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사이트 - 개발 중인 베타 버전입니다

다들 메뉴 등 하실때 background-position 많이 쓰세요?

저같은 경우 메뉴 이미지를 통째로 짜서 넣은 후 image map으로 작업을 해본 적은 있는데 (아주 옛 표준을 맞추거나 그렇게 요청이 들어온 경우) 대형 사이트의 경우 메뉴를 background-position을 통해 하나의 이미지에 넣고 좌표값으로 맞추더라구요 (포털을 비롯한 수많은 사이트들)

 

해외 웹에서는 잘 보지 못했던 것 같은데 국내 대형 웹에서 자주 보여서 이 방식을 써야 하나... 싶네요.

보통은 이미지를 쓰던 아니면 웹폰트를 쓰던 했는데 생각해보니 이미지 하나만 로드하니 속도가 확실히 개선되겠구나 싶더라구요.

 

다들 원래 많이 써오셨나요?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 14개

저는 일본에서 퍼블리셔를 목표로 하는 웹디입니다.
말씀하신대로 한장의 이미지를 가지고 위치 지정해서 넣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원래 많이 쓴지는 모르겠네요; -ㅅ -
이전까지는 한장한장 따로 만들어서 마우스오버용 이미지까지 따로 만들었는데,
지금은 한장으로 다 해결하네요 ...
부지런하시네요.. 네이버에서 그런식으로 작업을 하고있죠.
제작시에 시간이 더 많이 걸려서 -ㅁ-...
탈환대님 방가방가 ^^;; 부지런하다뇨 하하하
게으름 하면 접니다 후후후
전 이미지 슬라이드를 플래시로 할까 제이쿼리로 할까 아침부터 아직 고민중인데요 ㅋㅋ
전 플래시를 싫어해요 ㅋㅋ 제이쿼리로 고고싱 ㅎ
넵~image replace기법이라고 보통 IR기법이라 부릅니다.
메뉴 뿐만 아니라, 이미지가 들어가는 전반적인 요소에 많이 쓰이구요~
말씀하신대로 이미지를 여러번 요청하는 것보다는 아무래도 속도가 빠르니깐요ㅎ

하지만 속도뿐 아니라 접근성을 고려해서 IR기법을 사용하기도 하는데요~
(IR기법에도 또 다양한 방법론이 있습니다ㅎ)
포털같은 경우는 이미지를 못불러올 경우나, 고대비 모니터 사용자들을 위해 이미지밑에 텍스트를 고정시켜놓는 경우도 많습니다.
(네이버같은 경우 개발자도구에서 백그라운드 이미지를 끄면 텍스트가 보일꺼예요~)
하 정말 이렇게 하나하나 생각을 하시고 만드시는분들 정말 대단한것 같아요..

저는 제가 만든 소스를 보면 하... 뭐 이런게 있나 싶어지네요...
유지보수가 극악이죠.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휴ㅠㅠㅠ
ㅋㅋ 근데 이미지 하나로 만들어 놓고,
메뉴 늘어나거나 하면 귀찮귀찮 ㅋ
스프라이트 이미지(sprite image) 말씀하시나 보네요.
아이콘의 경우 이런 식으로 많이 쓰더라구요.
new, hot 등의 아이콘류은 괞찮지만
다른건 유지 보수할적에 힘들다라는.....
전 구관이 명관이라 생각하는데.... 따라 갈 수 밖에요.....ㅠㅠ
기본적으로 많이 쓰는거는 한장에 하면 편리합니다. 그리고 그때그때 변경하는건 귀찮아서 그냥 합니다.
많이 사용은 합니다만, "확실히 수정이 없겠다." 싶은곳에만 사용합니다.
구축시에는 수정은 엄청 오거든요.

단, 온/오버가되는 메뉴에는 각 메뉴당 ON/OFF를 한 장에 정의해서 사용합니다.

게시글 목록

번호 제목
1388
1374
1324
1312
1306
1305
1301
1296
1294
1283
1279
1278
1273
1267
1265
1260
1259
1258
1244
1238
1233
1204
1200
1197
1191