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
uvicorn main:app --reload
[/code]
여기까지는 설치할 수 있고, 실행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설명 드리겠습니다.
서버의 root 권한을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서버를 운영하셔야 합니다.
지금까지 알아본바로 저렴한 편에 속하는 클라우드서버인 iwinv 서버를 하나 생성하겠습니다.
서버 생성하기
-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회원가입후), 생성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https://console.iwinv.kr/instance/list.html - ZONE 선택을 합니다. KR1-Z01 ~ KR1-Z08에서 신청가능한 서버를 선택합니다.
- 운영체제 선택을 합니다.
Ubuntu 22.04 LTS(64bit)를 선택합니다. - 하드웨어를 선택합니다.
SINGLE 서버 -> vCore -> vCore.V2 를 선택합니다. - 블록 스토리지 추가에서는 "이름설정 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그냥 지나갑니다.
새창에서 "건너뛰기"를 클릭합니다. - 이름 설정, 서버의 이름을 정합니다. 영문, 숫자로 입력하세요.
- 방화벽 설정. 나중에 설정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방화벽 사용하지 않음"을 선택합니다.
- 수량은 1대만 입력합니다.
- 확인하기 에서 "신청 하기" -> "완료" 버튼을 클릭하면 몇분후에
"iwinv 서비스 생성 안내입니다." 라는 메일이 옵니다. - 메일에 적혀있는 서버 IP, 아이디(root),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서버에 ssh 접속을 합니다.
저는 넷사랑컴퓨터의 XSHELL을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https://www.netsarang.com/ko/xshell/
SSH 접속 화면

다음글에 이어집니다.
댓글 4개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49 | |
| 36 | |
| 33 | |
| 31 | |
| 22 | |
| 21 | |
| 17 | |
| 16 | |
| 15 | |
| 14 | |
| 11 | |
| 10 | |
| 9 | |
| 8 | |
| 7 | |
| 3 | |
| 2 | |
| 1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