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론만 먼저,
처음부터 git(혹은 공개저장소)을 이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운영 중인 사이트를 최신 패치합니다.
운영 중인 브랜치는 master 라고 할 때,
# 공개저장소 remote 연결
$ git remote add upstream git@github.com:gnuboard/gnuboard5.git
$ git fetch upstream
# 공개저장소 master 내용을 upstream 브랜치로 생성
$ git checkout -b upstream upstream/master
# master로 돌아감
# master 내용을 바탕으로 패치작업할 브랜치를 만들기 위해서
$ git checkout master
# upstream 을 merge 해서 patch 작업할 브랜치 생성
# master에 직접 해도 되지만, 작업하다 실수했을 때 원복 쉽게 하려고...
$ git checkout -b patch
# upstream 을 merge 함
# 이 팁을 참고하시는 분은 처음부터 공개저장소 기반으로 작업하지 않은 사이트를 다루시는 분일 테니
# allow-unrelated-histories 옵션을 적용하셔야 독립된 두 개의 프로젝트를 merge 하실 수 있음
$ git merge upstream --allow-unrelated-histories
이제 충돌 난 부분을 확인하시면서 수정하시면 됩니다.
vscode git graph 플러그인을 이용하면 조금 더 편하네요.
잡설은 나중에,
예전에 이런 팁을 쓴 적이 있는데요.
https://sir.kr/g5_tip/1383
팁 말미에 적었던 예외가 발생한지 오래됐기도 하고,
그동안 작업환경도 많이 바뀌었기도 해서 급하게 한 번 업데이트해 봅니다.

채찍피티한테 물어봤는데 뭔가... 방법이 뭔가뭔가해서... 올려보는 것이니... ㅎㅎㅎ
잘 아시겠지만 가급적 별도 작업 계정이나 환경에서 작업하시길 바라구요.
저는 git을 터미널에서 사용해서...
GUI 이용하시는 분은 상황에 맞게 하시면 되겠습니다.
굿 럭~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23966 | |
| 23963 | |
| 23953 | |
| 23949 | |
| 23938 | |
| 23935 | |
| 23933 | |
| 23928 | |
| 23919 | |
| 23918 | |
| 23917 | |
| 23910 | |
| 23902 | |
| 23901 | |
| 23897 | |
| 23894 | |
| 23893 | |
| 23891 | |
| 23885 | |
| 23872 | |
| 23870 | |
| 23862 | |
| 23859 | |
| 23853 | |
| 23845 | |
| 23838 | |
| 23827 | |
| 23819 | |
| 23805 | |
| 23801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