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iner:after { content:""; clear:both; display:block; }
가상 선택자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요소나 특수한 상황에서만 발생하는 동적인 요소를 CSS 명령으로 제어하는 기법 입니다. 가상 선택자는 다시 '가상 클래스 선택자'와 '가상 요소 선택자'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가상 클래스 선택자(:link, :visited, :hover,:active, :focus, :first-child)는 특정 요소에 마치 동적으로 class를 부여한 것과 같은 이치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가상 요소 선택자(:first-line, :first-letter, :before, :after)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요소를 마치 존재하는 것처럼 이용하는 기법 입니다. :after라는 가상 요소 선택자는 content 라는 속성을 이용해서 .container 블럭이 끝나기 직전 content 속성의 값 "*" 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생성된 요소에 clear:both 속성을 부여하면 자식의 높이를 부모에게 전달할 수 있는데 실제로 HTML 코드에는 빈 요소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IE 6~7 브라우저는 가상 요소 선택자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게 무슨말인지 쉽게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ㅜㅜ
댓글 7개
:before / :after 의 기본 개념은 '가상 텍스트노드 생성' 입니다. 단순히 가상 요소- 라기보단 '텍스트'요소라는 정의가 붙어있습니다.
보통들 기본 inline 요소로 만들어진 가상요소를 CSS에서 display:block 처리해주어서 블록요소로 만든다음에 사용하죠.
div:after -> HTML로 따지자면 종료태그의 바로 전라인에 content:"" 에 입력한 텍스트를 텍스트노드로 가상으로 삽입해주게됩니다.
:before 시작태그가 열린 바로다음줄에 (제일 첫번째 자식컨텐츠) content 로 입력해준 텍스트노드를 마찬가지로.. 가상으로 만들어줍니다 :) ㅎㅎ
보통들 기본 inline 요소로 만들어진 가상요소를 CSS에서 display:block 처리해주어서 블록요소로 만든다음에 사용하죠.
div:after -> HTML로 따지자면 종료태그의 바로 전라인에 content:"" 에 입력한 텍스트를 텍스트노드로 가상으로 삽입해주게됩니다.
:before 시작태그가 열린 바로다음줄에 (제일 첫번째 자식컨텐츠) content 로 입력해준 텍스트노드를 마찬가지로.. 가상으로 만들어줍니다 :) ㅎㅎ
게시글 목록
| 번호 | 제목 |
|---|---|
| 1388 | |
| 1374 | |
| 1324 | |
| 1312 | |
| 1306 | |
| 1305 | |
| 1301 | |
| 1296 | |
| 1294 | |
| 1283 | |
| 1279 | |
| 1278 | |
| 1273 | |
| 1267 | |
| 1265 | |
| 1260 | |
| 1259 | |
| 1258 | |
| 1244 | |
| 1238 | |
| 1233 | |
| 1204 | |
| 1200 | |
| 1197 | |
| 1191 |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