ
http://psd.tutsplus.com/tutorials/tools-tips/slices-in-photoshop/
웹디자인을 한국어로 공부하셔야 하면 여기 가보세요.
http://naradesign.net/wp/
정찬명씨 요즘 뭐하나 궁금해서 찾아가 봤는데 (얼마전 NHN 퇴사하셨다길레) 한국어 사이트 중에 가장 웹디자인에 대해 정확하게 배우실 수 있는 곳 일겁니다.
웹표준이 나왔을때도 예전에 표로 전체 레이아웃 잡던 때가 있었습니다. 편해서 나뭐진(웹표준) 무시하는거죠.
완전 무시하는게 아니라 웹표준에 표형식 레이아웃을 좀 섞어쓰기도했죠.
좋은 점은 포토샵에서 슬라이스 툴 사용하여 웹형식으로 출력시
전체틀을 안깨고 전체 레이아웃을 표형식으로 잡고 이미지를 잡아주는 코딩방식으로 처리됩니다.
문제는 웹표준에 있어서 준수되는 표준코딩 방식에는 맞지않은점이 노출됐죠.
그래서 표를 전체레이아웃으로 잡지않고 웹표준을 준수하여 작업을 하게 되고,
슬라이스 툴을 쓰더라도 표형식의 레이아웃울 잡지않고 필요한 이미지만 선별 추출하여 사용하기도하죠.
이미지는 이미지로 남고 슬라이스로 처리하여 표로 형식의 웹문서로 구현않되도록하고 필요한 이미지만추출하여 웹표준에 맞게 이미지를 웹문서에 웹표준 방식으로 코딩합니다. 이방식이 이제는 일반화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이미지만을 추출하는 목적으로 슬라이포토샵의 슬라이스 작업은 해도됩니다.
완전 무시하는게 아니라 웹표준에 표형식 레이아웃을 좀 섞어쓰기도했죠.
좋은 점은 포토샵에서 슬라이스 툴 사용하여 웹형식으로 출력시
전체틀을 안깨고 전체 레이아웃을 표형식으로 잡고 이미지를 잡아주는 코딩방식으로 처리됩니다.
문제는 웹표준에 있어서 준수되는 표준코딩 방식에는 맞지않은점이 노출됐죠.
그래서 표를 전체레이아웃으로 잡지않고 웹표준을 준수하여 작업을 하게 되고,
슬라이스 툴을 쓰더라도 표형식의 레이아웃울 잡지않고 필요한 이미지만 선별 추출하여 사용하기도하죠.
이미지는 이미지로 남고 슬라이스로 처리하여 표로 형식의 웹문서로 구현않되도록하고 필요한 이미지만추출하여 웹표준에 맞게 이미지를 웹문서에 웹표준 방식으로 코딩합니다. 이방식이 이제는 일반화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이미지만을 추출하는 목적으로 슬라이포토샵의 슬라이스 작업은 해도됩니다.
해피코딩님이 말씀하신것이 정답같네요.
아마 교수님께서 슬라이스로 html, image 를 같이 추출하여 만든 테이블로 된 html 문서식으로 작업 안한다는 말씀이신거 같네요.
저뿐만 아니라 저랑 같이 있는 2~10년 차의 선배분들도 다 그렇게 이미지를 추출하여 작업하십니다.
다만 자를때 slice로 나눠져 있는 부분을 오른쪽 클릭하여 edit slice option 메뉴를 통해 필요한 이미지들에 대해서만 파일명을 넣어주고, 불필요한 html 파일은 없애고 image only 로 하여 저장을 해서 작업을 합니다.
크롭툴로 일일히 자르는거랑 slice로 자르는거랑 차이 없습니다.
크롭툴로 수많은 이미지들을 어떻게 자르시려고 그렇게 가르쳐 주시는걸까요 ㅎㅎ
말씀하신거와 반대로 실무에선 크롭툴을 많이 쓰지 않습니다.
쓸데없는 이미지야 작업 후에 지워버리면 그만이구요 ㅎㅎ
아마 교수님께서 슬라이스로 html, image 를 같이 추출하여 만든 테이블로 된 html 문서식으로 작업 안한다는 말씀이신거 같네요.
저뿐만 아니라 저랑 같이 있는 2~10년 차의 선배분들도 다 그렇게 이미지를 추출하여 작업하십니다.
다만 자를때 slice로 나눠져 있는 부분을 오른쪽 클릭하여 edit slice option 메뉴를 통해 필요한 이미지들에 대해서만 파일명을 넣어주고, 불필요한 html 파일은 없애고 image only 로 하여 저장을 해서 작업을 합니다.
크롭툴로 일일히 자르는거랑 slice로 자르는거랑 차이 없습니다.
크롭툴로 수많은 이미지들을 어떻게 자르시려고 그렇게 가르쳐 주시는걸까요 ㅎㅎ
말씀하신거와 반대로 실무에선 크롭툴을 많이 쓰지 않습니다.
쓸데없는 이미지야 작업 후에 지워버리면 그만이구요 ㅎㅎ
흠...슬라이스툴로 링크넣어서 홈피를 맹근다는 말인가요?
