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과 영문만 표현하던 예전과는 달리 요즘은 하나의 홈페이지에서 다국어를 지원하는 일이 많습니다.
euc-kr 을 사용한다면 다국어 지원시 charset 을 중국어를 지원하기 위해 gb2312, 일본어를 지원하기 위해 shift_jis 등 언어가 바뀔때 마다 charset 선언을 다르게 주어야 합니다.
또한, ajax 사용시 euc-kr 을 사용하게 되면 서버와 통신시 charset 을 iconv 등의 함수로 변환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해야 합니다.
요즘은 네이버나 다음 등 큰규모의 사이트도 utf-8 을 사용하는 추세이므로 굳이 euc-kr 을 고집할 필요가 없습니다.
기존에 euc-kr 을 사용하고 있어 부득이하게 euc-kr 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호스팅 신청시 utf-8 사용을 권해 드립니다.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12 | |
| 11 | |
| 2 | |
| 93 | |
| 27 | |
| 34 | |
| 33 | |
| 38 | |
| 56 | |
| 96 | |
| 31 | |
| 63 | |
| 80 | |
| 37 | |
| 40 | |
| 47 | |
| 52 | |
| 60 | |
| 10 | |
| 9 | |
| 8 | |
| 7 | |
| 20 | |
| 25 | |
| 30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