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강 그누보드4 dtd 변경 및 오류 찾기 (html5)
4강 그누보드4 dtd 변경 및 오류 찾기 목차
그누보드4에서 dtd 선언하는 법
그누보드4에서 dtd 관련 내용을 다루는 부분은 head.sub.php 입니다.
head.sub.php 는 그누보드4를 설치한 루트 디렉토리에 있습니다.
아래의 소스비교를 통해 head.sub.php 에서 그누보드4 dtd 를 변경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html5로)
<!--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
<html>
<!doctype html>
<html lang='ko'>
다 됐습니다. 이게 끝입니다. 이제 그누보드4를 html5로 사용하실 기본준비가 끝이 났습니다. 너무 쉽다구요? ㅎㅎㅎ
그럼 다음 장에서 그누보드4의 dtd 선언을 html5 로 바꿨을 때 나타나는 현상을 살펴보겠습니다.
그누보드4 dtd 선언 Before & After
그누보드4 dtd 를 html5 로 선언했을때 레이아웃의 변화를 살펴보겠습니다. 각 섹션의 첫번째 이미지가 dtd 선언 전이며, 두번째 이미지가 dtd 선언 후의 스크린샷입니다.
브라우저는 ie9 기준입니다. 왜냐구요? 제가 자주 써서요...
초기화면


회원가입, 약관


회원가입, 정보입력


회원가입, 완료


아이디/패스워드 찾기


현재접속자


최근게시물


전체검색


쪽지, 받은쪽지


쪽지, 보낸쪽지


쪽지, 쓰기


쪽지, 읽기


스크랩


포인트


게시판, 목록


게시판, 읽기


게시판, 쓰기


댓글 19개
13년 전
사이드뷰도 살포시 찍어주세용~
13년 전
아 사이드뷰도 있었네요. 알겠습니다. ㅎㅎㅎ
홍익플래시
12년 전
선언을 한다는 의미를 좀 설명해주시면 안 될까요? 사용자에 대한 선언인가요? w3c에 대한 선언인가요?
12년 전
저도 처음에 선언이란 단어가 어려웠습니다.
말 자체에 집중하지 마시고 다음과 같이 이해하시면 됩니다.
html 문서를 처음 시작하실 때,
<!doctype html>
처럼 입력해주시면, HTML5 로 선언된 것입니다.
문서 선언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HTML 2.0
<!DOCTYPE html PUBLIC "-//IETF//DTD HTML 2.0//EN">
HTML 3.2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3.2 Final//EN">
HTML 4.01 Strict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EN"
"http://www.w3.org/TR/html4/strict.dtd">
HTML 4.01 Transitional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html4/loose.dtd">
HTML 4.01 Frameset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Frameset//EN"
"http://www.w3.org/TR/html4/frameset.dtd">
XHTML 1.0 Strict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Strict//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strict.dtd">
XHTML 1.0 Transitional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XHTML 1.0 Frameset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Frameset//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frameset.dtd">
XHTML 1.1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1//EN"
"http://www.w3.org/TR/xhtml11/DTD/xhtml11.dtd">
XHTML Basic 1.0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Basic 1.0//EN"
"http://www.w3.org/TR/xhtml-basic/xhtml-basic10.dtd">
XHTML Basic 1.1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Basic 1.1//EN">
말 자체에 집중하지 마시고 다음과 같이 이해하시면 됩니다.
html 문서를 처음 시작하실 때,
<!doctype html>
처럼 입력해주시면, HTML5 로 선언된 것입니다.
문서 선언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HTML 2.0
<!DOCTYPE html PUBLIC "-//IETF//DTD HTML 2.0//EN">
HTML 3.2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3.2 Final//EN">
HTML 4.01 Strict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EN"
"http://www.w3.org/TR/html4/strict.dtd">
HTML 4.01 Transitional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html4/loose.dtd">
HTML 4.01 Frameset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Frameset//EN"
"http://www.w3.org/TR/html4/frameset.dtd">
XHTML 1.0 Strict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Strict//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strict.dtd">
XHTML 1.0 Transitional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XHTML 1.0 Frameset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Frameset//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frameset.dtd">
XHTML 1.1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1//EN"
"http://www.w3.org/TR/xhtml11/DTD/xhtml11.dtd">
XHTML Basic 1.0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Basic 1.0//EN"
"http://www.w3.org/TR/xhtml-basic/xhtml-basic10.dtd">
XHTML Basic 1.1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Basic 1.1//EN">
길가다꽁해져
12년 전
조금 헷갈릴수 있는데, DTD Type 에 따라서 렌더링 되는 화면이 달라질수 있으므로 명시하는게 좋습니다. 선언이나 정의나 비슷한 개념인데, 웹문서를 어떠한 DTD 형식으로 해석하여 보여주라는 의미로 받아들이시는게 속이 편할거같아요~ DTD를 생략하면 브라우저가 임의로 해석해서 렌더링하기도 하기때문에 가급적 해당 DTD를 표기하고 문법에 맞게 코딩하는게 좋겠죠
12년 전
감사하다는 말뿐이네요 ^^ 많이 배워요~~
12년 전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2년 전
이번 강좌 부터는 좀 어려워지네요. ㅎ
11년 전
정말 필요했던 정보인대 궁굼증을 전부 해결해주셨네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1418 |
부트스트랩
애니메이션 경고
|
| 1417 |
부트스트랩
경고 닫기
|
| 1416 |
부트스트랩
알림 링크
|
| 1414 |
부트스트랩
부트 스트랩 경고
2
|
| 1413 |
부트스트랩
부트 스트랩 웰스
|
| 1412 | |
| 1411 |
부트스트랩
응답 성있는 삽입
|
| 1410 |
부트스트랩
이미지 갤러리
|
| 1409 |
부트스트랩
반응 형 이미지
|
| 1408 |
부트스트랩
부트 스트랩 이미지 - 미리보기 이미지
|
| 1407 |
부트스트랩
부트 스트랩 이미지 - 원
|
| 1406 | |
| 1405 |
부트스트랩
반응 형 테이블
|
| 1404 |
부트스트랩
문맥 분류
|
| 1403 |
부트스트랩
요약 표
|
| 1402 |
부트스트랩
호버 행
|
| 1401 |
부트스트랩
테두리가있는 표
|
| 1400 |
부트스트랩
부트 스트랩 스트라이프 행
|
| 1399 |
부트스트랩
부트 스트랩 기본 테이블
|
| 1398 |
부트스트랩
부트 스트랩은 HTML <pre>요소
|
| 1397 |
부트스트랩
부트 스트랩은 HTML <kbd>요소
|
| 1396 |
부트스트랩
부트 스트랩은 HTML <code>요소
|
| 1395 |
부트스트랩
부트 스트랩은 HTML <dl>요소
|
| 1394 |
부트스트랩
<blockquote>
|
| 1393 |
부트스트랩
<abbr>
|
| 1392 |
부트스트랩
<mark>
|
| 1391 |
부트스트랩
<small>
|
| 1390 |
부트스트랩
부트 스트랩 텍스트 / 타이포그래피
|
| 1389 |
부트스트랩
2 개의 서로 다른 열
|
| 1388 |
부트스트랩
3 개의 동일한 열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