흠 전 슬라이스툴을 안사용한다기보다는 다른 방식의 용도로는 씁니다.
솔직히 이미지를 잘라내서 저장할때 크롭툴로 잘라서 저장하면 다른 영역들이 지워집니다ㅡ.ㅡ;;
그러니깐 슬라이스툴로 링크넣어서 홈피를 맹그는방식보다 크롭툴로 잘라서 맹그는방식보다 슬라이스툴로 잘라서 이미지만 저장해서 사용하면되요~
솔직히 슬라이스툴로 잘라서 저장하는게 나중에 쓰기도 편하고 원하는 부분만 선택해서 다중으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으니깐요. 활용의 차이죠ㅎ;
그리고 저같은겻우는 이미지를 잘라서 사용하는것보다는 특별한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미지한개에 특정ui들을 저장해서 필요한부분만 css의 background-position으로 잘라서 씁니다.
네이버로 예시) http://img.naver.net/static/www/sp_main20130401.png
그러니깐 선생님이 알려주는 방식도 그렇게 효율적이지는 않다는거죠ㅇㅅㅇ
또한 그라디언트나 그림자 라운드처리 등등도 굳이 이미지를 안쓰도록합니다.속도 저하의 주범이 될수있음
그라디언트나 그림자 라운드처리 같은경우 구글에 'ie css3' 검색해보시면 ie9 이전버전에 css3를 호환할수있는 정보 습득이 가능합니다.
고로 이미지를 최소화로 쓰고 거의 대부분 css로 디자인해요ㅎ;
흠 전 슬라이스툴을 안사용한다기보다는 다른 방식의 용도로는 씁니다.
솔직히 이미지를 잘라내서 저장할때 크롭툴로 잘라서 저장하면 다른 영역들이 지워집니다ㅡ.ㅡ;;
그러니깐 슬라이스툴로 링크넣어서 홈피를 맹그는방식보다 크롭툴로 잘라서 맹그는방식보다 슬라이스툴로 잘라서 이미지만 저장해서 사용하면되요~
솔직히 슬라이스툴로 잘라서 저장하는게 나중에 쓰기도 편하고 원하는 부분만 선택해서 다중으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으니깐요. 활용의 차이죠ㅎ;
그리고 저같은겻우는 이미지를 잘라서 사용하는것보다는 특별한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미지한개에 특정ui들을 저장해서 필요한부분만 css의 background-position으로 잘라서 씁니다.
네이버로 예시) http://img.naver.net/static/www/sp_main20130401.png
그러니깐 선생님이 알려주는 방식도 그렇게 효율적이지는 않다는거죠ㅇㅅㅇ
또한 그라디언트나 그림자 라운드처리 등등도 굳이 이미지를 안쓰도록합니다.속도 저하의 주범이 될수있음
그라디언트나 그림자 라운드처리 같은경우 구글에 'ie css3' 검색해보시면 ie9 이전버전에 css3를 호환할수있는 정보 습득이 가능합니다.
고로 이미지를 최소화로 쓰고 거의 대부분 css로 디자인해요ㅎ;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11428 | |
| 11427 | |
| 11421 | |
| 11420 | |
| 11417 | |
| 11416 | |
| 11407 | |
| 11406 | |
| 11381 | |
| 11379 | |
| 11378 | |
| 11377 | |
| 11375 | |
| 11372 | |
| 11371 | |
| 11370 | |
| 11369 | |
| 11368 | |
| 11367 | |
| 11366 | |
| 11365 | |
| 11363 | |
| 11360 | |
| 11359 | |
| 11358 | |
| 11354 | |
| 11350 | |
| 11346 | |
| 11345 | |
| 11344 | |
| 11343 | |
| 11342 | |
| 11341 | |
| 11340 | |
| 11335 | |
| 11329 | |
| 11327 | |
| 11323 | |
| 11322 | |
| 11321 | |
| 11320 | |
| 11317 | |
| 11316 | |
| 6095 | |
| 6094 | |
| 6092 | |
| 5709 | |
| 7226 | |
| 5706 | |
| 7224 | |
| 11310 | |
| 5700 | |
| 5695 | |
| 5693 | |
| 5689 | |
| 11309 | |
| 5683 | |
| 5676 | |
| 7222 | |
| 5671 | |
| 5668 | |
| 6091 | |
| 5651 | |
| 5640 | |
| 6087 | |
| 5631 | |
| 11308 | |
| 5621 | |
| 11307 | |
| 6082 | |
| 11214 | |
| 11306 | |
| 11305 | |
| 5618 | |
| 5617 | |
| 11213 | |
| 5595 | |
| 5586 | |
| 5581 | |
| 5575 | |
| 7219 | |
| 5572 | |
| 7217 | |
| 5568 | |
| 5565 | |
| 6079 | |
| 5564 | |
| 5558 | |
| 7214 | |
| 5555 | |
| 11300 | |
| 5550 | |
| 7212 | |
| 6071 | |
| 5545 | |
| 7209 | |
| 6066 | |
| 6064 | |
| 5542 | |
| 6061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