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상(Color)
색맹(Color Blindness)
원칙: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색상을 사용할 때마다, 표시된 색상을 볼 수 없는 사람들에게 정보를 전달하려면 명확한 보조 신호를 사용해야 합니다.
요즘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컬러 디스플레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약 10%의 남성들과 1% 미만의 여성들만이 색맹을 갖고 있습니다.
원칙: 사이트를 테스트해서 색맹 사용자가 보는 것을 확인하십시오.
구글 검색에서 시뮬레이션 툴을 찾을 수 있습니다. 웹사이트의 경우, http://enably.com/chrometric/ 이미지의 경우, http://www.colblindor.com/coblis-color-blindness-simulator/ .
색상은 필수 인터페이스 요소입니다
원칙: 모든 사용자가 모든 색을 볼 수 없다고 해서 인터페이스의 색상을 피해서는 안됩니다.
색상은 제한된 의사소통 능력의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색맹인 사람이 볼 수 없는 색을 벗겨내는 것은 사진 전체를 끄는 것만큼 보이지 않는 사람에게 더 이상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색맹인 사람에게 중요한 것은 다른 단서들의 존재입니다.
원칙: 그래픽 디자인의 일시적인 유행 때문에 인터페이스에서 단서가 되는 색상을 제거하거나 압도하지 마십시오.
학습성, 만족도와 생산성이 향상되거나 최소한 그대로 유지되도록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문제를 일으키며 새로 추가된 미적인 부분을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1129 | |
| 1125 | |
| 1124 | |
| 1122 | |
| 1120 | |
| 1117 | |
| 1116 | |
| 1115 | |
| 1114 | |
| 1113 | |
| 1109 | |
| 1105 | |
| 1097 | |
| 1096 | |
| 1094 | |
| 1091 | |
| 1088 | |
| 1084 | |
| 1073 | |
| 1072 | |
| 1065 | |
| 1061 | |
| 1055 | |
| 1049 | |
| 1040 | |
| 1039 | |
| 1033 | |
| 1026 | |
| 1021 | |
| 1018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